백과사전 상세 본문
관련 질환 | 만성치주염, 치근낭, 충치, 치은염, 매복사랑니 |
---|---|
관련 인체 | 입, 턱 |
관련 검사 | 스케일링, 임플란트 수술 |
정의
입안의 위턱과 아래턱에 박혀있는 단단한 기관으로 음식물 섭취 시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저작을 원활하게 하여 소화흡수를 촉진시키는 기관입니다. 보통 사람의 치아는 성장하면서 한번 교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치와 영구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람의 영구치는 32개입니다.
위치
입안의 위턱과 아래턱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구조
치아는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치은, 치수, 치주막, 치근, 치근관, 치조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법랑질 : 치아관을 덮는 단단한 회백색 반투명의 물질로 겉에서 보이는 치아의 하얀색 부위입니다. 법랑질에는 신경이 없기 때문에 법랑질을 침범한 충치는 치통이 없지만 상아질까지 침범되면 치통이 시작됩니다.
▶ 상아질 : 치수를 둘러싼 견고한 부위로 법랑질보다는 부드러운 부위입니다.
▶ 백악질 : 치아를 치조골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백악질이 변성되면 치아가 흔들리게 됩니다.
▶ 치은 : 치아 뿌리를 둘러싸고 있는 부위로 잇몸이라고 합니다.
▶ 치수 : 혈관 및 신경이 분포하는 부위로 치아에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 치주막 : 치근과 치조골 사이에 있는 섬유성 결합조직으로 치아를 뼈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치주인대라고도 합니다.
▶ 치근 : 치아의 뿌리 부분입니다.
▶ 치근관 : 치수강에 있는 신경과 혈관이 통과하는 치아뿌리의 통로역할을 합니다.
▶ 치조골 : 치근이 위치하는 뼈를 말합니다.
기능
치아는 저작기능을 통해 음식물을 소화하기 쉽게 잘게 부수고 소화액이 잘 섞이게 하여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발음을 정확하게 형성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건강 팁
올바른 칫솔질을 위해 칫솔은 솔이 너무 부드럽거나 단단하지 않은 중간정도가 좋으며 칫솔 두부의 크기는 치아 2~3개를 덮을 수 있는 것이 좋습니다. 칫솔을 오랫동안 사용하면 솔이 벌어지게 되면서 효과적으로 치아를 청소할 수 없고 오히려 잇몸에 상처를 줄 수 있으므로 3개월마다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칫솔질은 하루 3번 이상, 가능하면 식후 즉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