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관련 질환 | 방광암, 비임균성 요도염, 만성 전립선염, 방광의 신경근육 기능 장애, 배뇨 곤란 |
---|---|
관련 인체 | 방광, 요도 |
관련 검사 | 방광요도조영술, 콩팥요관방광단순촬영, 방광경검사 |
정의
요로계의 병변이나 손상으로 인해 소변의 정상적인 흐름을 인위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이 요로전환술입니다. 상부요로가 막힌 경우 신장에 있는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콩팥창냄술을 많이 시행하고, 하부요로가 막힌 경우 방광에 있는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배꼽 근처에 인공적인 구멍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검사시기
방광 내 요 저류시 요도카테터 삽입이 불가능한 경우, 요도 감염, 전립선 감염, 신경인성 방광에서 합병증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 자가도뇨가 불가능한 경우, 요도의 단절이 있는 경우 시술을 시행합니다.
준비사항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수술방법
1. 소변줄을 통하여 방광에 수액을 가득 채웁니다.
2. 방광 부위 피부를 절개할 하복부에 국소마취를 시행하고, 피부를 절개합니다.
3. 천자침을 방광 내로 찔러 넣고, 방광 내부에 카테터가 잘 위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내용물을 흡인해봅니다.
4. 삽입한 카테터를 도뇨용 주머니에 연결합니다.
5. 삽입부위를 멸균적으로 소독합니다.
▶ 수술 준비 및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부득이하게 수술 방법이 변경되거나 수술 범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경과/합병증
▶ 카테터가 제거되면 따로 봉합할 필요없이 피부가 즉시 수축되어 48시간 이내에 요루가 막힙니다.
▶ 시술 후 장천공, 혈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천공을 예방하기 위해 방광의 정확한 위치에서 시술을 시행하며, 혈뇨는 일시적인 손상으로 발생하며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주의사항
▶ 방광창냄술은 소변이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에 실시하지만 소변이 배출되는 통로인 요도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만 시행 가능합니다.
▶ 카테터 내부에 침전물이 생겨 관이 막히거나 카테터가 방광 벽에 닿아 배액이 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카테터를 교환하는 것이 좋으므로 병원을 방문하도록 합니다.
▶ 요도에 삽입하는 카테터(유치 도뇨)와 비교하면 통증 발생이 적으나, 장 손상, 카테터의 누수, 카테터의 꼬임, 복벽 농양,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