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검사시술 백

복강경 검사

다른 표기 언어 Laparoscopy
요약 테이블
관련 질환 담낭암, 담도폐쇄, 간경화, 췌장염, 난소낭종
관련 인체 간, 담낭
관련 검사 자기공명영상, 전산화단층촬영검사

ⓒ 서울아산병원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의

복강경 검사는 복벽에 작은 구멍을 내고 그 구멍으로 내시경 기구를 삽입하여 복강 내 장기를 관찰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복강경 검사를 통해 간, 담낭, 췌장, 난소, 복막 등의 복강 내 장기의 구조와 비정상적인 병변을 직접 눈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검사 뿐만 아니라 이상이 있는 부위는 조직검사를 시행하거나 직접 절제할 수도 있으므로 치료적 목적으로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준비사항

▶ 검사 12시간 전부터 금식합니다.
▶ 필요시 복강경 삽입 부위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제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검사시기

복강경 검사

ⓒ 서울아산병원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간, 담낭, 췌장, 난소, 복막 등 복강 내 장기의 이상 징후나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검사를 시행합니다.

검사방법

1.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마취를 시행합니다.
2. 배꼽 부위에 0.5cm 정도 피부를 절개하고 복강경 투관침을 삽입합니다.
3.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배를 부풀려 시야를 확보합니다.
4. 내시경 도구를 삽입하고 복강 내부를 검사합니다.
5. 기구를 빼고 가스를 뺀 후 절개부위를 봉합합니다.
6. 검사 소요시간은 30~1시간 정도입니다.

검사결과

정확한 판독이 이루어진 후 의료진을 통해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를 시행한 경우 일주일정도 경과한 후 결과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복강경 검사 후 똑바로 누워 4시간 이상 절대안정을 취하여야 합니다. 검사 당일에는 무리한 활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검사 다음날부터는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합니다.
▶ 복강경 검사 후 조직 손상, 통증, 출혈, 발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통증이나 38도 이상의 고열, 출혈이 있을때는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건강 팁

복강경 검사 중 주입된 가스로 인해 등, 어깨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주입된 가스는 배의 빈 부분인 복강에 위치한 것으로 시간이 흐르면 흡수되어 사라집니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의사 지시에 따라 걷기 운동, 마사지, 온찜질을 통해 통증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복강경 검사검사시술 백과, 서울아산병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