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테이블
분야 우주

인류가 외계생명체라는 개념을 처음 품은 것은 아주 오래전, 지구가 둥근지 평평한지도 모르던 시절의 일이었다. 이후 지구와 우주에 대한 지식은 점점 늘어났고, 20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는 수백 광년 떨어진 외계행성에서 생명체의 증거를 찾는 수준에 이르렀다. 생명의 기원을 밝히고 지구 밖 생명체를 향해 다가서는 인류의 발걸음은 어떤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을까.

외계생명체에 관한 관념

기원전 3세기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도 지구가 아닌 다른 곳에 사는 존재에 대해 생각했다. 기원전 3세기경 살았던 철학자 에피쿠로스는 “우리 세상과 같거나 다른 세상은 수도 없이 많다. 우리는 이 모든 세상에 우리가 이 세상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행성과 생명체가 있다고 믿어야 한다”고 말했다.

에피쿠로스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584년

이탈리아의 사상가이자 철학자인 지오다노 브루노는 로마 가톨릭의 수사였다. 브루노는 “우주에는 수많은 항성이 있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듯 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이 수도 없이 많다. 우주에 있는 수많은 행성에도 지구처럼 생명체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시 권력을 잡고 있던 로마 가톨릭은 브루노를 이단으로 선고하고 화형에 처했다.

지오다노 브루노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698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믿었다. 그는 물이 생명체의 존재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하위헌스의 주장은 사후에 출판된 저서인 ‘코스모테오로스’에 실렸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드레이크 방정식

1960년

미국의 천문학자 프랭크 드레이크는 우리 은하계 안에 있으며 인간과 교신할 수 있는 지적 외계종족의 수를 계산하는 방정식을 발표했다. 이를 드레이크 방정식이라 하며, 드레이크의 생각에 따라 직접 계산한 수는 2.31이었다.

프랭크 드레이크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SETI 시작

1961년

지적 외계생명체를 찾는 프로젝트, SETI의 공식 컨퍼런스가 처음 열렸다. SETI는 우주에서 오는 전파를 받아 지성체의 증거를 찾는다. 시작할 당시에는 미국 정부의 후원을 받았지만, 현재는 개인이나 기업의 지원을 받아 활동하고 있다.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외계인에게 보내는 메시지

1972년

미국의 탐사선 파이어니어10호가 발사됐다. 파이어니어10호는 소행성대와 목성에 접근해 관측한 뒤 현재 태양계 밖을 향해 움직이고 있다. 여기에는 인류가 외계에 보내는 메시지를 그림으로 나타낸 금속판이 달려 있다. 금속판에는 인간 남녀의 모습과 지구에 관한 정보가 들어 있다.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태양 닮은 별의 행성 발견

1995년

스위스의 미헬 마이어와 디디에 퀼로즈는 페가수스자리 51 주위를 도는 행성을 발견했다. 태양과 비슷한 항성에서 발견한 첫 번째 행성이다. 질량은 목성의 절반 정도이며, 항성에 너무 가까워 표면에 물이 존재할 수는 없다.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화성 운석의 미생물

1996년

화성에서 떨어져 나온 운석에서 미생물 화석을 발견했다는 주장이 등장했다. 이 운석에 있던 화석 같은 구조가 나노 크기의 박테리아라는 주장이었지만, 아직까지 진위는 밝혀지지 않았다.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

2001년

지구와 공전반경이 비슷한 행성 HD28185b가 발견됐다.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 가능성이 드러난 최초의 행성이다.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외계행성의 물 발견

2007년

최초로 외계행성에서 물을 발견했다. 스피처 우주망원경으로 행성 HD189733b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수증기가 있음이 드러났다.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외계행성의 유기물 발견

2008년

외계행성 HD189733b의 스펙트럼을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분석해 유기분자의 존재를 발견했다. 외계행성에서 처음으로 유기분자를 찾아낸 것이다.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비소 박테리아 논란

2010년

NASA 우주생물학 연구소의 펠리사 울프-사이먼 박사는 지구에서 비소를 몸의 구성성분으로 이용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 과학동아북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충환 집필자 소개

이충환은 서울대 대학원에서 천문학 석사학위(우주론 전공)를 받았고 고려대 과학기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천문학 잡지 《별과 우주》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고, 과학종합미디..펼쳐보기

출처

꼭 알아야 할 과학이슈 1
꼭 알아야 할 과학이슈 1 | 저자이충환 외 | cp명과학동아북스 도서 소개

우리나라 대표 과학 매체의 편집장들과 과학전문 기자, 과학칼럼니스트, 연구자들이 모여 2010년부터 이슈가 됐고 앞으로 우리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과학기술 10가지..펼쳐보기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외계 생명체 탐사 연대기꼭 알아야 할 과학이슈 1, 이충환 외, 과학동아북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