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할미새과(Motacillidae) |
---|---|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 전역과 아프리카대륙의 폭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
크기 | L20cm |
학명 | Motacilla alba White Wagtail |
목차
펼치기- 아종 알락할미새(Motacilla alba leucopsis Amur Wagtaill)
- 아종 시베리아알락할미새(Motacilla alba baicalensis Baikal White Wagtail)
- 아종 흰이마알락할미새(Motacilla alba personata Masked Wagtail)
- 아종 히말라야알락할미새(Motacilla alba alboides Himalayan Wagtail)
- 아종 백할미새(Motacilla alba lugens Black-backed Wagtail)
- 아종 검은턱할미새(Motacilla alba ocularis East siberian Wagtail)
-
할미새류 닮은 종 비교
유라시아대륙 전역과 아프리카대륙의 폭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앉아 있을 때 꼬리를 위아래로 흔드는 습성이 있다. 곤충을 주식으로 한다. 11아종으로 나누며, 국내에서는 6아종이 기록되어 있다. 미성숙한 개체의 성 구별 및 아종 구별은 매우 어렵다.
아종 알락할미새(Motacilla alba leucopsis Amur Wagtaill)
서식
중국 남동부에서 중국 동북부, 아무르, 우수리, 한국, 대만에서 번식하고, 인도 동북부에서 방글라데시, 인도차이나반도, 중국 남부, 대만에서 월동한다.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며, 주로 남부 지역에서 매우 적은 수가 월동한다.
행동
인가 주변, 농경지, 하천, 바닷가 모래밭에서 서식하며 바쁘게 움직이며 곤충류를 잡는다. 백할미새보다 물이 적은 환경에서도 서식한다. 둥지는 돌담, 바위 틈, 물가 벼랑의 움푹 파인 곳에 틀고, 한배에 알을 4~6개 낳는다. 포란기간은 13~14일, 육추기간은 약 13일이다.
성조 수컷 : 머리 위를 포함한 몸윗면은 균일한 검은색, 얼굴은 흰색이며 검은색 눈선이 없다. 날 때 큰날개덮깃과 가운데날개덮깃의 흰색을 제외하고 날개 색은 백할미새보다 어둡게 보인다.
성조 암컷 : 수컷과 매우 비슷하지만 등은 수컷보다 약간 흐린 검은색이다.
1회 겨울깃 수컷 : 머리는 검은색 바탕에 회색이 섞여 있다. 몸윗면은 회색이며, 가늘고 검은 깃이 섞여 있다. 작은날개덮깃은 검은색, 가운데날개덮깃과 큰날개덮깃은 흰색, 허리와 위꼬리덮깃은 검은색, 뺨은 연한 노란색이며 불명확한 검은색 깃이 있다(노란색은 월동 중 없어진다).
1회 겨울깃 암컷 : 머리를 포함해 몸윗면은 균일한 엷은 회색이다(등에 검은 반점이 없다). 뺨은 연한 노란색이며 불명확한 검은색 깃이 흩어져 있다.
1회 여름깃 : 성조와 비슷하다. 몸 바깥쪽 일부 큰날개덮깃은 흑갈색, 수컷은 몸윗면이 균일한 검은색이며, 암컷은 회흑색 또는 회색 바탕에 검은색 얼룩이 있다.
아종 시베리아알락할미새(Motacilla alba baicalensis Baikal White Wagtail)
서식
중앙시베리아, 몽골 북부에서 번식하고,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 미얀마 북부, 타이 북부, 중국 남부에서 월동한다. 매우 드물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주로 3월 하순에서 4월 중순 사이에 통과한다.
특징
정수리에서 뒷머리까지 검은색, 등은 균일하게 연한 회색, 수컷은 멱과 가슴이 검은색이다(암컷은 검은색 폭이 좁다). 허리가 회색이며, 어깨와 작은날개덮깃에 검은색 반점이 없다.
아종 흰이마알락할미새(Motacilla alba personata Masked Wagtail)
서식
중앙아시아에서 번식하고,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에서 월동한다. 2009년 4월 7일 전남 신안 홍도에서 처음 관찰된 이후 전북 군산 어청도, 전남 신안 가거도, 강원 원주에서 관찰되었다. 4회의 관찰기록만 있는 미조다.
특징
이마에서 눈 뒤까지 흰색이며 그 외 머리와 목, 가슴은 검은색이다. 몸윗면은 회색이다. 날개덮깃은 균일한 흰색이다.
아종 히말라야알락할미새(Motacilla alba alboides Himalayan Wagtail)
서식
중국 서남부, 히말라야에서 번식하고, 인도 북부, 네팔, 중국 남부, 인도차이나반도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10월에 2회의 관찰기록만 있는 미조다.
특징
흰이마알락할미새와 비슷하지만 등이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다.
아종 백할미새(Motacilla alba lugens Black-backed Wagtail)
서식
캄차카반도 남부, 쿠릴열도, 사할린, 아무르강, 우수리 일대, 일본 북해도 등지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동부, 대만, 일본, 한국 등지에서 월동한다. 흔하게 월동하는 겨울철새이며, 흔한 나그네새다. 10월 초순부터 도래해 통과하거나 월동하며, 3월 하순까지 통과한다. 최근 울릉도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
행동
모래와 자갈이 있는 냇가, 강가, 바닷가 주변 등 물가를 선호한다.
특징
검은색 눈선이 뚜렷하다. 날 때 날개는 첫째날개깃 끝 부분과 작은날개덮깃을 제외하고 흰색이 넓다. 계절에 따라 깃 색이 변해 성 구별 및 아종 구별이 어렵다.
수컷 여름깃 : 앞머리가 흰색이며 정수리에서 뒷머리까지 검은색, 등과 꼬리는 검은색이다.
암컷 여름깃 : 머리는 검은색, 등은 어두운 회흑색 또는 회색이며 다소 검은색이 섞여 있다. 첫째날개덮깃 끝은 검은색, 날개깃의 상당 부분이 흰색이다.
수컷 겨울깃 : 머리는 검은색, 등은 회색이며 드물게 큰 검은 반점이 섞여 있다. 가운데날개덮깃과 큰날개덮깃은 흰색이다.
암컷 겨울깃 : 머리는 검은색이며, 등은 회색이다(일부 개체는 몸윗면에 수컷처럼 검은 반점이 흩어져 있지만 보다 작고 드물게 흩어져 있다). 첫째날개덮깃 끝이 검은색이다.
1회 겨울깃 수컷 : 얼굴에 노란색 기운이 있다(월동 중에 점차 노란색이 없어져 흰색으로 변한다). 정수리에서 뒷목까지 검은색이다(머리가 검은색 또는 검은색과 회색이 섞여 있는 것처럼 보인다). 등은 회색, 아랫부리 기부가 엷은 노란색이다. 이마의 흰색이 넓다.
1회 겨울깃 암컷 : 머리는 등과 같은 회색, 이마는 때 묻은 듯한 흰색, 검은색 눈선의 폭이 좁다. 큰날개덮깃과 가운데날개덮깃의 상당 부분이 흰색이다.
1회 여름깃 수컷 : 몸윗면은 성조 여름깃과 비슷하지만 첫째날개덮깃이 검은색이며 날개깃의 상당 부분이 검은색이다.
1회 여름깃 암컷 : 머리는 대부분 검은색, 몸윗면은 대부분 회색이며, 일부 작은 검은색 얼룩이 흩어져 있다. 큰날개덮깃은 흰색, 허리와 위꼬리덮깃은 검은색이다.
아종 검은턱할미새(Motacilla alba ocularis East siberian Wagtail)
서식
동시베리아 북부와 동북부, 알래스카 서부에서 번식한다. 국내에서는 비교적 드물게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며, 매우 드물게 월동한다. 봄철에는 4월 초순부터 4월 하순까지 북상하며, 가을철에는 10월 중순부터 11월 초순 사이에 통과한다.
특징
암수 비슷하며, 겨울깃은 백할미새와 매우 비슷하다. 허리는 회색이다.
수컷 여름깃 : 검은색 눈선이 뚜렷하다. 머리는 검은색이며, 등과 허리가 회색, 멱과 턱밑이 검은색, 날 때 큰날개덮깃과 가운데날개덮깃의 흰색을 제외하고 날개는 어둡게 보인다.
암컷 여름깃 : 수컷과 구별하기 어렵다. 큰날개덮깃과 가운데날개덮깃이 희미한 검은색인 경우가 많다.
겨울깃 : 멱과 턱밑이 흰색으로 백할미새와 혼동된다. 수컷의 머리는 여름깃과 같이 검은색지만 암컷은 검은색과 회색이 섞여 있다.
1회 겨울깃 수컷 : 머리는 회색 바탕에 검은색이 섞여 있다. 큰날개덮깃과 가운데날개덮깃은 검은색이며, 깃 끝은 흰색이다(흰색 날개선 2열이 보인다). 일부 개체는 큰날개덮깃 바깥 우면이 폭 넓은 흰색으로 백할미새와 혼동하기 쉽다. 허리는 회색이다.
1회 겨울깃 암컷 : 멱과 턱밑이 흰색, 머리는 등과 같은 회색, 검은색 눈선은 가늘며 얼굴 주변이 연한 노란색이다. 큰날개덮깃과 가운데날개덮깃의 상당 부분이 검은색으로 보인다(폭 넓은 흰색 날개선 2열을 형성한다).
할미새류 닮은 종 비교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한반도에서 기록된 새 전종(74과 551종)을 수록한 새 도감이다. 20여 년간 종 보고자료와 분류학적 논문을 수집하고, 탐문, 표본 및 현장 확인, 실측을 통한 검증..펼쳐보기
조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알락할미새 –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박종길, 자연과생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