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야생조류 필
드 가이드

검은딱새

다른 표기 언어 Siberian Stonechat
요약 테이블
분류 솔딱새과(Muscicapidae)
서식지 유라시아대륙 중부와 동부에 넓게 분포하며, 겨울에는 인도에서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등지에서 월동한다.
크기 L12.5~13.5cm
학명 Saxicola maurus Siberian Stonechat

서식

유라시아대륙 중부와 동부에 넓게 분포하며, 겨울에는 인도에서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등지에서 월동한다. 매우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며, 다소 흔한 여름철새다. 봄철에는 3월 중순부터 5월 초순까지 통과하며, 한반도 전역에서 번식하고, 가을철에는 8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남하한다.

행동

숲이 우거진 곳에는 거의 가지 않고, 농경지나 과수원, 산림 가장자리 관목지대 등 평지를 즐겨 찾는다. 둥지는 농경지 주변의 언덕에 풀뿌리로 밥그릇 모양처럼 만들고, 바닥에 동물 털과 깃털을 깐다. 한배 산란수는 5~7개가 보통이고, 엷은 녹청색에 갈색 점이 찍힌 알을 낳는다. 주로 암컷이 포란하며, 포란기간은 13~14일이다.

특징

다른 종과 혼동이 없다. 암컷은 연령 구별이 매우 어렵다.

수컷

머리, 등, 꼬리가 검은색, 가슴은 등색, 옆목과 아랫배는 흰색, 날 때 어깨와 허리에 흰 무늬가 크게 보인다.

암컷

몸윗면은 회갈색이며 등에 흑갈색 줄무늬가 있다. 몸 안쪽 가운데날개덮깃 일부와 큰날개덮깃 일부가 흰색, 턱밑과 멱은 흰색, 가슴과 옆구리는 엷은 주황색, 허리와 위꼬리덮깃은 줄무늬가 없는 엷은 주황색이다.

성조 수컷 겨울깃

암컷과 비슷하지만 검은색이 강하다. 눈앞, 귀깃, 턱밑, 멱이 검은색이며, 검은색 가장자리는 주황색이다. 옆목은 흐린 흰색, 몸 바깥쪽 큰날개덮깃 가장자리는 주황색이며 안쪽 깃은 흰색이다. 둘째날개깃 가장자리가 주황색, 허리는 흰색이며 위꼬리덮깃 끝은 주황색이다(일부 위꼬리덮깃에 검은색 축반이 있는 경우도 있다).

1회 겨울깃 수컷

암컷 여름깃과 매우 비슷하지만 눈앞, 뺨, 옆목에 검은색이 약하게 있다. 가슴의 등색이 암컷보다 짙다. 허리는 엷은 주황색이다.

1회 겨울깃 암컷

성조 암컷과 구별하기 어렵다. 가슴은 엷은 등황색, 날개깃은 검은색이며 깃 가장자리가 담황색, 허리는 엷은 주황색이다.

분류

과거 Common Stonechat (S. torquatus)는 단일종으로 분류하고, 약 23아종 이상으로 나누었으나, 최근 서로 다른 3종 이상으로 분류한다. European Stonechat (S. rubicola)는 영국,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우크라이나, 남쪽으로 지중해에서 아프리카 북부에 분포하며, African Stonechat (S. torquatus)는 아프리카 서부, 중부, 동북부, 남부 등지에 분포하고, Siberian Stonechat (S. maurus)는 유라시아대륙 중부와 동부(러시아 서북부에서 중부, 중국, 한국, 일본, 인도 북부, 파키스탄, 인도차이나반도 북부)에 분포한다. 아종에 따라 몸윗면, 허리와 위꼬리덮깃, 겨드랑이와 아랫날개덮깃의 색 차이가 있다. 국내 도래 아종은 러시아 동부에서 중국 동북부, 몽골 동부, 사할린, 쿠릴열도, 아무르, 한국, 일본에서 번식하는 stejnegeri이지만 유럽 동부에서 동쪽으로 몽골, 중국, 남쪽으로 아프가니스탄, 이란에 분포하는 아종 maurus와 비슷해 구별이 매우 어렵다. stejnegeri를 독립된 종 Stejneger's Stonechat (S. stejnegeri)로 보는 견해도 있다.

검은딱새 성조 수컷 여름깃(2006.3.29. 전남 신안 홍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검은딱새 성조 암컷 여름깃(2006.3.30. 전남 신안 홍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검은딱새 성조 수컷 겨울깃(2009.11.7. 전남 신안 흑산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검은딱새 1회 겨울깃 수컷(2005.10.10. 전남 신안 홍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검은딱새 어린새(2014.6.25. 강원 인제 한계리)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검은딱새 1회 겨울깃 암컷(2007.10.15. 전남 신안 흑산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검은딱새 1회 여름깃 수컷(2006.3.31. 전남 신안 홍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검은딱새 1회 여름깃 암컷(2006.4.5. 전남 신안 홍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박종길 집필자 소개

국립공원관리공단에 근무하며, 조류 분류 연구, 가락지 부착 조사 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야생조류 길잡이』(신구문화사), 『한국의 도요물떼새』(자연과생태), 『한국의 맹금류..펼쳐보기

출처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 저자박종길 | cp명자연과생태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반도에서 기록된 새 전종(74과 551종)을 수록한 새 도감이다. 20여 년간 종 보고자료와 분류학적 논문을 수집하고, 탐문, 표본 및 현장 확인, 실측을 통한 검증..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류

조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솔딱새과

추천항목


[Daum백과] 검은딱새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박종길, 자연과생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