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바람까마귀과(Dicruridae) |
---|---|
서식지 | 인도, 중국, 필리핀,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
크기 | L25~28cm |
학명 | Dicrurus hottentottus Hair-crested Drongo |
서식
인도, 중국, 필리핀,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1959년 11월 11일 경남 고성에서 1개체가 채집된 이후 제주도, 전남 신안 홍도, 전북 군산, 인천 옹진 백령도, 소청도, 굴업도 등지에서 관찰된 미조다. 1959년 11월 첫 기록과 2008년 11월 홍도에서의 포획기록, 2015년 1월 제주도 관찰기록을 제외하고 대부분 5월에 관찰되었다.
행동
앞이 트인 숲 가장자리, 큰 나무가 자라는 숲속, 벌목 후 풀이 자라는 개방된 초지를 선호한다. 교목 정상부 또는 중간층의 가지에 앉아 있다가 날아올라 곤충을 잡아먹는다. 검은바람까마귀보다 더 산림 쪽 환경을 선호한다. 날 때 물결 모양으로 날지만 검은바람까마귀보다 약간 무거워 보인다. 맹금류 등 천적이 출현하면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며 방어한다.
특징
전체적으로 광택이 있는 푸른색이고, 이마에 가늘고 긴 깃털이 여러 가닥 있지만 야외에서 관찰하기 힘들다. 몸윗면은 날개보다 색이 더 어둡다. 중앙꼬리깃이 외측 꼬리깃보다 약간 짧다. 외측꼬리 끝 부분이 볼록하며, 다른 바람까마귀 종류와 달리 매우 심하게 위쪽으로 향한다. 멱과 윗가슴은 배보다 광택이 뚜렷하다. 홍채는 붉은색이다. 부리는 검은색이다.
아종
지리적으로 14 또는 20아종으로 나누지만, 아종 간 차이점에 대한 자세한 자료가 부족하다.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중국 헤베이성에서 남쪽으로 미얀마 북부, 라오스 북부, 베트남 북부에서 번식하는 brevirostris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한반도에서 기록된 새 전종(74과 551종)을 수록한 새 도감이다. 20여 년간 종 보고자료와 분류학적 논문을 수집하고, 탐문, 표본 및 현장 확인, 실측을 통한 검증..펼쳐보기
조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바람까마귀 –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박종길, 자연과생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