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야생조류 필
드 가이드

뻐꾸기

다른 표기 언어 common cuckoo
요약 테이블
분류 두견이과(Cuculidae)
서식지 유라시아의 아한대, 온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동남부, 방글라데시, 미얀마 등지에서 월동한다.
크기 L31~32.5cm
학명 Cuculus canorus Common Cuckoo

서식

유라시아의 아한대, 온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동남부, 방글라데시, 미얀마 등지에서 월동한다. 4아종으로 분류한다. 산지와 인접한 개방된 곳에서 서식하는 흔한 여름철새다. 5월 초순에 도래해 번식하고, 9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주로 붉은머리오목눈이 둥지에 알을 낳으며, 딱새, 검은딱새 둥지에 탁란하는 경우도 확인되고 있다. 나뭇가지 위 또는 지상에서 곤충을 잡아먹는다. 나뭇가지, 전봇대에 앉아 꼬리를 위로 치켜세우고 "뻐꾹 뻐꾹" 하는 울음소리를 낸다. 울음소리로 다른 뻐꾸기류와 쉽게 구별된다.

특징

날개는 폭이 좁고 길며, 꼬리가 길다. 머리, 몸윗면, 가슴은 청회색이다. 배는 흰색이며 가늘고 검은 가로 줄무늬가 있다. 꼬리는 회흑색이며 깃축에 흰 반점이 있다. 홍채는 노란색이며 노란색 눈테가 있다.

암컷

수컷과 구별이 어렵다. 드물게 윗가슴에 녹슨 듯한 색인 경우가 있다. 홍채는 수컷보다 노란색이 적으며 약간 어두운 듯하다. 국내에 성조 적색형은 서식하지 않는다.

어린새

일반형과 적색형이 있다. 벙어리뻐꾸기 어린새와 구별이 힘들다.

일반형 : 머리와 목이 흑갈색이며 깃 중간에 흰색 깃이 섞여 있어 줄무늬를 이룬다. 뒷머리에 흰 반점이 뚜렷하게 보이는 경우가 많다. 몸윗면은 흑갈색 기운이 강하며 어깨, 등, 허리, 날개덮깃, 날개깃 끝에 흰 반점이 있다. 날개깃에 작은 적갈색 반점이 규칙적으로 이어져 있다. 몸아랫면은 멱에서 아래꼬리덮깃까지 가는 흑갈색 줄무늬가 있다. 홍채는 어두운 갈색이다.

적색형 : 몸윗면은 검은색과 적갈색 줄무늬가 교차하며 깃 끝이 흰색이다. 날개깃과 꼬리깃에 검은색과 적갈색 줄무늬가 교차한다. 가슴옆에 적갈색 기운이 약하게 있다.

뻐꾸기 성조(2008.5.29. 충남 천수만)

ⓒ 김신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뻐꾸기 성조(2006.5.28. 전남 신안 흑산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뻐꾸기 일반형 어린새(2004.10.2. 전남 신안 홍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닮은 종 비교

뻐꾸기 일반형 어린새(2007.9.11. 전남 신안 흑산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뻐꾸기 적색형 어린새(2007.8.14. 전남 신안 흑산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뻐꾸기 적색형 어린새(2007.8.14. 전남 신안 흑산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벙어리뻐꾸기 1회 겨울깃(2007.8.29. 전남 신안 흑산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벙어리뻐꾸기 일반형 어린새(2007.9.2. 전남 신안 흑산도)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되솔새 둥지속 벙어리뻐꾸기(2007.6.16. 강원 평창)

ⓒ 박철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벙어리뻐꾸기(좌)와 뻐꾸기(우)의 옆구리 깃 폭 비교

ⓒ 자연과생태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박종길 집필자 소개

국립공원관리공단에 근무하며, 조류 분류 연구, 가락지 부착 조사 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야생조류 길잡이』(신구문화사), 『한국의 도요물떼새』(자연과생태), 『한국의 맹금류..펼쳐보기

출처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 저자박종길 | cp명자연과생태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반도에서 기록된 새 전종(74과 551종)을 수록한 새 도감이다. 20여 년간 종 보고자료와 분류학적 논문을 수집하고, 탐문, 표본 및 현장 확인, 실측을 통한 검증..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류

조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뻐꾸기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박종길, 자연과생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