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전체항목

우리말 숙어 1000가지

우리말 숙어 1000가지 

우리말의 다양한 느낌과 쓰임새를 풍성하게 보여주는 생활 속 관용어 어휘 사전이다. 사회상 · 시대상을 반영하고 일상생활에서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숙어(관용어) 1000가지가 담겨있다. 자세히보기

저자이재운 외 | 출판사예담

조회순 표제어 목록

  • 안절부절을 못하다 (안절부절 못하다) ‘안절부절’은 마음이 불안하고 몸을 가만히 두지 못하는 상태를 일컫는 말이다. 풀어보면 ‘이러지도 저러지도’, ‘앉지도 그렇지 않게도(서지도..
  • 오금이 저리다 ‘저리다’는 순간적으로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그 부위에 힘을 줄 수 없고 마비된 듯 무딘 느낌이 든다는 말이다. 어떤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 다름이 아니라 ‘다르다’에 명사형을 만드는 ‘-ㅁ’이 붙어서 ‘다름’이 되었다. ‘다르다’는 ‘같지 않다’, ‘특별하거나 예사롭지 않은 데가 있다’라는 뜻..
  • 척을 지다 (척 지다) ‘척(隻)’은 조선시대 때 소송 사건의 피고로 지목된 사람을 가리킨다. ‘지다’는 어떤 상태가 생기거나 이루어짐을 뜻한다. ‘노을이 지다’,..
  • 봄을 타다 (봄 타다) ‘타다’는 ‘어떤 영향을 쉽게 받다’ 또는 ‘그러한 영향에서 오는 변화를 느끼다’라는 표현이다. 봄이 되면 입맛이 없어지고 몸이 나른해지며 ..
  • 경을 치다 ‘경(黥)’은 봉건시대 도둑에게 가하던 형벌의 한 가지로서, 죄인의 이마나 팔뚝 따위에 죄명을 먹줄로 써넣은 것을 말한다. ‘묵형(墨刑)’,..
  • 변죽을 울리다 (변죽 울리다) ‘변죽(邊-)’은 가장자리를 뜻하는 한자어 ‘변(邊)’에 같은 뜻을 지닌 순우리말 ‘죽’이 합쳐진 말이다. 그릇이나 세간, 과녁 따위의 가장..
  • 동티가 나다 (동티 나다) 예로부터 하늘을 천신(天神)이라 하고 땅을 지신(地神)이라 하여 신성시했다. 특히 땅을 터전으로 삼는 농민들에게 지신은 삶과 밀접한 연관이 ..
  • 더할 나위가 없다 (더할 나위 없다) ‘더하다’는 동사로서 ‘더 보태거나 많아지게 하다’, 형용사로서 ‘본래보다 더 심하다’라는 뜻이다. 여기에서는 형용사로서, 반대말은 ‘덜하다..
  • 집도 절도 없다 집은 사람들이 가족들과 더불어 거처하는 일정한 장소이고, 절은 승려들이 모여서 불법을 공부하며 산에서 거처하는 장소이다. ‘집도 절도 없다’..
  • 진배가 없다 (진배 없다) ‘진배’라는 말은 어원이 확실치 않다. 아마도 ‘어떤 것과 견주었을 때 그보다 다르거나 못함’을 뜻하리라 여겨진다. 이 말은 다른 표현에서는..
  • 오지랖이 넓다 상체에 걸치는 겉옷의 앞자락이 ‘오지랖’이다. 지난날로 보면, 두루마기의 앞자락에 해당한다. 두루마기는 기장과 품이 커서 오지랖이 넓다. 바..
  • 여념이 없다 ‘여념(餘念)’을 한자말 그대로 풀이하면 ‘남은 생각’, ‘나머지 생각’이란 뜻이다. 어떤 일을 생각하면서 또 다른 것에 할애하는 생각을 뜻..
  • 부아가 나다 (부아 나다) ‘허파’의 옛말이 ‘부화’이다. 이것이 ‘부하’로 바뀌고 다시 ‘부아’로 바뀌어서 오늘에 이르렀다. ‘부아’에는 ‘폐(肺)’라는 뜻 외에 ‘..
  • 바람을 쐬다 (바람 쐬다) ‘쐬다’는 ‘연기’, ‘햇빛’, ‘바람’ 등과 함께 쓰여 ‘그것이 미치는 범위에 있으면서 그 기운을 받는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바람이 부..
  • 한시름 놓다 ‘시름’이란 마음 깊은 곳에서 하는 걱정이나 근심을 뜻한다. 여기에 접두사 ‘한-’이 붙었다. ‘한-’은 ‘한길’, ‘한물’에서처럼 ‘큰’이..
  • 사족을 못 쓰다 ‘사족(四足)’은 동물이라면 네 발을 의미하고, 사람이라면 사지(四肢), 즉 ‘두 팔과 두 다리’를 뜻한다. 사람이든 동물이든 기형으로 인해..
  • 면목이 없다 (면목 없다) ‘면목(面目)’의 ‘면(面)’은 사람의 얼굴 표면 전체를 본뜬 글자로서 ‘얼굴’, ‘앞’, ‘향하다’를 뜻하고, ‘목(目)’은 사람 눈 모양..
  • 경종을 울리다 ‘경종(警鐘)’은 화재와 같이 위급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치는 종 따위의 신호를 가리킨다. 경종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위험한 상황에..
  • 자발이 없다 (자발 없다) ‘자발’이 무슨 뜻을 나타내는 말이었는지 확실치는 않으나, 지금은 ‘자발없다’의 형태로만 쓰이고 있으니 여기에서 그 뜻을 미루어 짐작할 수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