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서방으로의 팽창거의 없다는 것은 켈트족 최대의 약점이었다. 기원전 58년에 키잘피나(Cisalpina)와 나르보넨시스(Narbonensis)의 속주 총독에 임명된 카이사르는 갈리아 정복을 부와 영광을 획득하는 수단으로 여겼다. 로마의 동맹국이었던 아이두이(Aedui)족은 아리오비스투스(Ariovistus)의 많은 게르만인들을 축출시킨 헬베티...
-
카이사르의 제1차 3두정과 갈리아 정복기아트란살피나는 로마의 북서쪽 국경 너머에 있는 땅 정복의 출발점이 되었다(갈리아 정복). BC 58~50년 카이사르는 라인 강 왼쪽 연안에 이르는 갈리아의 나머지 땅을 정복했고, 그곳에 사는 이민족을 효율적으로 복속시켰다. 그래서 갈리아 지방은 BC 49~31년 로마에서 내전이 벌어지는 동안에도 줄곧 로마의 통치를...
-
제정의 기초를 닦는 과정에서 로마가 치른 전쟁, 갈리아 전쟁과 악티움 해전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서부, 그리고 라인 강 서쪽의 독일을 포함하는 지방) 지역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총독으로 부임한 카이사르는 곧 갈리아 지역을 정복하기로 마음먹고 진행시켰다. 그 당시 로마는 갈리아의 일부 부족 국가들과 교역 및 외교 관계를 맺고 있었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정복 이전부터 로마의 동맹...
-
-
갈리아 전쟁과 악티움 해전 연표 Gallic Wars · Battle of ..전투에서 베르킨게토릭스의 군대 무찌르고 대승. • 기원전 52년 - 로마 원로원, 폼페이우스를 단독 집정관에 임명 기원전 51년 카이사르, 모든 갈리아 부족을 로마에 복속시킴. 갈리아 정복 전쟁 마감 기원전 50년 로마 원로원, 카이사르에게 소환 명령 기원전 49년 카이사르, 군대를 이끌고 루비콘 강을 건너 로마로...
-
프랑스의 시조 갈리아인강 유역으로부터 남과 서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지금의 프랑스와 북부 이탈리아에 자리잡았다. 그로부터 수세기가 지난 BC 121년 로마는 갈리아 정복을 시작했으며, 로마 지배하에 갈리아는 완전히 로마화되었고 로마 제국 말기(250~400경)에 그리스도교가 갈리아에 깊이 뿌리를 내렸다. 로마 제국의 쇠퇴에 따라 갈리아...
-
-
베네티족 (갈리아) Veneti (Gaul), ウェネティ族 (ガリア)살던 부족이다. 베네티족은 해양부족으로 많은 선박으로 브리타니아를 왕래하여 그 지역의 갈리아 부족을 압도했다. 기원전 57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정복때 카이사르의 유능한 부하 장군인 푸블리우스 크라수스에 의해 정복되어 로마에 복속되었고 인질을 로마에 바쳤다. 그러나 이듬해인 기원전 56년 갈리아...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