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1967년 서울특별시에 있던 경기도청이 수원시로 이전됐으며, 1971년 광주군의 4개 면을 중심으로 성남출장소가 설치된 이후 1973년 안양읍이 안양시, 소사읍이 부천시, 성남출장소가 성남시로 각각 승격됨으로써 경기도의 행정구역은 6시 18군으로 됐다.
1981년에는 인구 증가로 인천시가 직할시로 승격 분리됐으며 양주군 동두천읍이 동두천시, 평택군 송탄읍이 송탄시, 시흥군 소하읍이 광명시로 각각 승격됐다.
1982년 시흥군 과천면에서 과천출장소가 설치되고 1986년에 구리읍, 평택읍, 과천출장소, 반월출장소가 각각 구리시, 평택시, 과천시, 안산시로 승격됨으로써 경기도는 12시 19군을 관할하게 됐다.
1989년 5월 성남시에 수정구와 중원구가 설치됐다. 1991년 9월 분당 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설치되었던 분당출장소를 분당구로, 1992년 2월에는 고양군 전체가 고양시로 승격되면서 경기도 행정구역은 19시 17군으로 됐다.
1995년 1월 도ㆍ농복합 형태의 시ㆍ군 통합이 시작되면서 경기도에서 최초로 미금시와 남양주군을 통합하여 남양주시가 설치됐으며 1995년 3월에는 김포군 검단면과 강화군 대부면을 제외한 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됐다.
1995년 5월 송탄시, 평택시, 평택군 등 3개 시ㆍ군을 통합해 평택시를 설치함으로써 경기도는 18시 13군이 됐다.
1996년 3월 용인군, 파주군, 이천군이 각각 시로 승격되어 21시 10군이 됐으며, 일산 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한 고양시에 1996년 3월 덕양구와 일산구가 설치됐다.
1998년 4월 안성군과 김포군이 각각 도농복합 형태의 시로 승격, 2001년 3월 화성군과 광주군 역시 도ㆍ농복합 형태의 시로 승격되면서 경기도는 25시 6군이 됐다.
이어 2002년 11월 1일 안산시에 단원구와 상록구가 설치되고 2003년 10월 19일 포천군과 양주군이 각각 도ㆍ농복합 형태의 시로 승격됐으며, 2003년 11월 24일 수원시에 영통구가 설치됐다.
2005년 4월 8일에는 고양시 일산구가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로 분구됐으며, 2005년 10월 31일 용인시에 처인구, 기흥구, 수지구가 신설되면서 경기도의 행정구역은 27시 4군 20구로 구성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