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유산 특별전 중에는 10월 12일에 개막해 11월 21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열린 ‘고려불화대전’이 가장 큰 관심을 모았다. 이 특별전에는 고려불화 61점을 포함해 관련 유물 108점이 전시됐다.
이 중 고려불화는 일본 소재 27점을 필두로 미국ㆍ유럽 소재 15점, 국내 소재 고려불화 19점으로 구성됐다. 더불어 고려불화와의 비교 감상을 위해 중국 및 일본 불화 20점이 찬조 출연했으며, 고려불화의 전통을 계승한 조선 전기 불화 5점과 고려시대 불상 및 공예품 22점이 아울러 선보였다.
전시품 중에서도 일본 센소지(淺草寺) 소장 수월관음도를 비롯해 네즈미술관(根津美術館) 소장 지장보살도, 오타카지(大高寺) 소장 관경16관변상도를 비롯한 출품작 상당수는 국내에서는 처음 공개됐다. 특히 ‘물방울 관음’이라는 별칭을 지닌 센소지 소장 수월관음도는 일본 현지에서도 공개하지 않아 일본 학자들조차 보기 어려운 것으로 유명했다.
전시작을 대여한 기관은 국내의 삼성미술관 리움을 비롯해 일본의 도쿄국립박물관ㆍ나라국립박물관ㆍ규슈국립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박물관ㆍ보스턴미술관, 프랑스의 기메박물관, 독일의 베를린동아시아박물관과 쾰른동아시아박물관, 러시아의 에르미타주박물관 등지를 포함해 총 44개 군데에 달했다.
이처럼 많은 기관에서 유물 대여를 협의하는 과정 또한 우여곡절이 적지 않았다. 이 특별전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뒤 어느 때인가 흩어져 세계 각지에 소장된 고려불화들을 한자리에 모았다는 점에 주목해 부제를 ‘700년 만의 해후’로 잡았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