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한국선수단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열린 2008 베이징올림픽에서 양과 질적인 면에서 풍성한 성적을 거뒀다. 임원과 선수를 포함해 총 389명으로 선수단을 꾸린 한국은 모든 경기가 끝난 2008년 8월 24일 금메달 13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8개를 따내 금메달 10개로 종합 10위 안에 든다는 ‘10-10’ 목표를 여유 있게 달성했다. 금메달 수에서도 1988년 서울올림픽과 19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이상 금 12)을 넘어 역대 최다인 13개를 따냈고 전체 메달 수에서도 31개로 서울 대회(33개) 다음으로 많았다.
국가별 메달 순위에서도 종합 7위에 올라 4위를 했던 서울 대회 다음으로 좋았다.
박태환은 남자 자유형 400m에서 금메달, 200m에서 은메달을 따내며 한국 체육사를 새로 썼고 장미란은 세계신기록 5개를 쏟아내는 월등한 기량으로 정상에 우뚝 섰다. 더욱이 한국 스포츠의 아이콘으로 떠오른 박태환과 장미란은 4년 뒤 런던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기대할 수 있어 찬란한 미래를 기약했다. 남자 역도 77㎏급 금메달리스트 사재혁(23ㆍ강원도청)도 역도를 효자 종목으로 자리 잡게 하는데 한 몫을 단단히 해냈다.
이번 대회에서 첫 금메달을 선사한 최민호(28ㆍ한국마사회)를 앞세운 유도는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보태 두터운 선수층을 자랑했고 태권도도 출전한 4체급에서 모두 금메달을 따내 종주국의 위용을 과시했다. 배드민턴은 혼합복식에서 이용대(20)ㆍ이효정(27ㆍ이상 삼성전기)조가 우승하는 등 금메달과 은메달, 동메달을 1개씩 수확했다. 한국야구는 본선 풀리그와 4강전에서 숙적 일본에 두 차례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는 등 전승으로 결승까지 올라 쿠바까지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며 대회 기간 열기를 끌어 올렸다.
양궁은 4개의 금메달 중 남녀 단체전에서 2개를 따내 체면을 세웠지만 남녀 개인전 정상 문턱에서 물러선 것이 아쉽다.
금메달 못지 않은 값진 메달도 있었다. 유럽 강호들의 틈새 속에서 여자 펜싱 플뢰레에서 남현희(27ㆍ서울시청)가 은메달을 따냈고 남자 체조 평행봉에서 은메달을 따낸 유원철(24ㆍ포스코건설)도 한국 체조의 희망의 빛을 던졌다. 4년 전 결승전 패배의 아픔을 딛고 다시 모인 여자핸드볼은 노르웨이와 준결승전에서 극적인 동점골을 넣고도 종료 직전 결승골을 내줘 통한의 눈물을 흘렸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헝가리를 꺾고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하지만 빛이 있으면 그늘이 있는 법.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운 종목도 있었다. 6개 대회 연속 금빛 행진을 이어온 레슬링은 이번 대회에 동메달 1개를 얻는데 그쳤다. 새로운 경기 방식에 대한 전략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있지만 무엇보다 4년 뒤 올림픽에서 금맥을 다시 이어줄 유망주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더 큰 걱정이다.
내분을 겪었던 탁구도 더 크고 단단해진 ‘만리장성’에 부딪혀야 했다. 남녀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딴 한국은 금메달을 독식한 중국뿐 아니라 국적만 바꾼 중국 선수들이 포진한 싱가포르, 유럽팀들과 힘겨운 경기를 했다. 사격은 진종오(29ㆍKT)만이 금메달과 은메달을 땄지만 나머지 선수들은 결선에도 나가지 못하는 실력 차이를 보였다. 여자농구도 8강 진출이라는 목표는 달성했지만 팀의 주축인 정선민, 박정은 등이 이번 대회가 사실상 마지막이 돼 4년 뒤 여자 핸드볼과 함께 ‘세대교체’라는 숙제를 떠안았다.
◇베이징올림픽 전적(2008.8.8~24)
▲야구
1. 한국 2.쿠바 3.미국
▲핸드볼(여자)
1. 노르웨이 2.러시아 3.한국
▲태권도
△남자 80㎏
1. 차동민(한국)
2. 알렉산드로스 니콜라이디스(그리스)
3. 아르만 칠마노프(카자흐스탄)
치카 야가지에 추크우메리제(나이지리아)
△여자 67㎏
1. 황경선(한국)
2. 캐린 서저리(캐나다)
3. 파티앙세 에팡(프랑스)
산드라 사리치(크로아티아)
△여자 57㎏
1. 임수정(한국)
2. 아지제 탄리쿨루(터키)
3. 마르티나 쥐비치치(크로아티아)
3. 다이애나 로페스(미국)
△남자 68㎏
1. 손태진(한국)
2. 마크 로페스(미국)
3. 숭유치(대만)
3. 세르베트 타제굴(터키)
▲체조
△남자 평행봉
1. 리샤오펑(중국) 16.450점
2. 유원철(한국) 16.250점
3. 안톤 포킨(우즈베키스탄) 16.200점
▲복싱
△69㎏
1. 바키트 사르세크바예프(카자흐스탄)
2. 카를로스 수아레스(쿠바)
3. 하나티 실라무(중국)
김정주(한국)
▲탁구
△남자 단체전
1. 중국 2.독일 3.한국
△여자 단체전
1. 중국 2.싱가포르 3.한국
▲배드민턴
△혼합복식
1. 이용대-이효정(한국)
2. 노바 위디안토-낫시르 릴리야나(인도네시아)
3. 허한빈-위양(중국)
△남자복식
1. 마르키스 키도-헨드라 세티아완(인도네시아)
2. 차이윈-푸하이펑(중국)
3. 이재진-황지만(한국)
△여자복식
1. 중국 2.한국 3.중국
▲역도
△여자 75kg이상
1. 장미란 326kg
2. 올하 코로브카(우크라이나) 277kg
3. 마리야 그라보베트스카야(카자흐스탄) 270kg
△남자 77kg
1. 사재혁(한국) 366kg
2. 리홍리(중국) 366kg
3. 게보리그 다브트얀(아르메니아) 360kg
△여자 53kg
1. J.프라파와디(태국) 221kg
2. 윤진희(한국) 213kg
3. 나스타샤 노비카바(벨루로시) 213kg
▲양궁
△남자 개인
1. 빅토르 루반(우크라이나)
2. 박경모(한국)
3. 바이르 바데노프(러시아)
△여자 개인
1. 장쥐안쥐안(중국)
2. 박성현(한국)
3. 윤옥희(한국)
△남자 단체
1. 한국
2. 이탈리아
3. 중국
△여자단체
1. 한국
2. 중국
3. 프랑스
▲유도
△남자 81㎏급
1. 올레 비쇼프(독일)
2. 김재범(한국)
3. 티아고 카밀로(브라질)
로만 곤티우크(우크라이나)
△남자 73㎏
1. 엘누르 맘마들리(아제르바이잔)
2. 왕기춘(한국)
3. 라술 보키에프(타지키스탄) 레안드로 구일레히로(브라질)
▲유도
△남자 60kg급
1. 최민호
2. 루드비히 파이셔(오스트리아)
3. 루벤 호우케스(네덜란드) 리소드 소비로프(우즈베키스탄)
▲사격
△남자 50m권총
1. 진종오(한국) 660.4점
2. 김정수(북한) 660.2점
3. 탄종량(중국) 659.5점
△남자 10m 공기권총
1. 팡웨이 (중국) 688.2점
2. 진종오 (한국) 684.5점
3. 김정수 (북한) 683.0점
▲수영
△남자 200m 결승
1. 마이클 펠프스(미국) 1분42초96(세계신기록)
2. 박태환(한국) 1분44초85초
3. 피터 밴더케이(미국) 1분45초14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55㎏
1. 이슬람-베카 알비에프(러시아)
2. 로브산 바이라모프(아제르바이잔)
3. 박은철(한국)
로만 아모얀(아르메니아)
▲펜싱
△여자 플뢰레 개인전
1. 발렌티나 베잘리(이탈리아)
2. 남현희(한국)
3. 마게리타 그란바시(이탈리아)
▲수영
△남자 400m 자유형 결승
1. 박태환(한국) 3분41초86
2. 장린(중국) 3분42초44
3. 라슨 젠슨(미국) 3분42초78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