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연합연감

제7차 교육과정 완성과 개선

2008년 연감 보러가기 / 교육 / 유아ㆍ초ㆍ중등교육
툴바 메뉴

제7차 교육과정이 2000년 초등학교 1, 2학년에 처음 적용된데 이어 2001년 초등학교 3,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2002년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 2003년에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2004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적용돼 7차 교육과정이 전 학년에 걸쳐 전면 적용됐다.

7차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교 1학년까지 10년간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고2, 3학년을 대상으로 한 학생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나눠진다. 또 수준별 교육이 실시되고 재량활동 시간이 대폭 늘어난다.

2007년 2월에는 7차 교육과정을 부분적으로 고친 개정안이 새로 고시됐다. 중ㆍ고등학교 사회 교과에서 역사 과목이 독립되고 고교 1학년의 과학, 역사 주당 수업시간이 1시간씩 늘어나는 등 과학, 역사 교육 강화에 초점이 맞춰졌다. 또 2008년 3월에는 수정 고시를 통해 중ㆍ고교의 경제 교육을 한층 강화하는 내용으로 교육과정을 일부 손질했다.

개정된 7차 교육과정은 초등 1, 2학년은 2009년 3월, 초등 3, 4학년 및 중1학년은 2010년 3월, 초등 5, 6학년 및 중 2학년, 고 1학년은 2011년 3월, 중 3학년 및 고 2학년은 2012년 3월, 고 3학년은 2013년 3월부터 적용된다.

7차 교육과정 정착을 위해 교육부는 제7차 교육과정 시행준비단을 구성ㆍ운영하고 전국 4천529명의 제7차 교육과정지원 장학협의단을 구성해 교원연수 및 장학과 대국민 홍보활동을 실시했다. 또 7차 교육과정의 이념인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성 신장에 적합한 질 높은 교과서 편찬에 주력, 국정 교과서 721책, 검정교과서 187종 1천575책을 발간했다.

7차 교육과정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교육부는 교원정원을 2000~04년에 2만3천968명을 증원하고, 2001~04년 2조4천억 원을 들여 3만1천316개의 교실을 증축하거나 수리했다.

또 주5일 수업제의 시행 등 다양한 국가ㆍ사회적 요구에 대비해 2005년부터는 교육과정 수시 개정체제를 구축, 시대ㆍ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과정을 수정ㆍ보완할 수 있게 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OP으로 이동

관련연감

유아ㆍ초ㆍ중등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