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2008년 아파트 분양 시장은 경기 침체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2008년 말 현재 전국 미분양주택은 총 16만5천59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정부가 미분양집계를 시작한 1993년 이후 역대 최고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만 5천866가구, 지방이 13만 6천704가구로 지방의 미분양이 심각한 수준으로 늘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4만6천476가구로 집계됐다. 시도별로는 서울, 인천과 충북, 대전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서울은 12월 한달동안 223가구(9.9%) 늘어 2천486가구가 됐고, 인천은 155가구(10.4%)가 증가해 1천647가구가 됐다.
전북은 1천381가구(42.7%)나 늘었다. 부산(1만3천997가구)은 295가구 줄고 대구(2만1천379가구)는 55가구 늘어나는 데 그쳐 증가세가 둔화했다. 2008년 한해 미분양주택은 총 5만3천345가구(47.5%)였으며 서울이 2천32가구나 증가해 증가율은 447.6%나 됐다. 인천도 1년새 1천120가구(212.5%)가 늘었다.
정부는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자 11월 경제난국극복 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지방 미분양 주택을 해결하기 위한 네 번째 대책을 내놓았다. 2010년 말까지 지방 소재 미분양주택을 샀다가 향후 팔 때에는 일반세율을 적용하고 장기보유 특별공제혜택도 부여해 10년 이상 보유 시에는 최대 80%까지 공제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또 1가구1주택자가 근무나 취학, 질병치료 등 실수요목적으로 지방소재 1주택을 취득하면 계속 1가구 1주택으로 인정하고 지방주택은 중과를 배제하기로 했다.
분양 시장이 위축되면서 전국의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007년 말 691만 1천994명에서 59만 5천720명(8.6%) 줄어든 631만 6천274명을 기록했다. 전국의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003년 말 634만 2천878명 이후 증가세로 돌아서 2006년 말 721만 2천736명으로 고점을 찍고서 2007년 말부터 2년째 감소했다.
건설사들이 미분양으로 자금난이 가중되자 신규 계약자뿐 아니라 기존 계약자에게도 중도금을 깎아주는 방식으로 분양가를 할인해주는 조건을 내세우기도 했다. 정부가 서울, 수도권 지역의 상당수를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에서 해제하기로 한 ‘10.21 건설대책’ 발표 이후 한 달 여간 분양된 전국 28개 단지 가운데 27개 아파트 단지가 순위 내 청약에서 미달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