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환조 이자춘(李子春), 桓祖
    조선의 제1대 왕, 태조의 아버지로, 고려 후기에 공민왕의 반원정책에 가담해 공을 세웠으며, 아들 이성계가 조선 건국의 토대를 세울 수 있도록 동북면의 토착기반을 구축한 왕족.|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과 자는 자춘(子春)이다. 도조(度祖: 李椿)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오동백호(斡東百戶) 박광(朴光)의 딸이...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환조 桓祖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본관은 전주(全州). 이름과 자는 자춘(子春). 아버지는 도조(度祖) 춘(椿)이며 어머니는 알동백호(斡東百戶) 박광(朴光)의 딸이다. 부인은 최한기(崔閑奇)의 딸이다. 이춘이 죽자 박씨 소생의 아들들과 후처인 조씨 소생의 아들들 간에 관직 세습을 둘러싸고 갈등이 생겼는데, 이때 형과 ...
    출생 :
    1315(충숙왕 2)
    사망 :
    1360(공민왕 9)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환조 (조선) Yi Cha-ch'un, 李子春
    왕족 정보 환조 이자춘(桓祖 李子春, 1315년 1월 20일~몰년(1360년 5월 3일(음력 4월 18일《이자춘 신도비명》 · 《정릉 신도비명(1393)》 · 《동문선》) 또는 1361년 6월 3일(음력 4월 30일《태조실록》 총서 · 《고려사》)) 미상)은 고려의 무신이며 조선의 추존 국왕이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로...
    도서 위키백과
  • 환조 (미술)
    환조(丸彫) 또는 두리새김은 대상을 완전히 삼차원성으로 구성하여 그 주위를 돌아가며 만져볼 수 있도록 한 입체표현의 조각이다. 모든 방향에서 볼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환조(Rundplastik)와 특정한 방향의 시점에서만 보이도록 예정한 환조(협의의 Vollplastik)가 있으며 후자는 부조(浮彫)에 가깝다. 부조...
    도서 위키백과
  • 환조
    환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환조(丸彫)는 입체적으로 조각하는 수법이다. 환조(桓祖)는 추존왕으로 기록된 조선 태조의 아버지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桓祖妃 懿惠王后 上諡號 金寶
    시호(諡號)등을 새겼는데 추가로 존호나 시호를 올릴 때마다 어보를 새로 제작하였다. 또 묘호(廟號)를 새길 경우에는 맨 앞에 새겼다. 환조비 의혜왕후의 어보로 환조는 태조의 아버지인 이자춘(李子春)이다. 태조 1년(1392) 4대 선조의 존호를 정하여 올렸는데 황비(皇妣)의 시호를 '의비(懿妃)'라 하였으며 굽어 보심...
    분류 :
    유물 > 어보
    크기 :
    세로: 9.8cmcm, 가로: 9.8cmcm, 높이: 8.5cmcm
    재질 :
    금속
  • 환조 상시호 금보 桓祖 上諡號 金寶
    시호(諡號)등을 새겼는데 추가로 존호나 시호를 올릴 때마다 어보를 새로 제작하였다. 또 묘호(廟號)를 새길 경우에는 맨 앞에 새겼다. 태조의 아버지인 환조(1315~1360)에게 올린 어보이다. 이름은 자춘(子春)이며 도조(度祖)의 아들이다. 아들 이성계의 조선 건국으로 환왕(桓王)으로 추존되었으며 이후 태종 11...
    분류 :
    유물 > 어보
    크기 :
    세로: 9.8cmcm, 가로: 9.8cmcm, 높이: 7.4cmcm
    재질 :
    금속
  • 정릉 (조선 환조)
    다른 뜻 정릉(定陵)은 조선의 추존왕 환조의 능이다. 함경남도 함주군 동천면 경흥리에 있다.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 환조의 능이다. 함경남도 함주군 동천면 경흥리에 있으며, 아내 의혜왕후의 화릉과 같은 언덕에 있다. 환조는 1361년(공민왕 10년) 음력 4월 경술일에 죽었으며, 함흥부 신평부 귀주동에 장사를 지냈다...
    도서 위키백과
  • Yi Jachun 조선 환조, 李子春
    transferred allegiance to the Goryeo Dynasty) and the father of Yi Seong-gye,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He was given the temple name Hwanjo (환조; 桓祖) by Taejong.Yi Ja-chun was a mingghan (chief of one thousand) of the Yuan Dynasty in Shuangcheng (雙城; Ssangseong in Korean, now...
  • 조각 彫刻, sculpture
    조각은 환조와 부조로 나누어지는데, 환조는 사람이나 의자처럼 공간 속에서 그 자체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물체와 같은 상이며, 부조는 배경이 되는 벽 등의 바탕으로부터 튀어나와 있거나 또는 거기에 부착되어 있거나 그 일부로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회화가 2차원에서 3차원의 환상을 보여주는 것에 비해 조각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소 , 미술
  • 서양조각사 history of Western sculpture
    만들어졌기 때문에 대체로 휴머니즘적이고 자연주의적인 경향을 띤다. 조각의 일반적인 2가지 유형으로는 조상(彫像)의 주위를 사방에서 돌아볼 수 있게 만든 환조와, 벽 등을 바탕면으로 하여 그것으로부터 돌출시켜 만드는 부조가 있다. 서양의 조각은 고대 그리스에서 로마 시대까지, 그리고 중세부터 19세기말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소 , 미술
  • 조각의 형태별 유형
    환조 고대 그리스의 아케익기 조각은 환조이면서도 일정한 시점에서만 보도록 되어 있다. 반면 16세기의 마니에리스모 시기에는 주된 시점이 없이 상 주위를 돌면서 보게 하는 독립적 조각상이 나왔다. 현대의 조각가들은 어느 고정된 시점을 염두에 두지 않고, 사방으로 열려진 공간의 개념을 도입하여 공간 안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함흥 정릉 화릉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