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일의정서 韓日議定書
    1903년 10월부터 주한 일본공사 하야시 곤스케가 이지용·민영철·이근택을 매수하여 일을 추진시켜 공수동맹의 성격을 띤 밀약이 조인 직전까지 이르렀다. 대한제국 정부는 국외중립선언으로 피하려고 했지만 러일전쟁의 발발로 실패했다. 2월 9일 일본군은 인천에 상륙하여 서울로 들어왔으며, 하야시는 고종을 만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한일의정서 韓日議政書
    1904년 한국과 일본 사이에 교환된 의정서.|역사적 배경 러·일 간의 전운이 급박함을 알게 된 대한제국은 1904년 1월 23일 국외중립을 선언, 양국간의 분쟁에 끼어들지 않으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한·만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러·일 양국은 이 해 2월 6일 국교를 단절, 2월 8일여순(旅順)항에서 처음 포성으로 상...
    시대 :
    근대
    발생 :
    1904년 2월 23일
    성격 :
    조약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190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한일의정서
    제1조. 한일 양 제국은 영구 불변의 친교를 유지하고 동양의 평화를 확립하기 위해 대한제국 정부는 대일본제국 정부를 확신해 제도 개선에 관한 그 충고를 받아들일 것. 제2조. 대일본제국 정부는 대한제국 황실을 확실한 친의로써 안전 강녕케 할 것. 제3조. 대일본제국 정부는 대한제국의 독립과 영토 안전을 확실히 ...
    시기 :
    1903~4년
  • 한·일 의정서 (동의어 한일 의정서) 韓日議定書
    1904년 2월 23일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이 우리나라를 식민지화하려는 제1단계로서 강제하여 교환한 의정서 .|1904년 2월 23일 러시아와 전쟁을 일으킨 일본이 한국 식민지화의 제1단계로서 한국에 강제하여 체결한 외교 문서로 전문 6조로 되어 있다. 의정서의 내용은, 대일본제국 정부는 대한 제국 황실의 안전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한일의정서 (관련어 한일 의정서) Japan–Korea Treaty o..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는 러시아 제국과의 전쟁을 일으킨 일본 제국이 중립을 주장하는 대한제국을 세력권에 넣기 위해 1904년 1월 대한제국 황성을 공격하여 황궁을 점령한 뒤 같은 해 2월 23일 강제로 체결한 조약이다. 일본이 한국을 협박하여 이지용과 하야시 곤스케 명의로 공수동맹을 전제로 6개의 조항으로 한일...
    도서 위키백과
  • 한일병탄
    러일 전쟁이 발발한 후 2주일 째인 1904년 2월 23일 일본은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를 강압적으로 체결하였다. 이 조약의 내용은 일본이 한국 황실의 안전과 한국 영토의 안전을 보장하는 대신 한국이 다른 나라의 침략을 받거나 내란 등으로 위험한 상태에 빠졌을 때 일본 정부는 한국 내의 필요한 지점을 언제든지...
  • 한일의정서 체결 8월 제1차 한 ・ 일협약 강제 체결
    2월 23일, 일본이 러 ・ 일전쟁에서 중립을 선언한 대한제국을 위협해 한 ・ 일의정서를 체결했다. 이로써 일본은 전쟁 수행에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대한제국의 어디든 사용할 수 있게 됐다. 8월 22일에는 역시 일본의 강요로 제1차 한 ・ 일협약이 체결됐다. 이를 통해 일본은 외국인 고문들을 앞세워 대한제국에 간섭...
    시대 :
    1904년 2월 23일
    국가/대륙 :
    한국
  • 을사늑약 제2차한일협약, 乙巳勒約
    하고 뒤이어 2월 23일 일본군 1개 사단이 서울에 진주하며 위협을 가하는 가운데 '한국정부는 시정개선(施政改善)에 대해 일제의 충고를 허용한다'는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를 강압적으로 체결하고, 내정간섭의 길을 열었다. 그후 한일의정서 시행세칙을 내세워 군사행동과 토지의 점령·수용을 자의적으로 단행했으며...
  • 한일외국인고문용빙에관한협정서 韓日外國人顧問傭聘─關─協定書
    개설 한일협정서(韓日協定書) 혹은 제1차 한일협약이라고도 부른다. 그 해 2월 23일에 조인된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 제1조에 의거, 대한제국의 내정을 개선한다는 명목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정 체결은 곧 한국의 외교권·재정권이 박탈되었음을 의미한다. 역사적 배경 일제가 러일전쟁을 도발한 의도는 한국...
    시대 :
    근대
    성격 :
    조약, 협정
    유형 :
    제도
    시행일 :
    1904년 8월 22일
    분야 :
    역사/근대사
  • 한일외국인고문용빙에 관한 협정서
    한일협정서 또는 제1차 한일협약이라고도 한다. 일제는 1904년 러일전쟁을 개전하는 동시에 2월 23일 한일의정서를 강요하고, 그해 5월 일본각의에서는 한국식민지화의 기본방침인 '대한방침'과 '대한시설강령'을 결정했다. 이 방침은 식민지화를 위한 대한정책의 확립인 동시에 실천방안이었다. 이어서 러일전쟁이 일제...
  • 한일합병 경술국치, 韓日合倂
    일제병탄(日帝兵灘)이라고도 한다. 일제의 한국 침략은 1904년 러일전쟁의 승리를 계기로 본격화했다. 일제는 강압적인 무력을 앞세워 1904년 2월 한일의정서, 그해 8월 한일외국인고문용빙에 관한 협정서(제1차 한일협약), 1905년 11월 을사늑약, 1907년 7월 한일신협약(정미칠조약)을 차례로 체결하여 한국를 식민지화...
  • 한일합병 경술국치, 韓日合倂
    동시에 1904년 2월, 한국에 군대를 파견함으로써 침략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이러한 군사력을 등에 업고 한국 정부를 위협하여 체결한 것이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이다. 이로써 한국은 일제에게 군사적 목적을 포함한 모든 편의의 제공을 강요당했으며, 많은 토지와 인력도 징발당하였다. 나아가 일제는...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
한일의정서 원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