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한일의정서 韓日議政書1904년 한국과 일본 사이에 교환된 의정서. 역사적 배경 러·일 간의 전운이 급박함을 알게 된 대한제국은 1904년 1월 23일 국외중립을 선언, 양국간의 분쟁에 끼어들지 않으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한·만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러·일 양국은 이 해 2월 6일 국교를 단절, 2월 8일여순(旅順)항에서 처음 포성으로 상...
- 시대 :
- 근대
- 발생 :
- 1904년 2월 23일
- 성격 :
- 조약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190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한일의정서제1조. 한일 양 제국은 영구 불변의 친교를 유지하고 동양의 평화를 확립하기 위해 대한제국 정부는 대일본제국 정부를 확신해 제도 개선에 관한 그 충고를 받아들일 것. 제2조. 대일본제국 정부는 대한제국 황실을 확실한 친의로써 안전 강녕케 할 것. 제3조. 대일본제국 정부는 대한제국의 독립과 영토 안전을 확실히 ...
- 시기 :
- 1903~4년
-
-
-
한일의정서 체결 8월 제1차 한 ・ 일협약 강제 체결2월 23일, 일본이 러 ・ 일전쟁에서 중립을 선언한 대한제국을 위협해 한 ・ 일의정서를 체결했다. 이로써 일본은 전쟁 수행에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대한제국의 어디든 사용할 수 있게 됐다. 8월 22일에는 역시 일본의 강요로 제1차 한 ・ 일협약이 체결됐다. 이를 통해 일본은 외국인 고문들을 앞세워 대한제국에 간섭...
- 시대 :
- 1904년 2월 23일
- 국가/대륙 :
- 한국
-
-
한일외국인고문용빙에관한협정서 韓日外國人顧問傭聘─關─協定書개설 한일협정서(韓日協定書) 혹은 제1차 한일협약이라고도 부른다. 그 해 2월 23일에 조인된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 제1조에 의거, 대한제국의 내정을 개선한다는 명목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정 체결은 곧 한국의 외교권·재정권이 박탈되었음을 의미한다. 역사적 배경 일제가 러일전쟁을 도발한 의도는 한국...
- 시대 :
- 근대
- 성격 :
- 조약, 협정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04년 8월 22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한일외국인고문용빙에 관한 협정서한일협정서 또는 제1차 한일협약이라고도 한다. 일제는 1904년 러일전쟁을 개전하는 동시에 2월 23일 한일의정서를 강요하고, 그해 5월 일본각의에서는 한국식민지화의 기본방침인 '대한방침'과 '대한시설강령'을 결정했다. 이 방침은 식민지화를 위한 대한정책의 확립인 동시에 실천방안이었다. 이어서 러일전쟁이 일제...
-
-
한일합병 경술국치, 韓日合倂동시에 1904년 2월, 한국에 군대를 파견함으로써 침략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이러한 군사력을 등에 업고 한국 정부를 위협하여 체결한 것이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이다. 이로써 한국은 일제에게 군사적 목적을 포함한 모든 편의의 제공을 강요당했으며, 많은 토지와 인력도 징발당하였다. 나아가 일제는...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