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미상호방위조약 韓美相互防衛條約
    1953년 10월 1일 한국과 미국간에 조인되고 1954년 11월 18일에 발효되었으며 상호방위를 목적으로 체결된 조약|내용 1953년 10월 1일 조인된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국(남한) 방위를 위하여 외국과 맺은 군사 동맹으로서, 이는 최초이며 지금까지 유일한 동맹조약이다. 이 조약의 체결배경을 보면 1950년 한국전쟁과 ...
    시대 :
    현대
    발생 :
    1953년 10월 1일, 1954년 11월 18일(발효)
    성격 :
    조약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외교
  • 한미상호방위조약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간..
    1953년 10월 1일 워싱턴에서 한국과 미국 간에 체결된 조약.|정식 명칭은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간의 상호방위조약'이다. 한국은 1948년 정부수립 이후 '한미군사안전잠정협정'과 1949년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 간의 주한미군 군사고문단 설치에 관한 협정'을, 뒤이어 1950년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을 체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국방
  • 한미상호방위조약 (관련어 한미 상호 방위..) Mutual Defense Treaty (United States–South Korea), 米韓相互防衛..
    조약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은 1953년 10월 1일 체결되고 1954년 11월 18일 조약 제34호로 발효된 대한민국과 미국간의 상호방위조약이다. 1953년 6월 17일 이승만 대통령은 미국 브릭스 대사와 회동을 하면서 한미상호방위조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는데, 당시는 미국 주도로 휴전 협정이 진행되고 있던 ...
    도서 위키백과
  • 한미 상호 방위 조약 韓美相互防衛條約,..
    1953년 10월 1일 체결되고 1954년 11월 18일 발효된 한국과 미국 간의 상호 방위 조약.
  • 한 ・ 미 상호 방위 조약의 체결
    한 ・ 미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됐다. 이로써 미국은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이 발생했을 때 유엔 결의 없이 바로 개입할 수 있게 됐다. 한 ・ 미상호방위조약은 실질적인 군사 동맹으로서 이승만 대통령의 역점 사업이었다.
    시대 :
    1953년 10월 1일
    국가/대륙 :
    한국
  •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Hangul:; Hanja:) is an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approved and enacted in 1953. See also United States Forces Korea U.S.–South Korea Status of Forces Agreement External links
  • 주한 미군 지위 협정 U.S.–South Korea Status of Forces Agr..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같은 해인 6월 27일과 7월 7일의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1953년 10월 1일에 체결된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라 대한민국 영역과 그 부근에 미군이 배치되어 미군 주둔에 필요한 세부 절차를 내용으로 하는 한미 SOFA가 1966년 7월 9일 대한민국 행정부 대표...
    도서 위키백과
  • 상호방위조약 相互防衛條約, mutual defenc..
    군사적 협력수준과 원조방식 등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이 붙여진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체제에서 동서 양 진영으로 나뉘어 각기 상호방위조약에 의한 군사적인 동맹을 맺음으로써 더욱 심각한 대립 양상을 보였다. 이같은 조약으로는 1954년 11월 체결된 한미 상호방위조약을 비롯하여 1951년 미국-필리핀 상호...
  • 미국과 한국의 관계 미국과 한국과의 관계
    원만한 관계가 유지되었다. 그 이후로는 경제적인 문제로 서로 마찰을 빚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미국은 안보상 긴밀한 협조국으로, 1953년 10월 한미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된 이래 꾸준히 군사원조를 제공해 한국군의 현대화를 도왔고, 최신예전투기를 한국에 배치해 방어력을 강화하는 데 힘써왔으며 매년 한미합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은 1950년 1월 26일 조약 제4호로 발효된 대한민국과 미국간의 경제 및 군사원조에 관한 협약을 말한다. 1949년에 제정된 상호방위원조법에 의거, 미국이 군사원조를 제공하고 대한민국이 이를 접수하는 것에 관한 상호간의 양해사항을 명시할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정에 따라 같은 해 3월 말...
    도서 위키백과
  • 한미동맹 韓美同盟
    개설 한반도에서 북한의 전쟁 재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미국은 이승만 대통령과 논의한 결과 “한미상호방위조약(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이 체결되어 한미동맹관계는 법적·국제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 조약은 1953년 8월 8일 서울에서 가조인되었고...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 Treaty o..
    우케루, 《미일 동맹의 정체 - 갈팡질팡하는 안전 보장》 (고단샤 현대 신서) 조약 및 기구 일본과 미국 간의 안전 보장 조약 (1952년 발효한 구 안보 조약)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 대만관계법 (구 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 미국-필리핀 상호 방위 조약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북대서양 조약 기구...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韓美相互防衛條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