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악골 Mandible정의 하악골은 아래턱을 구성하는 뼈로 하악관절과 연결되어 있고 씹는 기능과 치아를 떠받치는 기능을 합니다. 위치 얼굴의 가장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구강의 하부에 자리합니다. 구조 머리뼈 중 가장 아랫부분에 위치하여 얼굴의 하부를 구성합니다. 하악골은 아치 모양의 뼈로, 태어날 때는 1쌍으로 구성되었다가 생...
- 관련 질환 :
- 안면골절, 침샘염, 구강암, 턱관절 장애, 치열 궁 관계의 이상
- 관련 인체 :
- 턱, 상악골, 턱관절, 귀, 치아
- 관련 검사 :
- 방사선 촬영, 전산화단층촬영검사, 타액선조영술
-
-
하악골과 상악골, 턱의 골절 Fracture of the mandible a..주요 증상 갈증이 줄어듬, 갈증이 없음 개구장애, 개구곤란 과도한 침흘림 구강, 혀의 종창 머리, 목관절의 이완, 탈구 머리, 목의 염발음, 마찰음 머리, 얼굴 뼈노출 머리, 얼굴, 귀, 턱, 코의 종창 무기력 수척, 건강상태 불량, 증체율 불량 식욕부진 연하곤란 이빨의 결손 이빨의 교합부전 저작곤란, 잘 씹지 못함...
- 축종 :
- 개, 고양이
-
턱관절 탈구 Luxation of the mandible정의 턱관절 탈구는 어떤 원인에 의해 아래 턱이 앞이나 옆으로 빠지는 질환입니다. 원인 해부학적으로 턱관절이 잘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외에 턱관절을 싸고 있는 관절낭과 인대가 느슨해져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하품을 하거나 크게 웃을 때, 외상을 입었을 때, 장시간 입을 벌릴 때 발생합니다. 드물게...
- 분류 :
- 치과질환
- 발생 부위 :
- 입
- 증상 :
- 개 폐구 장애, 두통, 하악전돌
- 진료과 :
- 치과
- 관련 질환 :
- 턱뼈 성장 이상, 턱관절 장애, 안면 비대칭
-
-
인간의 축성골 및 내장골먹을 때 이 뼈는 혀·후두와 함께 위로 빠르게 이동한다. 안면골(facial bones) 얼굴골격의 대부분은 좌우 2개의 상악골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뼈는 하악골의 보조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안구의 중간부분과 아랫부분을 형성하기도 한다. 2개의 상악골 사이, 즉 작은 비근골의 아래 경계부분의 바로 밑에는 콧속과...
-
턱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정의 턱관절이란 하악골(아래턱뼈)와 측두골 사이에 위치하여 두 뼈를 연결시키는 관절을 말합니다. 위치 얼굴의 양 옆면이면서 광대뼈 아래에 위치하며, 귀의 바로 앞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구조 턱관절은 양쪽의 하악골과 측두골이 만나는 부위에서 관절을 이루고 있습니다. 인대가 상악골과 하악골에 각각 부착되어...
- 관련 질환 :
- 턱관절 장애, 턱 머리뼈 바닥의 관계 이상, 치열 궁 관계의 이상, 턱관절 탈구
- 관련 인체 :
- 상악골, 하악골, 턱
- 관련 검사 :
- 방사선 촬영, 전산화단층촬영검사, 심리 검사, 근전도 검사
-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 Treacher-Collins syndrome우성 유전된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은 안검열 외하방 편위, 하안검 결손, 관골 형성 부전, 관골궁 형성 부전, 상악골 형성 부전, 하악골 형성 부전, 외이 및 중이의 기형 등 다양한 안면부 기형이 나타나는 선천성 질환입니다. 발병 빈도는 2만 5,000~5만 명당 1명입니다. 원인 트리처 콜린스...
- 분류 :
- 유전질환
- 발생 부위 :
- 전신
- 증상 :
- 난청, 다른 선천성 기형, 얼굴형태의 이상
- 진료과 :
-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의학유전학과
- 관련 질환 :
- ARC 증후군, 베크위트-위드만 증후군, 연골외배엽 이형성증 , 판코니범혈구감소증, 다발성 흑자 증후군, 루빈스타인 테이비 증후군 , 스미스-마제니스 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