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코로나 잡음 -雜音, corona noise
    전계가 균일성을 상실하여 전위 경도가 큰 부근에 전리가 강하게 일어나고, 여기에 전류가 집중되어 공간 전하 효과가 증대함에 따라 그 부분만 발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송전선에 발생되면, 고주파 전기 진동이 생겨 전력선 반송 장치에 악영향을 주게 되어 잡음으로 나타난다. 또한 무선 주파수의 잡음을 발...
  • 가공 송전선 코로나 및 무선잡음 amatur band
    아마추어 무선 종사자에 의한 신호 송신용에 할당된 몇개의 주파수대 중에 임의의 하나
  • 잡음 noise
    관련하여 미리볼트피크치로 표시된다. ⑨ 전기잡음 용어. 제어계의 회로 내에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는 영향을 가져오는 불필요한 전기적 신호 ⑩ 가공송전성 코로나 및 무선잡음 용어. 유효주파수 대역에서의 불필요 방해 ⑪ 오실로 스코프 용어. 정상적인 관면상의 표시를 손상시킬 두려움이 있는 외래의 전기적 방해
  • 불규칙잡음 random noise
    과도적방해가 많은 경우에 한하여 빈번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이 스펙터 특성은 열잡음특성과 동일하다. 열잡음 및 숏트잡음은 불규칙잡음의 특수한 경우이다. ④ 가공송전선코로나 및 무선잡음 용어. 불규칙적으로 생기는 과도적방해로 된 잡음. 주 : 통계적으로만 예측할 수 있는 잡음의 일종.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 백색잡음 white noise
    ① 데이터 전송 용어. 불규칙잡음 또는 임펄스성 잡음으로써, 관여된 주파수범위에서 평범한 주파수 스펙터클을 가진다. ② 가공전력선 코로나 및 무선잡음 용어. 대상으로 하는 주파수범위에 있어서 평범한 주파수 스펙타클을 가진다. 랜덤 또는 임펄스성 중의 하나인 형태의 잡음 ③ 전화업무 용어. 해당되는 주파수...
  • 무선잡음 radio noise
    신호상에 중첩되어 무선주파수대내에 있는 전자잡음. 이를 규준으로 해서 보면, 정현파특성의 전자방해도 무선잡음이라 할 수 있다. ③ 가공송전선코로나 및 무선잡음 용어. 무선주파대의 불요방해를 말하는 것으로 예로서, 전송채널 혹은 소자내의 불요전파가 있다. IEEE Std430-1976, 가공송 전선에서의 무선잡음측정...
  • 배경잡음 background noise
    ① 데이타 전송 용어. 경음 또는 간헐적, 불규칙적으로 생기는 잡음 ② 가공전력선 코로나 및 무선잡음 용어. 계의 전잡음에서 전력계로부터의 무선잡음의 유무에 무관계한 것. 주 : 배경잡음은 전력계로부터의 잡음의 일부에 가할 필요는 없다. ANSI 1976를 참조. ③ 안테나 용어. 주기적 또는 랜덤으로 생기는 흔들림...
  • 코로나 corona
    전계가 특정한 값을 넘은 영역에 한정된 방전 〈참조어〉 방전 ③ 전력용 변압기 및 배전용 변압기 용어 〈참조어〉 부분 방전 ④ 가공 전력선 코로나 및 무선 잡음 용어. 전계 강도가 어느 임계치를 넘었기 때문에 전극 주위의 공기가 전리함으로써 생기는 발광을 동반하는 방전. 주 : 이 규정에사 전극이란 도체, 주변...
  • 코로나 모드 corona modes
    가공전력선코로나 및 무선잡음 용어. 글로와 스트리머 하는 두 개의 주요한 모드가 존재한다. 이것들의 특성 및 어느 것이 생기는가는 전극의 극성, 주위의 공기의 기본적 전리의 특성. 전계의 강도와 분포에 의존한다. 따라서 전극의 형상 주위의 대기조건 및 인가전압의 값과 극성이 코로나 모드를 결정하는 주요한...
  • 양의 파괴전 코로나 positive pre-breakdown stremers
    가공전력선 코로나 및 무선잡음 용어. 코로나코로나 발생의 초기상태. 양 글로우(glow)의 발생에 필요한 자계의 강도보다 더욱 강한 자계의 강도에서 발생한다. 방전은 갭(gap)을 넓게하는 데에 따라 분기를 수반한 청색 필라멘트광과 같은 빛을 발생한다.(코로나의 영향에 의해 발생한다) 전류펄스는 높은 레벨...
  • 가공전력선 코로나 overhead power line, coeona
    가공전력선 코로나 및 무선잡음 용어. 송전전압의 극성이 정 또는 부일때 도체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코로나 주 : (1) 뒤틀림, 칼자국, 긁힌 자국이나 반도체중 또는 절연층이 돌출된 것과 같은 표면의 부정부가 코로나의 발생부위가 되는 일이 많다. (2) 도체 근방으로 공기중을 날라 온 건조성 또는 습성의 입자도...
  • 버스트 코로나 burst corona
    가공전력선 코로나 및 무선잡음 용어. 버스트 코로나는 양극글로우의 초기단계로 생각된다. 양극에 있어서 코로나 개시전위경도 혹은 약간 그것을 초과하는 전계강도에서 생긴다. 버스트 코로나는 전극표면에 밀착한 벨벳식의 글로우방전의 박청색의 필름처럼 보인다. 버스트 코로나의 전류펄스는 진폭이 낮고 밀리초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