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청산리전투 청산리 대첩, 靑山里戰鬪
    김좌진(金佐鎭)이 이끄는 북로군정서 독립군이 일본군을 청산리 백운평으로 유인하여 대파한 전투.|개요 청산리전투의 승리는 일제가 1920년부터 계획한 독립군 전체에 대한 초토계획과 작전 그 자체를 무위로 만들었다. 일본군의 진공과 독립군의 작전 1920년 10월 일본군 동지대 부대는 화룡현 삼도구에 있는 북로군...
  • 청산리대첩 (동의어 청산리 전투) 靑山里大捷
    1920년 10월 김좌진(金佐鎭)·나중소(羅仲昭)·이범석(李範奭)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등을 주력으로 한 독립군부대가 독립군 토벌을 위해 간도에 출병한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전투 끝에 대파한 전투.|역사적 배경 국권상실을 전후...
    시대 :
    근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청산리 전투 (관련어 청산리전투) Battle of Qingshanli..
    나중소(羅仲昭), 서일, 이범석의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홍범도가 지휘하는 대한독립군, 대한신민단 예하 신민단 독립군을 주축으로 한 만주 독립군 연합 부대가 중화민국 길림성 화룡현 청산리 백운평(白雲坪)·천수평(泉水坪)·완루구(完樓溝) 등 간도에 10여 차례 출병한 일본 제국 육군과 벌인 전투다. 중국 ...
    도서 위키백과
  • 봉오동 전투청산리 전투 鳳梧洞戰鬪
    3·1 민족독립항쟁을 계기로 조선 내부에서는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하는 독립전쟁론과 미국과 영국 등 국제세력에 대한 외교적 교섭을 통해 독립을 이룰 수 있다는 외교독립론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1920년대 만주와 연해주 일대에는 본국으로부터 망명해 오는 청년들이 급증하면서 30여 개의 독립군 부대가 활동하...
    시대 :
    1920년
  • 김좌진 (관련어 청산리 전투) 청산리 전투의 영웅이 되다
    북로군정서의 총사령관 김좌진 한일병합 이후 국내에서는 일제의 감시와 억압 때문에 제대로 된 항일 투쟁을 펼치기가 힘들었다. 특히 무기와 군사 훈련이 필요한 무장 투쟁의 경우는 더욱 그랬다. 그래서 뜻이 있는 독립투사들은 좀 더 여건이 좋은 만주나 연해주로 망명했다. 그곳에서 자체적으로 부대를 만들어 훈련...
    출생 :
    1889년(고종 26) 11월 24일
    사망 :
    1930년 01월 24일
    본관 :
    안동(安東)
  • 홍범도 (관련어 청산리전투) 여천, 洪範圖
    의병전쟁 및 항일독립전쟁기의 대표적 장군으로 봉오동·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으며, 민족주의와 민중의 힘을 바탕으로 하는 철저한 무장투쟁노선을 통해 국권을 회복하고자 했다. 1891년경 금강산 신계사(神溪寺)에 2년간 상좌로 있으면서 지담(止潭)으로부터 글을 배우고 승군(僧軍)의 활동 등에 대해 들으며 민...
    출생 :
    1868(고종 5), 평양
    사망 :
    1943
    국적 :
    한국
    호 :
    여천(汝千)
  • 조선의 항일 운동 (관련어 청산리 전투)
    1910년 8월 29일 한일 합병 조약이 공포됨과 동시에 일본은 서울에 조선 총독부를 설치하고 초대 총독에 데라우치 마사타케를 임명하였다. 그리고 조선에서 시행할 법령은 조선 민중의 의사여하를 불문함은 물론 일본 의회를 거치지 않고, 칙재(勅裁)에 의한 조선 총독부의 명령으로 대신하도록 규정하여, 총독은 조선에...
  • 청산리 전투 전승 100주년
    35년의 일제 치하에서 우리 민족에게 큰 승리를 안겨준 청산리 전투가 올해로 100주년을 맞았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독립군이 일본군을 상대로 벌인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전투였던 청산리 전투의 전승 100주년을 기리고자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1919년 3・1운동을 기점으로 독립군은 두만강과 압록강 접경지에서 더욱...
    발행일 :
    2020. 10. 21.
    발행량 :
    총 688,000장
    종수 :
    1
    액면가격 :
    380
    디자인 :
    청산리 전투
    우표번호 :
    3464
    인면 :
    42.5 × 25
    천공 :
    13¾ ×14¼
    전지구성 :
    4 × 4
    용지 :
    평판 원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 4도
    우표크기 :
    45mm × 28mm
    디자이너 :
    신재용
    인쇄처 :
    POSA(조엔쉐데社)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Battle of Qingshanli 청산리 전투, 青山里戦闘
    The Battle of Qingshanli was fought over six days in October 1920 between the Imperial Japanese Army and Korean armed groups in a densely wooded region of eastern Manchuria called Qīngshānlǐ (Seizanri; , Cheongsanri). It occurred during the campaign of the Japanese army in Jiandao, during the ...
  • 독립군 부부에서 광복군 가족으로 독립전쟁에 투신한, 오광선 ・ 정현숙 吳光鮮 ・ 鄭賢淑
    새로 분교를 설치했다. 이 곳은 합니하로부터 약 40키로 떨어진 ‘고산자진(孤山子鎭) 전승향(全勝鄕) 승희촌(勝喜村)’ 조선족촌 뒷산이다. 마을이름은 청산리전투의 승리를 기뻐한다는 의미에서 지었다고 한다. 오광선이 고산자진 신흥무관학교에 교관으로 옴에 따라 독립군 양성에 더 활기가 띠었다. 이후 그는...
    출생 :
    오광선 1896년 5월 14일, 경기 용인 / 정현숙 1900년 3월 13일, 경기 용인
    사망 :
    오광선 1967년 5월 3일, 정현숙 1992년 8월 1일
    포상훈격 :
    오광선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정현숙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
  • 청산리전투의 잊혀진 영웅, 박영희 朴寧熙, 박두희(朴斗熙)
    신흥무관학교의 교관과 학도감으로 근무하게 된다. 이점을 통하여 그의 탁월한 성적과 애국심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북로군정서로의 파견과 청산리전투 참여 북로군정서로의 파견 신흥무관학교는 1910년대 만주지역에서 조직된 대표적인 독립군 양성기관으로 이 학교출신들은 서로군정서 ・ 북로군정서...
    출생 :
    1896년 12월 28일, 충청남도 부여
    사망 :
    1930년
    포상훈격 :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 조국광복의 서전 봉오동전투의 인물, 임병극 중송, 林炳極
    향해 이동시켰다. 그러나 최진동의 군무도독부는 연합부대인 북로독군부에서 이탈해 백두산록을 향하지 않고 동북방향으로 진로를 정해 별도로 행동했다. 청산리 전투에 참가하다 이 같이 독립군들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것이 청산리전투였다. 북간도의 진영을 떠난 북로독군부 소속의 대한독립군과 국민회군 소속...
    출생 :
    1885년, 평안도
    사망 :
    미상
    포상훈격 :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0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