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징병거부운동 徵兵拒否運動일제가 조선 청년을 강제동원해 일본군에 투입키로 한 징병제(徵兵制)의 시행에 반대해 일어난 전국적인 저항운동. 역사적 배경 일제가 조선에 징병제를 실시한 것은 1943년 3월 1일자로 개정병역법을 시행하면서부터이다. 그러나 이 징병제가 실시되기 이전부터 육군지원병·해군지원병·학도지원병 등 지원이라는 이...
- 시대 :
- 근대
- 발생 :
- 일제강점기
- 성격 :
- 저항운동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징용거부운동 徵用拒否運動치안상 미치는 영향 또한 심대함에 비추어……”라고 하였다. 이 시기 징용거부운동은 단순한 기피 차원이 아니라, 전시 치안을 위협한 항쟁적 상황이었던 것...동지들과 집단행동을 벌인 하준식(河俊植)의 지리산지역에서만 징용·징병기피자 200여 명이 있었다는 증언으로 미루어 볼때 전국적으로 그 인원이 상당히...
- 시대 :
- 근대
- 발생 :
- 일제강점기
- 성격 :
- 저항운동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학병거부운동 學兵拒否運動닥치는 대로 폭언과 폭행을 가하고 재동파출소를 파괴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경찰은 학도지원자들이라는 이유로 문책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거부운동은 전국에 걸쳐 일어나 일제 기관에 도전하고 저항하였다. 그 가운데 가장 크게 일어난 집단적인 학병거부운동은 서울에서 전개되었다. 보성전문대학의 이철승...
- 시대 :
- 근대
- 발생 :
- 일제강점기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김승기 金勝基이산면(伊山面) 신암리(新岩里)에서 태어났다. 1944년 10월 영주군에서 야학(夜學)을 통해 민족교육 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김동태(金東泰)와 함께 징병 거부 운동을 벌였다. 태평양전쟁에서 수세에 몰린 일제는 1944년 우리 청년들에게도 징병제를 적용하여 무차별적으로 침략전쟁에 동원하였다. 징병을 강요당한 청년...
- 출생 :
- 1924년 10월 20일, 경상북도 영주(榮州)
- 사망 :
- 2017년 10월 13일
- 관련 사건 :
- 징용거부 운동
- 주요활동 :
- 1944년 10월부터 경상북도 영주, 봉화 일대에서 징병거부 운동 전개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김위도 금성위도, 金渭道송내리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 1944년 7월 26일부터 8월 13일까지 경산군 남산면 일원의 청년들이 일제의 강제 동원을 거부하고 집단적, 조직적으로 벌인 징용, 징병 거부 운동, 이른바 결심대(決心隊)의 대왕산 죽창 의거(大王山竹槍義擧)에 참여하여 결심대의 1소대 대원으로 활동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과 1941년...
- 출생 :
- 1920년 9월 4일, 경상북도 경산(慶山)
- 사망 :
- 1989년 6월 17일
- 관련 사건 :
- 결심대의 대왕산 죽창 의거
- 본관 :
- 경주(慶州)
- 주요활동 :
- 결심대 1소대 대원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결심대(決心隊)
-
김홍준 금본홍준, 金洪俊당시 사월동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 1944년 7월 26일부터 8월 13일까지 경산군 남산면 일원의 청년들이 일제의 강제 동원을 거부하고 집단적 ・ 조직적으로 벌인 징용 ・ 징병 거부 운동, 이른바 ‘결심대(決心隊)의 대왕산 죽창 의거(大王山竹槍義擧)’에 참여하여 3소대 대원으로 활동하였다. 일제 말기 전시 체제하...
- 출생 :
- 1922년 10월 24일, 경상북도 경산(慶山)
- 사망 :
- 1993년 3월 22일
- 관련 사건 :
- 결심대의 대왕산 죽창 의거
- 본관 :
- 김해(金海)
- 주요활동 :
- 1944년 '결심대 대황산 죽창 의거'에서 3소대 대원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결심대
-
-
청년운동 靑年運動외교를 거부하고 사회적 불평등과 사회부조리를 제거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운동의 내용을 보면, ① 청나라에 대한 조공의 허례를 폐지할 것, ② 문벌을 폐지할 것, ③ 전후 탐관오리 중 심악(甚惡)한 자는 치죄(治罪)할 것, ④ 지세법을 개혁하여 간리(奸吏)를 두절하고 궁민을 보호하여 국용(國用)을 유족하게 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여운형 몽양, 呂運亨받았으나 거부하였다. 1944년 1월 봉안에서 만주군 소속이던 박승환(朴承煥)과 만나 군사조직 문제를 논의하였다. 박승환은 만주군 내 건국동맹 비밀조직을 만들었다. 1944년 4월 거짓환갑잔치를 열고 조선건국동맹 조직을 위한 예비모임을 가졌다. 1944년 8월 10일 현우현(玄又玄)의 삼광한의원에서 조선건국동맹을...
- 출생 :
- 1886년 5월 25일, 경기 양평(楊平)
- 사망 :
- 1947년 7월 19일
- 관련 사건 :
- 일장기 말소사건
- 본관 :
- 함양(咸陽)
- 주요활동 :
- 1918년 신한청년당 조직,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대표 파견, 임시정부 외무차장, 의정원 의원 역임, 1929~32년 제1차 투옥, 1936년 조선중앙일보의 일장기말소사건, 1943~44년 제2차 투옥, 1943년 조선민족해방연맹 조직, 1944년 조선건국동맹 조직, 1945년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위원장
- 포상훈격 :
- 200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2008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한청년당, 대한민국 임시정부, 중한호조사, 한국노병회, 조선건국동맹, 조선건국준비위원회
-
김특술 金特述농업에 종사하였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1944년 7월 26월부터 8월 13일까지 경산군 남산면 청년들이 일제의 강제동원을 거부하고 집단적 ・ 조직적으로 벌인 징용 ・ 징병거부운동, 이른바 결심대(決心隊)의 대왕산죽창의거(大王山竹槍義擧)에 참여하였다. 1944년 6월 남산면 사월리(沙月里) 출신 박재달(朴在達) 등...
- 출생 :
- 1923년 1월 29일, 경상북도 경산(慶山)
- 사망 :
- 2001년 9월 20일
- 관련 사건 :
- 결심대의 대왕산죽창의거
- 본관 :
- 경주(慶州)
- 주요활동 :
- 결심대 3소대 대원으로 일제 강제동원에 저항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결심대(決心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