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선율 定旋律, cantus firmus
    다성적 짜임새로 된 음악 작곡의 기초가 되는 단성성가에서 가져온 기존선율.|11~12세기 오르가눔에서는 기존의 단성성가 선율(근본 성부 vox principalis)에 간단한 제2의 선율(duplum:오르가눔 성부[vox organalis]라고도 함)을 덧붙였고 12세기말에 이르면 새로운 성부의 선율을 유려하게 만들기 위해 기존 선율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미사 ‘무장한 남자’ 기욤 뒤페, Mass ‘L’homme Arme’
    남자, 무장한 남자 무장한 남자를 조심해야하네, 조심해야하네 여기저기 사람들은 말하지 모두들 스스로 무장해야 해요. 철갑옷으로요. 통일성을 추구한 정선율 미사 르네상스 시대 가톨릭교회 작곡가들은 모토 미사(motto mass)와 정선율 미사 같은 다양한 형태의 미사 음악을 선보였으며 이런 시도를 통해 미사 음악에...
    시대 :
    르네상스
    분류 :
    고음악 > 르네상스 음악
    제작시기 :
    1450년 후반
    작곡가 :
    기욤 뒤페(Guillaume Dufay, 1397~1474)
  • 음악사의 침묵을 깬 부르고뉴 악파의 거장, 기욤 뒤페 Guillaume Dufay
    통상문의 각 부분을 음악적인 요소로 연결시켜 미사곡 전체에 통일감을 주는 방법을 모색했다. 여기서 뒤페가 주로 사용한 방법은 미사곡 전체에 하나의 정선율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의 미사곡은 통일성을 가질 수 있었다. 뒤페의 미사곡이 지닌 또 다른 특징은 세속곡에서 정선율을 갖다 썼다는 것...
    출생 :
    1400년경
    사망 :
    1474년 11월 27일
    국적 :
    프랑스
    대표작 :
    미사곡 〈무장한 남자〉, 샹송 〈내 얼굴이 창백해 보인다면〉, 모테트 〈이제 장미꽃이 피었네〉 등
  • 테너 tenor
    갖는 악기족들도 테너 악기라 부른다(테너 호른 등). 13~16세기까지 작곡된 다성음악에서 테너는 단성성가 등 악곡의 기초로 사용되는 정선율성부를 뜻했고, 원래는 이 정선율의 음가를 길게 '늘이는' 성부라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정선율로서의 테너 성부 다음에는 수페리우스(오늘날의 소프라노 성부)라고 하는 최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던스터블 John Dunstable
    이러한 영국 음악 전통의 최고봉이었다. 미사곡, 모토, 세속적 노래 등 약 60여 곡을 남겼다. 이 작품들은 주로 세 성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의 미사곡 중 정선율(cantus firmus)이 놓인 테너 성부에는 대륙에서 주로 사용하는 동질서 리듬(isorhythm:곡 전체에 걸쳐 반복되는 리듬 연쇄로, 선율연쇄와 길이가 다르기...
    출생 :
    1385경, 잉글랜드
    사망 :
    1453. 12. 24,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오브레흐트 Jakob Obrecht
    미사곡, 19곡의 모테트, 31곡의 세속음악 작품이 포함된다. 대부분 4성부를 위한 그의 미사곡들은 거의 단성성가나 세속 노래에서 가져온 정선율을 사용하고 있다. 정선율을 다루는 그의 방법은 다양하여 테너 성부에 정선율의 선율 전체를 두는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는가 하면 각각의 악장마다에, 그리고 테너 성부가...
    출생 :
    1452. 11. 22, 브라반트 베르겐오프좀
    사망 :
    1505, 페라라 페라라
    국적 :
    플랑드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고집저음 그라운드베이스, 固執低音
    악곡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13세기 프랑스 모테트와 15세기 정선율(cantus firmus) 무곡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정선율 무곡의 경우 뼈대 선율 하나가 정선율의 고정주제 역할을 수행했다. 16세기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는 선율 패턴을 반복하는 가운데 선율을 짜나가는 기법이 널리 유행했다. 파사메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성모마리아를 위한 저녁기도 ‘베스퍼스’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Vespro della Beata Vergine
    다양한 편성의 기악 반주가 있으며, 성악 파트도 독창부터 10성부 곡까지 다양한 짜임새로 구성되어 있다. 몬테베르디는 전통적인 교회음악 작곡 방식인 정선율 기법을 사용하면서도 당대에 유행하던 세속음악인 마드리갈의 음악 양식을 사용함으로써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룬다. 〈성모마리아를 위한 저녁기도〉의...
    시대 :
    르네상스
    분류 :
    고음악 > 르네상스 음악
    제작시기 :
    1610년
    작곡가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Claudio Monteverdi, 1597~1643)
    출판 :
    1610년
  • 팡제 링구아 ‘혀야 노래하라’ 조스캥 데 프레, Missa ‘Pange lingua’
    그리스도 찬미와 흠숭, 그리스도의 지고한 선물에 대한 영광송으로 구성된다. 찬미가를 패러프레이즈하다 패러프레이즈 미사(paraphrase mass)는 구조적인 정선율 없이 모방적이거나 호모포니 텍스처로 된 독립적인 프레이즈가 연속되는 미사를 말한다. 이러한 점에서 모방 미사와 비슷하지만, 패러프레이즈 미사는 단성...
    시대 :
    르네상스
    분류 :
    고음악 > 르네상스 음악
    제작시기 :
    1514년 추정
    작곡가 :
    조스캥 데 프레(Josquin des Prez, 1450~1521)
    출판 :
    1539년
  • 포부르동 fauxbourdon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좁은 범위에서의 영국 디스캔트는 15세기 영국의 3성부 양식으로, 잦은 병진행에 의한 6화음이 사용되고 맨 아래 성부에 정선율이 나온다. 이 가창 관습은 빈번하게 반진행을 사용하여 포부르동의 전형적인 특징인 병진행과 대조된다. 16세기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는 시편에 붙인 대개 4성부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뒤페 Guillaume Dufay
    몇 곡은 자유형식으로 쓴 것도 있다. 그의 미사곡은 15세기 하반기 미사곡의 빠른 발전의 디딤돌이 되었다. 그의 미사곡 전곡은 4부로 되어 있으며, 테너에 정선율을 사용했다. 그는 또 〈무장한 남자 L'homme armé〉, 발라드 〈내 얼굴이 창백하다면 Se la face ay pale〉과 같은 세속적인 성악곡이나 〈아베 레기나...
    출생 :
    1400경
    사망 :
    1474. 11. 27, 프랑스 캉브레 주교구 캉브레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프리메이슨을 위한 장송음악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Frei maurerische Trauermusik K.477(479a)
    악상은 E♭장조의 밝은 악곡으로, 바이올린의 대위적인 선율 아래, 관악기의 연주가 인상적이다. 이것은 ‘그레고리오 성가’의 정선율로, 모차르트는 자필악보 끝에 이 정선율을 적어놓아 자신의 작곡의도를 분명히 밝혔다. 점진적으로 고조되며 슬픔이 더해지던 악곡은 마지막 ‘파카르디 종지’를 통해 하늘로 승화...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관현악곡 > 기타
    제작시기 :
    1785년(29세)
    작곡가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초연 :
    1785년
    출판 :
    1805년경
    편성 :
    오보에 2, 클라리넷, 바세트 호른(두 대는 후에 추가 됨), 콘트라파곳(그랑파곳), 발트 호른 2, 바이올린 2부, 비올라 2부, 베이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