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저고리
    양팔과 몸통을 감싸며 앞을 여며 입는 형태로 된 한복의 윗옷.|내용 가장 기본적인 복식이다. 언제부터 저고리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문헌에 처음 보이기는 1420년(세종 2) 원경왕후 천전의(遷奠儀)에 나오는 ‘赤古里’ 또는 ‘短赤古里’라는 기록인데, 이는 우리말을 취음한 한자표기인지, 몽고...
    성격 :
    의복, 한복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저고리
    양팔과 몸통을 감싸며 앞을 여며 입는 형태로 된 상의(上衣)의 총칭으로 남녀 공통의 가장 기본적인 복식이다. 저고리의 구성은 길·소매·깃·동정·고름이 기본 형제(基本形制)이며, 형태는 시대에 따라 변하였다. 저고리는 감·재봉법·모양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저고리
    남녀가 입는 한국 고유 웃옷의 통칭.|고대로부터 입었으며 삼국시대에는 유, 복삼, 위해 등으로 불렸다. 저고리라는 말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대략 고려 충렬왕 이후부터였다. 또 길이가 길고 허리에 띠를 두르는 형태였던 한국 고유의 저고리가 오늘날과 비슷한 형태로 변하게 된 것도 몽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동의대 저고리, 胴衣襨
    동의대(胴衣襨)는 왕실에서 쓰이던, 왕과 왕세자의 저고리를 높여서 부르는 말이다. 위에는 동의대를 입고 아래에는 봉지를 입었다. 왕실발기에 소창의에 해당하는 장의대(長衣襨)라는 옷이 동의대와 함께 기록된 것에서 동의대가 저고리임을 알 수 있다. 왕실의 발기에는 대부분 한글 명칭 ‘동의ᄃᆡ’로 기록되어 있으...
    시대 :
    조선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반회장저고리
    곁마기가 없고 끝동과 고름을 길과 다른 색으로 만든 저고리.|반회장저고리는 깃, 고름, 끝동에 자주색을 댄 것과 고름과 끝동에 댄 것, 끝동과 깃에 댄 것, 깃과 고름에 자주색을 댄 것이 있다. 길과 회장의 배색은 저고리색과 치마색의 조화, 연령이나 취미에 따라 다르게 하였다. 회장의 색이 착용자의 신분이나 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문화 일반
  • 저고리 Jeogori, チョゴリ
    저고리는 한복의 윗옷이다. 유(襦), 위해, 복삼, 한삼, 적고리, 져구리 등이라고도 라고도 하였으며, 남녀 모두가 입는 옷이다. 크게 길, 소매, 깃, 섶, 동정, 고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구려의 벽화에 그려진 남자 저고리는 곧은 깃에 길이는 허리까지 오며, 소매는 좁은 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허리띠로 저고리...
    도서 위키백과
  • 토황색 명주저고리 土黃色 明紬저고리
    개설 저고리 색상을 근거로 “토황색 명주저고리”라고 명명된 출토(出土) 저고리이다. 문화유산 지정 당시 두 점의 저고리로 판정되어 있었으나 겹저고리 두 점이 끼워져 있는 4겹의 ‘두벌저고리’ 형태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본 유물과 함께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된 “수복칠보석류...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생활/의생활
  • 붉은저고리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A4(국배판)보다 약간 큰 판형에 4단 세로짜기 체제로 매호 8면을 발행하였다. 내용 인사 여쭙는 말씀의 “우리는 온 세상 붉은 저고리 입는 이들의 귀염 받는 동무가 될 양으로 생겼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도 많이 있습니다. 보기 좋은 그림도 많이 가졌습니다. 공부거리와 놀잇감도 적지...
    시대 :
    근대
    창작/발표시기 :
    1913년 1월(창간), 1913년 6월(종간)
    성격 :
    잡지, 어린이잡지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신문관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세조대의 백초 회장저고리 世祖代의 白貂 回裝赤古里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월정사에 소장되어 있다. 함께 발견된 연기문과 유물의 형태로 보아 1463년(세조 9) 중창 때 수명을 축원하여 넣은 것이다. 저고리뒷길 중심에 쓰인 ‘長氏小對(장씨소대)’ 라는 묵서는 왕족의 의복을 의대(衣襨)로 표기한 관습으로 미루어 유물의 주인공이 왕족이거나 그에 해당하는 신분...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생활/의생활
  • 노란저고리 Yellow Top
    내용 캔버스에 유채. 세로 52㎝, 가로 44㎝.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회산(繪山) 김종태의 대표적인 작품인 「노란 저고리」는 시선을 살짝 화면 오른쪽으로 향하고 있는 여인의 상반신 초상이다. 여인이 입고 있는 노란 저고리는 붉은 색의 깃과 고름, 그리고 뒤 배경의 검은 천으로 인해 시각적으로 더욱 명료하게...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김종태
    창작/발표시기 :
    1929년
    성격 :
    유화, 인물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52㎝, 가로 44㎝
    권수/책수 :
    1점
    재질 :
    캔버스에 유채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국립현대미술관
  • 배냇저고리를 짓는 어머니의 따뜻한 손길
    붉은 해 푸른 하늘 품고 나온 3대 독자 영식이 주려고 어머니 손 놀려 저고리 지었지 한 땀 한 땀 바늘 지나간 자리 어머니 마음자리 희고 고운 새 옷 입고 곱게곱게 크라고 어머니 호롱불 밑에서 마음 새겨 만든 저고리 - 이고야, '배냇저고리'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 입는 옷, 배냇저고리. 임진왜란 때 9년 3...
  • 영친왕비의 저고리를 장식했던 대삼작노리개
    노리개는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 차는 것으로 아름다운 빛깔의 매듭과 귀한 패물로 만든 꾸미개(장신구)입니다. 노리개에 쓰이는 패물은 금·은·백옥·비취·옥·금패(호박의 하나)·산호(珊瑚) 따위로 모양은 네모꼴, 동그란 모양, 꽃무늬 모양, 나비 모양이 있습니다. 노리개는 외줄(단작)노리개와 세 개가 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41건

저고리
저고리
저고리
저고리
저고리
누비저고리
노랑명주삼회장저고리
백색 광목 솜저고리
김덕령 장군 의복 중 저고리
반회장(저고리)
삼회장저고리
쑥색 저고리
황색 저고리
흰색 저고리
백색 저고리
감색 저고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