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재사 再思삼국시대 고구려의 제2대 유리왕의 아들이자 제6대 태조왕의 아버지. 내용 유리왕의 아들이다. 서기 53년(모본왕 6) 모본왕(慕本王)이 두로(杜魯)에게 살해된 뒤 사람들로부터 국왕에 추대되었으나 늙었다는 이유로 아들인 태조왕에게 왕위를 양보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재사 再思삼국시대 고구려의 건국에 참여한 공신. 관리. 내용 주몽이 부여를 탈출하여 모둔곡(毛屯谷)이라는 곳에 이르렀을 때 만난 현인 중의 한 사람이다. 주몽으로부터 극씨(克氏)라는 성을 하사받았다. 이때 함께 주몽을 만난 무골(武骨)은 납의(衲衣)를, 묵거(默居)는 수조의(水藻衣)를 입고 있었는데 비하여 그는 마의(麻...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공신,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재사 (고구려 초기)귀족 정보 재사(再思, ?~?)는 고구려의 관리이자, 공신이다. 주몽이 부여를 탈출한 뒤 모둔곡(毛屯谷)이란 곳에 이르자 마의(麻衣)를 입고 있는 그와 무골, 묵거를 만나게 되었다. 주몽이 “그대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성(姓)은 무엇이고 이름은 무엇인가?”라고 물었지만 성씨는 답하지 않자 주몽이 그에게는 극씨(克氏...도서 위키백과
-
남흥재사 막사발을 닮은 건축재사(齋舍)는 조선 시대의 독특한 건축 양식이다. 가문을 중시하는 양반 사회가 낳은 건축이지만 형식에 있어 비교적 자유롭다. 완성도 높은 재사는 양반 문화가 발달한 안동 지방에 주로 몰려 있는데, 경북 민속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된 남흥재사(南興齋舍)가 그중 으뜸이다. 비록 지방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지만 재사...
- 소재지 :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리 535(남흥길 100)
- 이용 시간 :
- 09:00~18:00
-
효곡재사 孝谷齋舍건립 경위 효곡재사(孝谷齋舍)는 조선 중기의 문신 우곡(愚谷) 송량(宋亮, 1534~1618)의 향사(享祀)와 자제의 훈육을 위하여 그가 살았던 상주 효곡리에 그의 증손 송영(宋穎)이 1685년(숙종 11) 건립한 건물로 추정된다. 현존 건물은 효곡1리에서 약간 남쪽에 있는 재실마에 있다. 송량은 성운(成運, 1497~1579)에게...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생활/주생활
-
종릉재사 유릉재사, 鍾陵齋舍건립 경위 종릉재사(鍾陵齋舍)는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승문리에 있는 전주류씨(全州柳氏) 영흥공파(永興公派) 파조 류빈(柳濱, 1367~1448)의 묘소, 이른바 종릉을 수호하기 위하여 그의 후손인 조선 중기 문신 유영순(柳永詢, 1552~1630)이 1606년(선조 39)에 건립한 재사이다. 류빈은 훗날의 조선 태종(太宗) 이방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생활/주생활
-
-
광산김씨 재사 및 사당 光山金氏 齋舍 및 祠堂건립 경위 광산김씨 재사 및 사당(光山金氏 齋舍 및 祠堂)[재사 3동, 사당]은 광산김씨 문중 가운데 예안(禮安)의 입향조(入鄕祖)로 알려진 농수(聾叟) 김효로(金孝盧, 1445~1534)의 사당과 재사이다. 정면 1칸, 측면 1.5칸의 작은 건물인 사당은 김효로의 사후 2년 뒤인 1536년(중종 31)에 손자 김부필(金富弼, 1516...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생활/주생활
-
안동 안동권씨 능동재사 安東 安東權氏 陵洞齋舍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고려 삼태사(三太師) 중의 한 사람인 권행(權幸)의 재사이다. 초창(初創)은 1653년(효종 4) 관찰사 권우(權堣)가 종인(宗人)들과 논의하여 마루 · 방 · 곳간 등 16칸을 건립하였고, 그 뒤 1683년(숙종 9) 관찰사 권시경(權是經)이 누각 7칸을 추가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안동 안동권씨 소등재사 安東 安東權氏 所等齋舍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일명 추원재(追遠齋)라고도 한다. 권행(權幸)의 18세손인 권곤(權琨)의 묘하재사(墓下齋舍)로 1775년(영조 51)에 창건되고 1830년(순조 30)에 이건되었다. 전형적인 영남지방 재사의 형식을 갖춘 이 건물은 一자형 안채와 ㄷ자형 아랫채가 마주 향해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안동 예안이씨 근재재사 모선루, 安東 禮安李氏 近齋齋舍로 지정되었다. 이 집은 명종 때 종사랑을 지낸 이호(李瑚)가 선조인 참봉 이전(李筌)의 유덕을 깊이 존경하고 사모하여 1591년(선조 24)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재사는 마을의 골 안으로 접어드는 길목의 우측 약간 높은 곳에 누마루 쪽을 정면으로 하여 서향하고 있다. 건물 앞의 길 아래쪽에는 개울이 흐르고 건물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