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원관내의 흐름 flow in circular pipe
    레이놀즈수가 약 2300 이하에서는 충류, 그 이상에서 난류이다. 흐름이 주류 방향으로 변화하지 않을 때는 충분히 발달한 흐름이라고 말하고 입구 근처 구간 안의 흐름과 구별된다. 직원관의 일방향 흐름의 층류에서는 하겐-포아셀의 법칙이 성립한다. 난류에서는 속도 분포는 지수 법칙이나 대수 법칙에 따라서 관 중심...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2중원관 二重円管, annulus
    원관 에 작은 원관을 삽입하고 각기에 유체를 통하는 관을 말한다. 열교환기 등으로 사용된다. 환상로에 있어서의 흐름은 양관의 중심축의 편심량, 벽의 조활, 관외벽상의 호잉이 없음, 레이놀즈수 등에 의해서 다르다. 동심이고 매끈한 경우, 직경차 기준의 레이놀즈 수가 약 2300을 넘으면 난류로 천이한다. 층류...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레이놀즈 수 Reynolds number
    Re 원관내의 흐름은 일정한 조건하에서 그림과 같이 층류에서 난류로 천이 한다. 그 조건이 Re=υl/ν의 무차원수에 의해 주어진다는 것을 발견한 레이놀즈의 공적을 기념하여 이 무차원량을 레이놀즈수라고 한다. 단 υ≒대표속도, l : 대표치수, ν : 동점도, Re는 유체수가 전체적 운동에 의한 운동량 수송(관성력)과...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하겐–포아셀의 법칙 Hagen–Poiseuille equation
    원관내의 흐름으로 충류유동일 때, 유량이 원관 반경의 4승과 단위길이당의 압력강하에 비례하고, 점도에 역비례한다는 것이다. 실험적으로 프랑스의 생리학자 Poiseuille(1840)와 독일의 토목공학자 Hagen(1839) 와에 의해서 발견된 것이다. 그후 Wiedemann(1856)에 의해서 이론적으로 유도되고 오늘의 모관점도계의...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천이 遷移, transition
    유체의 운동에는 층류와 난류의 상태가 있다. 원관내의 흐름을 예로 보면 속도가 느릴 때는 층류이지만 속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결국 난류가 된다. 이와 같이 흐름의 상태가 층류로부터 난류로 옮기는 것을 천이라고 부른다. 천이는 레이놀즈수가 있는 임계치를 넘었을 때 생기지만, 이것을 레이놀즈 수가 적으면 흐름이...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임계레이놀즈수 critical Reynolds number
    천이는 외란에 의해 일어나지만 어떠한 외란에 의해서도 결코 난류로 되지 않은 레이놀즈수의 최대치를 하한임계 레이놀즈수, 어떠한 미소외란에 대하여도 반드시 난류로 되는 레이놀즈수의 최소치를 상한임계 레이놀즈수라 한다. 임계 레이놀즈수라고 할 때는 통상 전자의 것을 말하며 원관내의 흐름에서는 2320이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국소 누셀트수 local Nusselt number
    구해진 누셀트 수이며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Nux=αx·L/λ 다만, αx는 국소 열전달률, L은 대표 길이 d는 열전달률이다. L로서는 예로서 평판 주위의 흐름의 열전달에서는 가열 개시점부터의 거리, 원관 흐름의 열전달에서는 원관의 지름이 취해진다. 국소 누셀트수에 의해 일반적으로 열전달의 분포가 표시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저임계레이놀드수 低臨界-數, low critical reynolds number
    즉, 임계레이놀드수에는 큰 폭이 있으며, 그 하한선을 저임계레이놀드수라고도 한다. 저임계레이놀드수 이하에서는 흐름에 난류를 부여해도 곧 소실되고 층류가 된다. 상한선을 확정할 수가 없어서 단순히 임계레이놀드수라고 하기도 한다. 많은 실험에 의하면 원관 흐름에서는 저임계레이놀드수가 약 2000이 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