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제류 偶蹄類, artiodactyl
    발굽이 짝수인 동물들. 멧돼지과·페커리돼지과를 제외하면 대개 초식동물이며 하마과·낙타과·작은사슴과·사슴과·기린과·소과·영양붙이과 등이 있다. 많은 우제류들이 포식자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무리를 지어 산다. 가죽과 모피, 고기와 젖 등을 얻기 위해 널리 사육한다. 우제류에게 특징적으로 발생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포유류
  • 우제류 Artiodactyl, 偶蹄目
    우제류(偶蹄類, Artiodactyla)는 짝수 발굽을 가진 유제류(발굽을 가진 동물) 포유류의 총칭이다. 돌고래, 쇠돌고래)는 우제류로부터 진화했기 때문에 현재 분류학에서는 우제류(Artiodactyla)와 고래류(Cetacea)를 결합하여 경우제류(鯨偶蹄類, Cetartiodactyla)로 분류한다. 고래류를 제외한 우제류를 소목(소目)으로 ...
    도서 위키백과
  • 우제목 우제류, 偶蹄目
    중 ・ 대형의 초식성 포유동물로 멧돼지, 고라니, 사슴, 노루, 산양 등이 속한다. 이 동물들은 일반적으로 다리가 길고 발가락 끝이 각질 발굽으로 덮여 있다. 발가락은 보통 2개 또는 4개로 짝수이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위가 네 부분으로 나뉘어 있어 식물성 먹이를 먹고 되새김질을 한다. 암수 구별은 동물의 크기에 ...
    분류 :
    포유류
  • 구제역 입발굽병, 口蹄疫
    정의 소·양·염소·돼지 등 거의 모든 우제류(偶蹄類)에게서 발생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 유럽·아시아·아프리카·남아메리카 등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풍토병이다. 아메리카 들소, 사슴, 영양, 순록, 라마, 낙타, 기린, 코끼리 등과 같은 야생 초식동물도 이 병에 걸릴 수 있으나, 말은 감염되지 않는다. 혀·잇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전염병
  • 구제역 입발굽병, 口蹄疫
    구제역은 소, 돼지 등 발굽이 2개인 우제류(우제류) 동물에게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감염된 가축은 입과 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기고 다리를 절며 침을 흘린다. 구제역은 치사율이 5~55%에 달하는 제1종 바이러스성 법정전염병으로, 전염성이 대단히 강해 무리에서 한 마리만 감염돼도 나머지 가축 모두...
  • 우제 Beate Uhse
    1920년경 독일에서 태어난 우제는 어린시절 비행사의 꿈을 품었으며, 17세 때 조종사 면허를 땄다. 제2차 세계대전 중 그녀는 독일 최초의 여성 전투기 조종사가 되어 독일 공군기를 몰고 전선에 나갔다. 그녀의 남편은 1944년에 전사했으며 그 이듬해 소련군이 베를린에 진주하자 우제는 비행기에 어린 아들을 태우고...
    출생 :
    1919. 10. 25, 독일 동 프러시아(지금의 폴란드) 바르게나우
    사망 :
    2001. 7. 16, 스위스 상트갈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인
  • 우제 虞祭
    내용 우제 이전에는 '제(祭)'가 아닌 '전(奠)'으로 불리며, 망자를 신명(神明)으로 대하기 시작하였다. 우제는 장사 당일 지내는 초우(初虞), 초우를 지낸 뒤 첫 번째 유일에 지내는 재우(再虞), 그 다음날 지내는 삼우(三虞)가 있다. 초우는 장사지낸 날 꼭 지내도록 규정하고 있다. 초우는 한낮에 지내는 것이 상례로...
    성격 :
    상례의식, 제사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장사 후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우제 禹磾
    개설 본관은 단양(丹陽)이다. 할아버지는 문하시중 우중대(禹仲大)이고, 아버지는 상서 우천계(禹天啓)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59년(공민왕 8)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하였을 때 삼사좌사(三司左使)로서 적을 격퇴한 공으로 기해격주홍적1등공신(己亥擊走紅賊一等功臣)이 되었다. 1361년 홍건적이 압록강을 건너 서북면...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기해격주홍적1등공신, 밀직부사, 수복경성2등공신, 흥왕토적1등공신, 선력협보공신밀직부사, 찬성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김용의 난, 최유의 난
    직업 :
    공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단양(丹陽)
  • 국립 전통 예술 센터 대규모 예술 센터, 궈리 촨퉁 이수 중신
    국립 전통 예술 센터는 규모가 큰 문화 단지로, 내부에는 사원, 야외 공연 무대, 전시관과 희극관 등의 시설이 있다. 전시관(展示館)에는 문화, 예술 및 역사적 가치를 지닌 전통 공예품이 소장되어 있어 타이완 공예의 아름다움을 엿볼 수 있다. 희극관(戱劇館)은 예술 센터 중심부의 건물들 사이에 위치한 극장으로...
    위치 :
    뤄둥 기차역(羅東火車站)에서 261, 241번 버스를 타고 국립 전통 예술 센터 하차. 택시를 탈 경우에는 약 15분 소요.
    소재지 :
    宜蘭縣 五結鄉 季新村 5濱路 2段 201號(전화: 03-950-7711)
    요금 :
    NT$150
    사이트 :
    www.ncfta.gov.tw
    이용 시간 :
    09:00~18:00
  • 우제
    우제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우제는 초우(初虞), 재우(再虞), 삼우(三虞)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우제류: 짝수 발굽을 가진 유제류(발굽을 가진 동물) 포유류의 총칭 우제향: 중화민국 이란 현의 향 우제: 효자 (영화)의 등장인물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삼우제 三虞祭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고도 한다. 우제는 장사 당일 지내는 초우, 장사 다음날 지내는 재우, 재우 다음날 지내는 삼우가 있다. 초우는 장사 당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고, 재우와 삼우는 지방과 문중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삼우제는 세 번째 지내는 제사를 말하기도 하지만...
  • 삼우제 三虞祭
    본 뜻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초우(初虞), 다음날 지내는 제사는 재우(再虞), 그 다음날 지내는 제사를 삼우(三虞)라 한다. 바뀐 뜻 사람이 죽어서 장사 지낸 뒤에 세 번째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오늘날에 와서는 흔히 장사 지낸 후...
    유형 :
    한자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멧돼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