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온천요법 溫泉療法치료하고자 하는 사람들 중에 가난한 사람들이 있음을 알고 진휼정책(賑恤政策:어려운 백성을 도와주는 정책)을 썼는데, 가장 사람이 많이 모이는 평산온천과 온수현(溫水縣:지금의 온양)을 집중적으로 개발하도록 지원하고 새로운 온천개발을 위한 탐색을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온천은 일반 대중의 질환을 치료하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조선 시대의 요양 문화 朝鮮 時代의 療養 文化만든 욕조를 거치고, 다시 욕조 바깥에 물을 받아두는 곳인 외석정(外石井)을 거쳐, 마지막으로 욕조에 들어가는 순서를 밟았다. 목욕 횟수도 처음에는 이틀 걸러 한번, 다음은 하루걸러 한 번씩 하다가 매일 하는 방법으로 나아갔다. 그리고 하루 동안에도 처음에는 1회, 다음은 2회, 끝날 무렵의 일주일은 매일 3회씩...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민속 연희 民俗 演戱동래구에서 하는 ‘동래 온천 축제’ 때는 용왕제를 지낸다. [민속 연희 단체] 1. 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 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행하는 연희로는 「부산 농악」[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6호], 「구덕 망께 터다지기」[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11호], 「부산 고분도리 걸립」[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