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어 오미크론 변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COVID-19
    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우한 폐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코로나19'라고도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질환으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된다. 감염 후에는 인후통,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거쳐 폐렴으로 발전하는데 변이형에 따라 증상은 차이가 ...
    분류 :
    호흡기 증후군
    공식명칭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발생 부위 :
    폐, 심장, 신장
    증상 :
    고열, 근육통, 마른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진료과 :
    감염내과, 호흡기내과
    관련 질환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급성 폐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국 , 질병 , 증상
  • 오미크론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변이형, ─ 變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바이러스의 변이형. 2021년 11월 아프리카 대륙 보츠와나에서 처음 발생한 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보고되었고 곧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스파이크 단백질 돌연변이가 30여 종에 이르고 감염력이 강하며 백신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세계보건기구는 11월 26일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감염성 , 호흡기
  • 오미크론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Omicron
    오미크론이란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 유행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말한다. 오미크론이란 명칭은 그리스 문자 알파벳 15번째 글자인 ‘오미크론’에서 따왔다. 오미크론은 델타 변이보다 두 배 많은 32개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어, 이전 감염으로 획득한 면역을 모두 돌파하는 특성을 가졌다. 오미크론은 2021년...
  • SARS-CoV-2 오미크론 변이 (관련어 오미크론 변이) SARS-C..
    낡음 SARS-CoV-2 오미크론 변이(SARS-CoV-2 Omicron variant, B.1.1.529 계통)는 SARS-CoV-2 바이러스의 변종이다. 발견 초기에는 뉴 변이 또는 누 변이라고 불렸다. 2021년 11월 9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 확인됐다. (발생은 보츠와나)웹 인용 국가와 영토에 따른 확진 환자와 의심 환자 국가/영토 2022년 1월 4일...
    도서 위키백과
  • 오미크론 변이 BA.5 BA.5, ─ 變異
    세계 각국으로 급격하게 확산되었다. 높은 수준의 면역회피성을 보이지만, 예방 백신 접종자의 경우 위증증이나 사망의 예방효과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성 BA.5의 원종인 오미크론 변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감염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환자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변이형으로, 스파이크 단백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감염성 , 호흡기
  • 오미크론 변이 BA.2.75 코로나바이러스 변이형
    하위변이로,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의 36곳에 변이가 일어나 면역 회피력이 높다. 2022년 5월 인도에서 보고되었고, 세계 각국으로 급격하게 확산되었다. 특성 BA.2.75의 원종인 오미크론 변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감염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환자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변이형으로, 스파이크 단백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감염성 , 호흡기
  • XBB.1.5 변이
    XBB.1.5 변이는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린 BA.2에서 파생된 하위변이로, XBB는 2022년 8월 인도에서 처음 확인됐다. 이 가운데 XBB.1.5는 2022년 10월 미국 뉴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그리고 처음 발견된 지 2개월여 만에 최소 29개국으로 확산됐으며, 우리나라에는 2022년 12월 8일 그 유입이 처음 확인된 바 있다...
  • XE 변이
    확인됐다. 초기 연구에 따르면 BA.2보다 10% 정도 감염 증가율 우위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전파력 ・ 중증도 등에서 차별화되는 특성이 확인될 때까지는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로 분류된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델타크론과 오미크론 하위 변이들인 BA.1과 BA.2 등 재조합변이에 XD, XE, XF 등의 명칭을 붙이고...
  • 델타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변이형, ─ 變異
    델타 변이(Delta variant, B.1.1.7 )'로 명명하면서 관심변이로 지정했고, 2021년 5월 11일 우려변이로 분류했다. 특성 델타 변이오미크론 변이(Omicron variant) 이전에 나온 변이형 가운데 가장 감염력이 높은 변이형으로 베타 변이(Beta variant)와 감마 변이(Gamma variant)의 특성이 동시에 나타나는 이중 변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감염성 , 호흡기
  • 우려변이 VOC, Variant Of Concern
    변이의 특성에다 진단, 치료, 백신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감염성 및 질병 중증도가 증가한다는 특성을 갖는다. 2021년 12월 기준 델타와 오미크론이 우려변이로 지정돼 있다. 관심변이(VOI, Variant Of Interest)는 수용체 결합의 변화와 관련된 특정 유전자 표지, 이전 감염 또는 예방 접종으로 생성된 항체의 중화...
  • 사회적 거리두기 물리적 거리두기
    시행 예정인 3차 개편에서는 모든 행사와 집회의 인원 제한을 해제하고, 사적 모임의 인원 제한도 해제하는 것으로 예정했다. 겨울철 대 확산과 오미크론 변이에 따른 특별방역대책 시행 '위드 코로나' 정책 시행에 따라 감염자가 급증하여 11월 말~12월 초에 1일 확진자 5,000명이 넘는 상황이 계속되고, 감염력이 높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감염성 , 사회
  • XE 변이 XE 변이
    XE 변이는 2022년 1월 19일 영국에서 최초로 발견된 코로나19 변이이다. 오미크론 변이의 원형 BA.1과 현재 우세종인 BA.2(스텔스 오미크론)가 합쳐진 혼합변이이다. 현재 혼합변이 종류는 XA, XB, XC, XD, XE, XF, XG, XH, XJ, XK, XL, XM, XN, XP, XQ, XR, XS, XT, XU 이 외 4종등이다. 현재까지는 19개국에서 확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오미크론 변이(SARS-CoV-2 Omicron)
오미크론 변이 BA.5의 유전자 지도
오미크론 변이 BA.5의 유전자 지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