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예대율
    예대율이란 예금을 대출의 재원으로 보고 원화예수금(CD 제외) 가운데 원화대출금이 차지하는 비율(원화대출금/원화예수금)을 말한다. 2005년 이후 은행들은 시장성수신(CD 및 은행채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주택담보대출 등을 확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금조달 및 운용 행태는 주택담보대출 등 대출을 과도하게...
  • 예대율 預貸率, loan to deposit ratio
    예대율이란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총자금 잔고에 대한 총대출금 잔고의 비율이다. 오버론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자 은행의 자산구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표준비율은 100%다. 예금보다 대출이 더 많아 예대율이 100%를 넘어가는 경우는 은행이 보유한 예금보다 대출이 더 많다는 것으로서 은행의 경영상황이 좋지...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금융
  • 예대율
    총예금에 대한 총대출 비율을 말한다. 예대율이 1보다 작다는 것은 자체 예금 자원을 바탕으로 은행이 대출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예대율이 1보다 클 때는 대출을 위해 은행이 추가적인 대출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대율은 은행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며 은행 건전성과 반비례한다. 우리나라...
  • 예대율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예금 잔액에 대해 은행이 빌려준 대출금 잔액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대율을 80% 정도로 억제하는 것이 건전한 경영방침이다.
  • 예대율 預貸率, loan-deposit ratio
    총예금에 대한 총대출 비율을 말한다. 예대율은 은행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며 은행 건전성과 반비례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성장에 따른 필요자금의 대부분을 은행 융자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시중은행의 예대율이 높은 편이다.
  • 은행 (관련어 예대율) 은행이 위태위태
    주요 개념 : 예대매진(예대차), 순이자마진, 역마진, 예대율, BIS 자기자본비율, 고정이하 여신비율, 배드뱅크, 스트레스 테스트|은행은 뭘 먹고 살까? 은행의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를 예대마진, 또는 예대차라고 해. 수신금리 평균이 3%이고 여신금리가 5%이면 예대마진은 2%. 물론 은행은 수수료 장사도 하고 ...
  • 예대율 Loan-deposit ratio
    예대율(預貸率, loan-deposit ratio)은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예금 잔액에 대해 은행이 빌려준 대출금 잔액의 비율을 의미하는 경제 용어다. 예금 대(VS) 대출금의 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백분비(%)로 표시한다. 은행의 자산 구성 또는 오버 론(over loan)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금융행정상 또는 은행경영상...
    도서 위키백과
  • Loan-deposit ratio 예대율
    Loan-deposit ratio, also known as the LTD ratio, is a ratio between the banks total loans and total deposits. If the ratio is lower than 1, the bank relied on its own deposits to make loans to its customers, without any outside borrowing. If, on the other hand, the ratio is greater than 1, the ba...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예대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