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산 이충무공 묘 牙山 李忠武公 墓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있는 조선시대 충무공 이순신의 무덤. 사적. 개설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에 위치한다. 김육이 지은 글을 새긴 신도비와 이이명의 글을 새긴 묘비, 상석, 동자석, 문인석, 장명등, 석수 등이 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현충사 관리소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이...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아산시 牙山市유적으로는 조선 후기의 문신 홍만조(洪萬朝)를 모신 자은영당(自隱影堂)과 충무공 이순신을 모신 염치읍 백암리의 현충사가 있다. 읍봉면 삼거리에 아산 이충무공 묘(사적, 1963년 지정)가 있으며, 현충사에는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국보, 1962년 지정) · 이순신 유물 일괄(보물, 1963년 지정)이 전시...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지어 묘(廟)를 지키고 제사를 맡도록 했다. 1684년(숙종 10) 전라도 관찰사 이사명(李師命)이 관왕묘를 중수한 뒤 사액을 청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후 1710년(숙종 36) 판부사(判府使) 이이명의 주청에 의해 조정으로부터 제관을 보내와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그 뒤 1791년 정조 임금이 ‘탄보묘(誕報廟)’라는 사액...
- 소재지 :
-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세동84번길 86-31 (덕동리)
- 지역 :
- 완도
-
이순신 장군 자당 기거지시청에서 이충무공 사적비를 세웠다. 송현마을 입구에는 이순신의 모친이 사시던 집터임을 알리는 표지석이 있다. 이순신이 1593년 7월 15일 한산도로 진영을...여수에 머물고 있던 변씨 부인은 두 달 후인 그해 4월, 아들이 전라좌수사에서 해임되고 서울로 압송된 후 본가가 있는 아산을 향해 배편으로 가던 중...
- 소재지 :
- 전라남도 여수시 충효길 25-5 (웅천동 1420-1 송현마을)
- 지역 :
- 여수
-
충청남도의 교육·문화·관광고려시대의 석불상으로 키(18.2m)가 매우 크기로 유명하다. 충청남도에는 왜란 및 항일운동과 관련된 유적이 많다. 이순신 장군을 모신 아산시 염치읍의 현충사, 음봉면의 이충무공묘(사적 제112호), 금산군의 칠백의총(사적 제105호) 등은 조선시대의 유적이고, 근대 항일운동 관련 문화재로는 천안시 목천면의 독립...
-
음봉면 陰峰面, Eumbong-myeon소규모의 평야가 발달했으며, 신휴·월랑·동암 등의 관개용 저수지가 있다. 쌀 생산과 채소 재배와 배 등의 과수 재배가 활발하다. 유물·유적으로 이충무공묘(사적 제112호)가 있다. 평택-아산을 잇는 국도가 면내를 지난다. 삼거리·동천리·신수리·산정리·신정리·원남리·소동리·신휴리·의식리·쌍암리·쌍룡리...
- 인구 :
- 2,677 (2017)
- 면적 :
- 59.04㎢
- 행정구역 :
- 38개리 183개반
- 소재지 :
- 충청남도 아산시
- 사이트 :
- http://town.asan.go.kr/eumbong/asan/%EC%86%8C%EA%B0%9C/
-
방진 (1514년)있다. 《이충무공전서》의 〈방부인전〉에 방진의 활솜씨에 대한 내용이 있다.방진의 딸은 슬기롭고 영특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순신 장군도 슬기로운 방씨 부인의 인품에 감화되어 부인의 덕을 칭송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이순신은 아들들을 통해 충청도 온양 본가에 있던 방씨 소식을 듣기는 했지만 직접 다녀오지는...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