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종교 新宗敎
    신종교는 기존의 제도 종교에 비해 성립 시기가 오래되지 않았거나, 사회적 인정을 받지 못하였거나, 새로운 주장을 내세운 종교이다. 극심한 사회 변화, 생활난과 병고를 타개하기 위한 주술적 동기 등이 작용하여 대규모의 신종교 운동이 전개된다. 천도교, 대종교, 증산교 등은 이러한 맥락에서 탄생하였다. 세 종교...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신종교 신흥종교, 新宗敎
    성립시기가 오래된 제도종교와는 달리 새롭게 형성된 종교.|개요 신흥종교라고도 한다. 이때 '새롭다'라는 것은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고정된 기준을 설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기성종교보다 역사가 짧기 때문에 교리의 정교화, 종교의례의 제도화, 교단조직의 체계화 측면에서 초보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경우가 흔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한국 신종교의 현황
    한국의 신종교를 거론할 경우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반에 걸친 시기와 1950~70년대에 걸친 시기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첫번째 시기에 나타난 신종교는 동학·증산교·대종교·원불교 등이 대표적이며, 2번째 시기에는 통일교·대순진리회·천부교·영생교 등이 유명하다. 동학은 서학, 즉 서양종교 및...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종교
  • 신흥 종교 (관련어 신종교) New religious movement, 新宗教
    중립 필요 신흥 종교(新興宗敎, 대개는 현실적인 경향을 띤다. 보통은 기존 종교에 속하지 않는 새로운 종교를 가리키지만, 기존 종교의 새로운 분파 중 어느 유파로 분류하기 어려워도 신흥 종교라고 부른다. 이단, 사이비, 신흥 종교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다소 혼란스러운 점도 있다.[연합뉴스 卓明煥씨 ...
    도서 위키백과
  • 증산교 훔치교, 甑山敎
    다음, 쉽사리 자기의 본래생활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사회를 개혁할 새로운 방법을 찾았는데, 증산교는 이들이 강일순을 중심으로 하여 일으킨 조선 말의 신종교운동이었다. 창시자 강일순은 동학혁명 당시 동학군을 따라다니며 혁명의 진행과정을 살펴볼 뿐, 이 혁명의 실패를 미리 알아차리고 싸움에는 직접 가담하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선민사상 選民思想
    통합정부가 한국에서 나오게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유엔본부에 보내기도 하였다. 기독교계 신흥교단도 예외는 아니다. 통일교를 비롯한 대부분의 기독교계 신종교 교리에서도 인류를 구원할 메시아는 한국에 강림할 것이며, 한국은 세계종교의 종주국으로써 세계 주도국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선민사상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부산의 신종교 新宗敎
    운영하고 있다. 부산에는 대신교회, 가야교회, 서면교회, 광안교회, 동래교회, 부곡교회, 기장교회, 일광교회, 죽성교회가 있다. [의의] 이 외에도 기독교계 신종교로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교회, 여호와의 증인, 신천지 등이 있다. 부산은 6·25 전쟁 당시 피난민들의 모여든 중심지로서 당시의 열악한 상황과...
    분야 :
    종교
    지역 :
    부산광역시
  • 증산도 甑山道
    연원 및 변천 1922년 충청남도서산에서 태어난 안운산은 1945년 이상호·이정립 등이 서울에서 대법사(大法社)를 창립할 때 잠시 참여하였다가, 1954년에 그곳을 떠났다. 그 후 1975년에 대전시 대사동에서 ‘대법사증산교’라는 이름으로 창교하여 종도사(宗道師: 뒤에 태상종도사)가 되었고, 아들 안경전을 교화원장...
    시대 :
    현대
    위치 :
    대전광역시 대덕구 한밭대로 1133 증산도교육문화회관
    설립 :
    1975년
    성격 :
    신종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안운산(안세찬), 안경전(안중건)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계룡산하의 신앙
    중악으로 중시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공식적인 중사(中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지금도 제사를 지내던 중악단(中岳壇)이 남아 있다. 계룡산의 신도안이 신종교 및 각종 민간신앙의 터전이 된 것은 1920년대부터인데, 이는 조선건국 때 무학대사가 새로운 도읍을 여기에다 세우려 했던 사건과, 그에 얽힌 많은 구전...
  • 연암성 連庵聖
    佛)세계의 이념인 아버지의 뜻을 전인류에게 전도하고, 둘째 세계 곳곳에 형성되어 있는 각종 종교들을 무한대인 불(佛)의 힘으로 통합하고, 셋째 중생으로 하여금 진리를 체득하게 하여 중생을 완성하게 하며, 넷째 인류세계에 불국토(佛國土)를 성취하는 것이다. 많은 불교계의 신종교들이 1962년에 발포된 불교재산...
    시대 :
    현대
    설립 :
    1972년
    성격 :
    신종교
    유형 :
    단체
    해체 :
    1980년대 중반 이후
    설립자 :
    정용진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각세도 覺世道
    수도이상(修道理想)의 목표로 삼았다. 또한, 역학에 의거하여 운수변역(運數變易)에 따른 선천(先天)과 후천의 관념을 상정하여 민족항일기에 대부분의 신종교에서 엿볼 수 있는 후천개벽 내지 종말론적인 이상세계의 도래를 선언했다. 이선평의 교단운영방식은 방위의 개념에 따른 사관체제 이외에도 천지운행에 따라...
    시대 :
    근대
    설립 :
    1915년
    성격 :
    신종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선평(李仙枰)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오방불교 광화교, 五方佛敎
    蓮潭) 이운규(李雲圭)의 가르침에 의하여, 1888년 광화(光華) 김치인(金致寅)이 그의 스승인 일수(一守) 이복래(李福來)를 교주로 받들며 창교한 남학계 신종교 교단이다. 중심교리는 용화불의 강세로 후천의 용화극락세계가 개벽한다는 것이며, 수행으로는 염불과 기도 및 「오음주(五音呪)」와 「구령주(九靈呪)」 등...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9건

신도안 유사종교집단
천도교 중앙대교당
신흥종교 / 계룡산
모악산 하신흥종교촌
대순진리회 본부
대종교 본부
대순진리회
동경대전
정감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