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량의 변화와 시간적 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하천의 한 지점에서 나타나는 시간에 따른 수위, 유출량 또는 유속 등을 표시한 곡선이다. 가장 흔한 형태의 수문곡선은 유출량을 바탕으로 나타낸 것으로, 강에서의 유출량은 측정한 강의 유속에 하천 단면적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수문곡선을 사용하여 특정 유역에...
수문곡선을 직접유출과 기저유출로 분리하는 것|특정한 순간에 하천에서 직접유출과 기저유출간의 구분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고 두 가지 개념이 상대적 임의성을 가지므로 수문곡선의 분리는 임의성을 가진다. 하지만 단위도(unit hydrograph)를 적용하여 유역에 내리는 강우에 대해 임의의 지점에서 유출량을 ...
계획홍수수문곡선이란 홍수추적을 실시할 경우 임의의 유역에 특정 기준의 설계강우가 내렸을 때 나타나는 수문곡선으로 산정지점별로 채택된 계획빈도에 해당하는 홍수수문곡선을 말한다. 설계홍수 수문곡선 계산 철차는 다음의 절차에 따른다. ① 설계대상규모(또는 계획빈도)에 따른 특정 재현기간 또는 PMF(가능...
설계홍수수문곡선은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음의 절차에 따라 계산된다. ① 설계대상규모(또는 계획빈도)에 따른 특정 재현기간 또는 PMF(가능최대홍수량)로 결정하고, 특정 재현기간의 확률강우량 또는 PMP(가능최대강수량)를 설계강우량으로 결정. ② 강우지속기간별 설계강우량을 시간 분포시켜 설계...
수문곡선은 배수유역의 특정지점에서 유출과 강우의 관계를 지배하는 지형 및 기후특성의 종합적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수문분석은 다양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주로 유출수문곡선에 의지하여 분석되며 이러한 유출수문곡선은 강우와 유출에 관계된 물의 순환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