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화기, 소화기 구조 입에서 시작해서 항문으로 끝나는 음식물의 통로
    소화기는 음식물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기관이다. 입으로 들어간 음식물은 식도, 위, 장에서 소화 흡수하고 항문에서 배설한다.|입, 식도, 위 섭취한 음식물의 영양소나 수분을 저장 · 소화 · 흡수하는 기관을 소화기관이라고 한다. 각각의 소화기관은 세세하게 역할이 분류되어 있어 식도, 위, 장 등 몇 개의 기관을...
    참고 :
    소화기는 소화관과 소화샘으로 나눈다. 소화관은 음식물을 소화해서 운반하는 관으로 식도, 위, 장 등이다. 소화샘은 소화분비액을 분비하는 샘으로 타액선과 췌장, 간 등이다.
  • 소화기 (관련어 소화기 구조) 소화기관, 消化器
    소화기는 음식물을 물리적으로 깨뜨리고 화학적으로 분해해서 세포가 이용할 수 있는 모양으로 변화시키는 기관이다. 입에서 들어온 음식물은 위나 십이지장에서 소화액으로 분해되어 위에서 흡수한다. 흡수한 영양소는 간에서 화학 처리하여 체내에서 이용하기 좋은 모양으로 바뀐다.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의 가스는 변...
  • 소화기, 췌장 구조 췌액을 만들고 혈당량을 조절하는
    췌장 구조 췌장은 위 뒤에 있는 십이지장의 파인 곳을 채우는 소화기다. 길이는 약 15cm, 무게는 약 100g이고 황색의 삼각형이다. 십이지장과 접한 부분을 췌두부, 중간을 췌체부, 비장과 접한 부분을 췌미부라고 한다. 췌두부에서 췌미부를 향하면서 폭이 좁아진다. 췌장의 내부에는 췌장에서 만들어진 소화액의 췌액을...
    참고 :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은 발견자인 독일의 병리학자 이름에서 따왔다. 호르몬을 분비하는 조직이 섬처럼 보이기 때문에 섬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 소화기, 십이지장 구조 담즙과 췌장으로 음식물을 소화하는
    십이지장 내부 구조 십이지장은 위를 잇는 소화기로 소장의 시작에 해당한다. 손가락을 가로로 12개 나열했을 때의 길이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지만 사실은 30cm이다. 둥근 구부와 내벽에 고리 모양의 주름이 있는 관부로 구성되어 있다. 십이지장의 중간부(하행부)에는 대십이지장유두(포터유두)와 소십이지장유두가...
    참고 :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의 원인이 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위산 속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은 우레아제라는 효소를 생산해서 위산을 중화하기 때문이다.
  • 소화기, 위 구조 위액과 연동운동으로 음식물을 휘저어 섞는
    구조 위는 식도를 잇는 소화기로 상복부의 왼쪽에서 오른쪽 아래에 걸쳐 있는 J 모양의 기관이다. 주머니 모양으로 신축성이 풍부하고 용적은 속이 비었을 때는 50mℓ, 가득 찰 때는 1.5ℓ까지 팽창한다. 위의 입구는 분문, 출구는 유문이다. 위는 입구 부근의 분문부, 위저부, 중앙의 위체부, 출구 부근의 유문부 네...
    참고 :
    소는 위가 네 개지만 소화 기능이 있는 것은 하나밖에 없다. 다른 세 개의 위는 소화하기 어려운 풀을 되새김질하는데 사용한다.
  • 소화기, 대장 구조 수분을 흡수해서 변으로 만드는
    대장의 구조와 기능 대장은 맹장, 결장, 직장으로 이루어진 길이 약 1.5m의 관으로 소장 주변을 에워싸고 있다. 대장에서는 소장에서 보내온 내용물의 수분을 전해질로 흡수해서 변으로 만든다. 맹장 소장에서 대장으로 이르는 부분에 회맹변이 있다. 이 회맹변보다 아래에 있는 대장을 맹장이라고 하며 말단에 충수라는...
    참고 :
    방귀는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의 나머지를 장내 세균이 발효 · 분해할 때 발생하는 가스가 대장 내에서 흡수되지 않고 항문에서 배출된 것이다.
  • 소화기, 담낭 구조 담즙을 농축하고 저장해서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담낭 구조 담낭은 길이 약 10cm, 부피 30~50mℓ의 서양 배를 닮은 주머니 모양의 기관이다. 담낭의 표면은 섬유조직이고 담낭벽은 근층과 안쪽의 주름 모양의 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담낭에는 담낭관이 나와 있고 간의 우간관과 좌간관이 합류해서 총간관으로 이어진다. 담낭관과 합류해서 십이지장으로 이어진 부분을...
    참고 :
    대변의 황갈색은 스테르코빌린이라는 색소 때문이다. 이것은 담즙 안에 함유된 빌리루빈이라는 색소가 장내 세균에 의해 산화된 것이다.
  • 소화기, 췌액 분비 구조 자율신경과 호르몬에 의해 분비되는
    외분비부의 구조 췌장 내부는 췌액을 분비하는 외분비부와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부로 나뉜다. 그 중 약 90퍼센트가 외분비부다. 췌액을 분비하는 외분비부는 포도당 알갱이 모양의 선방세포와 도관이라는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방세포에서 분비한 소화효소는 도관 상피세포에서 분비된 물과 섞여서 췌액이 된다...
    참고 :
    췌장의 ‘췌’는 라틴어의 ‘팡 클레아스(모든 고기)’라는 의미로 일본에서 만든 말이다. 췌장은 보기에는 고깃덩어리처럼 보인다.
  • 소화기, 소장 구조 음식물을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소장 내부 구조 소장은 십이지장, 공장, 회장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성인은 지름 4cm, 전체 길이 약 6m의 가는 관상 기관이다. 공장과 회장은 해부학적으로 두 개로 나눠지지만 기능에는 큰 차이가 없다. 대개 전반의 2/5를 공장, 나머지 3/5을 회장이라고 한다. 공장과 회장의 내부는 혈관과 신경, 림프관의 길이...
    참고 :
    소장이나 대장에는 약 100여 가지, 100여조 개의 장내 세균이 살고 있다. 비피더스균이나 대장균이 대표적이며, 세균의 구성 균형이 망가지면 병의 원인이 된다.
  • 소화기, 식도 구조 음식물을 위에 보내는 관
    식도 내부 구조 식도는 소화기관의 한 부분으로 기관지와 이웃한 인두와 위 사이에 있는 긴 관이다. 지름 약 2cm의 타원형으로 길이는 성인은 약 25cm이다. 음식물이 지나지 않을 때는 앞뒤가 딱 달라붙듯이 평평하고 음식물이 지날 때만 굵게 펼쳐지는 구조다. 식도의 내강은 중층 편평상피라는 유연하고 강한 세포로...
    참고 :
    식도의 연동운동은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아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인다. 이 작용 때문에 누워서 식사해도 음식물이 역류하지 않고 위로 간다.
  • 소화기, 간 구조 영양소를 화학 처리 하는 최대 장기
    간의 외부 구조 간은 횡격막 바로 아래에 있으며 복강의 우상부에 위치한다. 성인의 간 무게는 1,000~1,400g이나 된다. 인체 내에서 가장 큰 장기다. 간은 음식물의 영양소를 화학적으로 분해하고 합성하여 체내의 필요한 장소로 보낸다. 간은 화학처리에 필요한 많은 혈액을 함유하고 있어 체내에서 가장 온도가 높은...
    참고 :
    간은 재생 능력이 뛰어나서 수술로 일부를 절제해도 원래의 크기로 돌아간다. 그러나 간경변으로 간세포가 많이 죽으면 재생할 수 없다.
  • 소화기, 혈당량 조절 구조 췌장의 여덟 가지 호르몬으로 조절하는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 우리가 몸을 움직이는 에너지원은 포도당(글루코스)이다. 혈액 안에 함유된 포도당의 농도는 혈당치로 표시한다. 혈당치는 주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서 분비하는 글루카곤과 인슐린의 두 가지 호르몬으로 조절한다. 랑게르한스섬은 섬처럼 보이는 조직으로 췌장 전체에 100만 개 이상 있다...
    참고 :
    건강한 사람의 혈당치는 공복 시 80~100mg/dℓ이다. 110 미만이면 정상, 110~125은 경계, 126 이상은 당뇨병이라고 한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