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뇨기, 비뇨기 구조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하는 시스템비뇨기는 신진대사 과정에서 생기는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출하는 기관이다. 두 개의 신장, 두 개의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되어 있다. 비뇨기계 기능 우리가 먹은 음식물은 위나 소장 등 소화기관에서 소화 흡수되고, 영양소는 간으로 운반된다. 간은 영양소를 몸이 잘 이용할 수 있는 모양으로 만들어 혈액을 통해서...
- 참고 :
- 요로결석은 소변 성분이 결정으로 변한 것이다. 인산칼슘, 탄산칼슘, 콜레스테롤, 구연산 등을 포함하고 있다.
-
비뇨기 (관련어 비뇨기 구조) 泌尿器, urinary organs온몸의 세포는 영양소와 산소를 이용해서 신진대사를 하고 활동을 위한 에너지를 만든다. 신진대사 과정에서 생긴 불필요한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출하는 것이 비뇨기의 기능이다. 비뇨기는 두 개의 신장과 두 개의 요관, 방관, 요도로 이루어진다. 체내에 있는 액체의 양과 조성을 조절하는 기능도 있다.
-
비뇨기, 비뇨기 병 urinary diseases방광염 요도에서 세균이 들어가 방광에 염증이 생기는 병이다. 여성은 남성보다 요도가 짧고 폭이 넓어서 세균이 잘 들어가고 방광염에 잘 걸린다. 냉기, 소변 참기, 성교, 과로 등이 발병원인이다. 급성과 만성이 있다. 주요 증상 소변이 자주 마렵고, 배뇨 시에 통증이 있다. 특히 배뇨를 마친 후 통증이 심하고...
-
인간의 배설과 배설계 human excretion and excretory system인간의 배설기관은 2개의 신장, 신장에서 방광으로 이어지는 2개의 수뇨관, 방광, 요도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은 콩팥이라고도 하는, 인간의 대표적인 배설 기관이다. 강낭콩 모양으로 생겼고 복강 내 횡경막 아래 좌우 하나씩 등쪽으로 붙어 있는데, 수분과 염분을 조절하고 체내 노폐물을 걸러낸다. 수뇨관은 소변을...
-
-
비뇨기, 요관과 방광의 구조 신장에서 만든 소변을 모으는방광 구조 방광은 치골 바로 뒤쪽에 있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으로 요관에서 보낸 소변을 잠시 모아 둔다. 방광의 벽은 배뇨근이라고 부르는 세 층의 평활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쪽은 주름 모양의 점막으로 싸여 있다. 비어 있을 때는 수축하지만, 소변이 모이면 부풀어서 두께 1cm 정도의 벽이 늘어나 3mm 정도까지...
- 참고 :
- 요관은 수뇨관이라고 한다. 요관에서 방광으로의 수뇨는 요관의 내벽에 있는 평활근이 소장처럼 정기적으로 연동운동을 하여 이루어진다.
-
비뇨기, 소변을 만드는 구조 혈액에서 노폐물을 걸러네프론 구조 신장은 심장에서 보낸 대량의 혈액을 여과해서 소변을 만든다. 이 소변을 만드는 기능 장치를 네프론이라고 한다. 네프론은 보먼주머니와 사구체를 합한 신소체 하나와 요세관 하나로 이루어진다. 신소체의 사구체는 혈액을 여과해서 원뇨를 만드는 모세혈관 덩어리다. 보먼주머니는 사구체가 거른 원뇨를...
- 참고 :
- 네프론은 수가 매우 많아서 신장 기능에는 큰 여유가 있다. 그러나 혈액검사에서 신장 기능의 이상을 발견했을 때는 대부분의 네프론이 기능을 잃고 신부전이 진행된 상태다.
-
비뇨기, 요도 구조 방광에 모은 소변을 체외로 배출하는남녀의 요도 차이 요도는 방광에 모인 소변을 체외로 배출하기 위한 관이다. 요도의 길이나 모양은 남녀가 크게 다르다. 남성은 방광이 여성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요도의 길이가 약 20cm로 길고 옆에서 보면 S자 모양으로 굽어있다. 요도는 음경의 해면체 내부를 관통해서 음경 끝의 외요도구로 이어져 있다. 한편 여성...
- 참고 :
- 만 2세까지는 외요도 괄약근으로의 신경 경로가 아직 발달하지 않아서 스스로 배뇨를 억제할 수 없다. 배뇨 반사가 있으면 그대로 배뇨한다.
-
비뇨기, 신장 구조 소변을 만들고 체내의 수분량을 조절하는신장 내부 구조 신장은 횡격막 바로 아래에 좌우 한 개씩 있다. 크기는 세로 12cm, 가로 6cm 정도이며 무게는 약 150g이고 누에콩 모양이다. 신장의 바깥쪽 층을 신피질, 안쪽 층을 신수질이라고 한다. 신피질에는 혈액을 여과하는 신소체라는 부분이 있다. 신소체는 사구체라는 모세혈관 다발과 그것을 싸는 보먼주머니...
- 참고 :
- 신장은 좌우 한 쌍의 장기지만 오른쪽의 신장 바로 위에 간이 있기 때문에 왼쪽보다 낮은 부위에 있다. 이식이나 사고 등으로 한쪽 신장을 잃어도 기능에는 문제가 없다.
-
비뇨기, 신장병 腎臟病, nephropathy신장염 신장의 사구체에 염증이 생기는 병이다. 편도염이나 인두염, 폐렴, 인플루엔자 등의 병에 걸린 다음 1~3주의 잠복기 후 발병한다. 증상이 1년 이상 이어지는 것을 만성 신장염이라고 하며 그 이외는 급성 신장염이라고 한다. 주요 증상 혈뇨, 단백뇨, 부종, 혈압 상승이다. 혈뇨는 염증에 따른 사구체 파열로...
-
골격과 근육, 복부의 골격과 근육 상반신을 지탱하고 소화기와 생식기를 지키는갈라져 있었는데 성장하면서 합쳐져 고리 모양의 큰 뼈가 된다. 골반은 허리뼈와 더불어 상반신을 지탱하는 토대가 되고 생식기, 소화기, 비뇨기를 지키는 역할을 한다. 골반의 구조는 남녀 모두 같지만 모양은 다르다. 여성의 골반은 남성보다 얕고 폭이 넓어서 출산 시 신생아가 잘 나오게 만들어져 있다. 복부 근육...
- 참고 :
- 골반을 구성하는 좌골과 장골의 골수에서는 성인이 되어도 조혈이 이루어진다. 골수이식은 이런 뼈의 골수에서 골수액을 채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