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블록체인 block chain블록체인(block chain)은 ①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모든 거래정보를 블록(block) 단위로 기록하여 ② 모든 구성원들에게 전송하고 ③ 블록의 유효성이 확보될 경우 이 새 블록을 ④ 기존의 블록에 추가 연결(chain)하여 보관하는 방식의 알고리즘이다.각 블록은 이전 블록에 대한 연결자인 해시포인터(a hash pointer, ...
-
-
블록체인 공공 거래장부, Block Chain‘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Chain)’한 모음을 말한다. 블록체인 기술이 쓰인 가장 유명한 사례는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에서 블록(Block)에는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긴다. 온라인에서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이 형성되는 것이다. 거래 내역을 결...
-
블록체인 blockchain온라인 거래 정보를 수정할 수 없도록 데이터를 블록(block)으로 만들고 암호기술을 사용한 고리 모양의 체인(chain)으로 연결하여 분산 컴퓨팅 기술로 저장 ・ 관리하는 방식 블록체인의 기본 구조는 블록(block)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블록 모음의 형태이며 P2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일정 시간 동안 네트워크 ...
-
블록체인 blockchain온라인 거래 정보를 수정할 수 없도록 데이터를 블록(block)으로 만들고 암호기술을 사용한 고리 모양의 체인(chain)으로 연결하여 분산 컴퓨팅 기술로 저장 ・ 관리하는 방식. 블록체인(blockchain)의 기본 구조는 블록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블록 모음의 형태이며 피투피(P2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일정 시간 ...
- 참고 :
- 블록체인은 분산원장기술(DLT)을 구현한 사례 중 하나이다. 분산원장기술은 데이터 관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원장(ledger)을 분산 ・ 관리하며, 저장 ・ 관리하는 원장 구조에 제약이 없다. 반면, 블록체인은 암호기술을 적용한 고리 모양으로 블록들을 연결하는 선형 데이터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선형 구조에서는 연결할 유효 블록 확인과 중복 블록 제거에 시간이 많이 결린다. 다양한 합의 알고리즘(주로 해시 알고리즘)으로 시간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만 거래 정보를 대량으로 처리하는 데 불리하고 확장도 어렵다.
-
-
비트코인으로 증명된 블록체인 기술, 금융보안 혁신 이끈다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선정한 ‘2017년 전자정부를 이끌어갈 10대 기술트렌드’에서 ‘더 진화된 혁신기술’로 꼽힌 기술은 ‘블록체인’, ‘멀티 클라우드’, ‘지능형 보안 아키텍처’ 세 가지였다. 인공지능이나 클라우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해도는 많이 높아져 있어, 뒤의 두 가지 기술에 대해서는 대...
-
블록체인에는 비트코인만 있는 게 아니다!누구나 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지만 그것을 물리학과 연결해 생각해 내지는 못한다. 세상을 바꾸는 기술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 탄생하고 알려지기 마련이다. 최근 전 세계 사람들의 관심이 쏠린 기술 ‘블록체인’도 마찬가지다.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사람(혹은 집단)이 2008년에 발행한 단...
-
블록체인, 서비스형 블록체인 유형블록체인 응용 서비스 개발과 관리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더욱 편리하게 지원하는 서비스. 블록체인 기술은 이더리움(ethereum), 이오스(EOS), 트론(tron) 등 블록체인 플랫폼마다 사용하는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블록 사이즈 등이 달라 환경 설정이나 스마트 계약, 분산 응용(Dapp) 서비스 운영 등에 대한 사항들이 ...
-
블록체인, 허가형 블록체인 유형허가가 있어야만 사용하거나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 허가형 블록체인(permissioned blockchain)은 블록체인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블록체인 노드(node)로 참여할 때에 허가가 필요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회사에서 운영하고 이 회사의 내부 직원들만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블록체인 ...
- 참고 :
- 블록체인 사용은 블록체인 외부에서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서비스(예: 송금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고, 블록체인 운영은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분산 노드(일종의 서버) 중 하나로 참여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정보를 검증하고 합의해 동일한 원장(ledger)을 저장 ・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