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블록체인 block chain
    블록체인(block chain)은 ①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모든 거래정보를 블록(block) 단위로 기록하여 ② 모든 구성원들에게 전송하고 ③ 블록의 유효성이 확보될 경우 이 새 블록을 ④ 기존의 블록에 추가 연결(chain)하여 보관하는 방식의 알고리즘이다.각 블록은 이전 블록에 대한 연결자인 해시포인터(a hash pointer, ...
  • 블록체인 Blockchain
    가상화폐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 장부. 신용이 필요한 온라인 거래에서 해킹을 막기 위한 기술로 사용된다. 비트코인을 포함한 여러 암호화폐의 보안기술로 사용되고 있다.|개요 가상화폐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 장부다. 본래 비트코인(Bitcoin) 거래를 위한 보안기술로 2008년 10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익명의 개발자...
  • 블록체인 공공 거래장부, Block Chain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Chain)’한 모음을 말한다. 블록체인 기술이 쓰인 가장 유명한 사례는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이다.|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에서 블록(Block)에는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긴다. 온라인에서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이 형성되는 것이다. 거래 내역을 결...
  • 블록체인 blockchain
    온라인 거래 정보를 수정할 수 없도록 데이터를 블록(block)으로 만들고 암호기술을 사용한 고리 모양의 체인(chain)으로 연결하여 분산 컴퓨팅 기술로 저장 ・ 관리하는 방식|블록체인의 기본 구조는 블록(block)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블록 모음의 형태이며 P2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일정 시간 동안 네트워크 ...
  • 블록체인 blockchain
    온라인 거래 정보를 수정할 수 없도록 데이터를 블록(block)으로 만들고 암호기술을 사용한 고리 모양의 체인(chain)으로 연결하여 분산 컴퓨팅 기술로 저장 ・ 관리하는 방식.|블록체인(blockchain)의 기본 구조는 블록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블록 모음의 형태이며 피투피(P2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일정 시간 ...
    참고 :
    블록체인은 분산원장기술(DLT)을 구현한 사례 중 하나이다. 분산원장기술은 데이터 관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원장(ledger)을 분산 ・ 관리하며, 저장 ・ 관리하는 원장 구조에 제약이 없다. 반면, 블록체인은 암호기술을 적용한 고리 모양으로 블록들을 연결하는 선형 데이터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선형 구조에서는 연결할 유효 블록 확인과 중복 블록 제거에 시간이 많이 결린다. 다양한 합의 알고리즘(주로 해시 알고리즘)으로 시간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만 거래 정보를 대량으로 처리하는 데 불리하고 확장도 어렵다.
  • 이더리움 (관련어 블록체인) ETH, Ethereum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갖춘 암호화폐이자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비트코인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자유로운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화폐 단위는 이더(Ether)이며, ETH로 표시한다.|개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능을 갖춘 암호화폐(Cryptocurrency)이자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이다. 캐나...
  • 블록체인 Block Chain
    블록 체인은 다수의 노드에 동일한 기록을 동기화시키는 구조이다. 노드 간의 기록에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다수결에 의해 정통 기록을 결정하여 기록 동기화를 확보해 나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기존의 기록(블록)에 새로운 기록을 추가할 때 계속 추가해 나갈 수 있어서 블록 체인이라고 한...
  • 비트코인으로 증명된 블록체인 기술, 금융보안 혁신 이끈다
    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선정한 ‘2017년 전자정부를 이끌어갈 10대 기술트렌드’에서 ‘더 진화된 혁신기술’로 꼽힌 기술은 ‘블록체인’, ‘멀티 클라우드’, ‘지능형 보안 아키텍처’ 세 가지였다. 인공지능이나 클라우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해도는 많이 높아져 있어, 뒤의 두 가지 기술에 대해서는 대...
  • 블록체인에는 비트코인만 있는 게 아니다!
    누구나 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지만 그것을 물리학과 연결해 생각해 내지는 못한다. 세상을 바꾸는 기술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 탄생하고 알려지기 마련이다. 최근 전 세계 사람들의 관심이 쏠린 기술 ‘블록체인’도 마찬가지다.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사람(혹은 집단)이 2008년에 발행한 단...
  • 블록체인 block chain
    블록체인은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chain)’한 모음을 말하는 것으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여러 대의 컴퓨터가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을 수 있다.
  • 블록체인, 서비스형 블록체인 유형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 개발과 관리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더욱 편리하게 지원하는 서비스.|블록체인 기술은 이더리움(ethereum), 이오스(EOS), 트론(tron) 등 블록체인 플랫폼마다 사용하는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블록 사이즈 등이 달라 환경 설정이나 스마트 계약, 분산 응용(Dapp) 서비스 운영 등에 대한 사항들이 ...
  • 블록체인, 허가형 블록체인 유형
    허가가 있어야만 사용하거나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허가형 블록체인(permissioned blockchain)은 블록체인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블록체인 노드(node)로 참여할 때에 허가가 필요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회사에서 운영하고 이 회사의 내부 직원들만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블록체인 ...
    참고 :
    블록체인 사용은 블록체인 외부에서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서비스(예: 송금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고, 블록체인 운영은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분산 노드(일종의 서버) 중 하나로 참여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정보를 검증하고 합의해 동일한 원장(ledger)을 저장 ・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블록체인
블록체인(blockchain)
블록체인 데이터
블록체인을 표현한 이미지
비트코인 이미지
허가형 블록체인, 비허가형 블록체인
개방형 블록체인, 전용 블록체인
블록체인(block chain)
체인 블록(chain block)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