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봉래의 鳳來儀조선 전기에 창제된 정재(呈才:대궐 안의 잔치 때 하던 춤과 노래)를 위한 무용 음악의 하나. 내용 조선 전기에 창제된 정재(呈才)를 위한 무용 음악의 하나. 1445년(세종 27) 4월 세종의 명으로 권제(權蹏) · 정인지(鄭麟趾) · 안지(安止) 등에 의해서 만들어진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가사에 맞추어 작곡...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치화평 致和平전승 과정 「치화평」은 1445년(세종 27) 4월에 권제(權踶) 등이 지어올린 「용비어천가」를 가사로 제작된 「봉래의」의 한 곡으로 정재와 함께 연행된 곡이다. 1447년(세종 29) 『세종실록』 기록에 ‘처음에 임금이 용비어천가를 관현에 올려 느리고 빠름을 조절하여 치화평, 취풍형, 여민락을 제작하매 모두 악보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전통음악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취풍형 醉豊亨전승 과정 「취풍형」은 1445년(세종 27) 4월에 권제(權踶) 등이 지어 올린 「용비어천가」를 가사로 제작된 「봉래의」의 한 곡으로 정재와 함께 연행된 곡이다. 1447년(세종 29) 『세종실록』 기록에 ‘처음에 임금이 용비어천가를 관현에 올려 느리고 빠름을 조절하여 치화평, 취풍형, 여민락을 제작하매 모두 악보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전통음악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전인자 前引子내용 전인자는 세종 당시 「봉래의(鳳來儀)」연주에서 쓰였고, 성종 때에는 「연화대(蓮花臺)」의 반주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봉래의」연주에서 전인자는 후인자(後引子)처럼 관현악으로만 연주되는 전주곡에 해당하는 악곡으로서 황종·태주·중려·임종·남려·무역의 6음음계로 구성되었고, 악조(樂調)는 청황종궁...
- 시대 :
- 조선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세종 연간
- 성격 :
- 창제곡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봉래별곡 蓬萊別曲1단인 서사(序詞)에서는 신선세계를 뜻하는 ‘봉래’라는 지명과 연관시켜 창작동기를 밝혔다. 제2단인 승사(承詞)에서는 장부의 강개(慷慨)를 이기지 못하여 봉래의 승지인 동래부 관아에서 금정산성-범어사-유선대-영가대-초량포-다대진-절영도-태종대 등지를 두루 구경하고 경치를 노래하였다. 제3단인 전사(轉詞...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현덕(鄭顯德)
- 창작/발표시기 :
- 고종 연간
- 성격 :
- 기행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향악정재 鄕樂呈才만이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전하고, 「무애」는 제외되었다. 조선 전기에 창작된 향악정재는 모두 8종목이다. 건국 초 세종 때 창작된 향악정재는 「봉래의(鳳來儀)」·「보태평(保太平)」이고, 성종 때 창작된 향악정재는 「향발(響鈸)」·「학무(鶴舞)」·「교방가요(敎坊歌謠)」·「문덕곡(文德曲)」·「학연화대...
- 시대 :
- 고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후인자 後引子내용 세종 당시 「봉래의(鳳來儀)」연주에서 쓰였고, 성종 때에도 「연화대(蓮花臺)」의 반주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봉래의」연주에서는 전인자(前引子)처럼 관현악으로만 연주되는 후주곡에 해당하는 기악곡이었다. 성종 때 당악(唐樂)과 향악(鄕樂)을 연주할 악공취재(樂工取才)의 한 시험곡으로도 쓰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성격 :
- 조선 세종 창제 악곡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응명 凝命전승 과정 〈응명〉은 세종 때 〈정대업〉 · 〈보태평〉 · 〈봉래의〉 · (〈여민락〉 · 〈치화평〉 · 〈취풍형〉)와 같이 향악과 고취악을 참조하여 창제된 곡으로 〈발상〉 11곡 중 아홉 번째에 해당한다. 정확한 창제 시기는 불명확하며 대략 세종 29년(1447) 무렵으로 추정된다. 세조 6년(1463)에 〈정대업...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전통음악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