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봉래의 鳳來儀
    조선 전기에 창제된 정재(呈才:대궐 안의 잔치 때 하던 춤과 노래)를 위한 무용 음악의 하나.|내용 조선 전기에 창제된 정재(呈才)를 위한 무용 음악의 하나. 1445년(세종 27) 4월 세종의 명으로 권제(權蹏) · 정인지(鄭麟趾) · 안지(安止) 등에 의해서 만들어진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가사에 맞추어 작곡...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봉래의 鳳來儀
    조선 초기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1445년(세종 27) 4월 권제·정인지·안지 등이 지어 올린 〈용비어천가〉의 가사에 맞춰 무악(舞樂)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내용은 조선 개국의 사적(史籍)과 태조·태종의 무공(武功)과 문덕(文德)을 노래한 것이다. 전인자(前引子)·진구호(進口號)·여민락(與...
  • 봉래의
    봉래의(鳳來儀)는 한국의 궁중무용으로, 조선 세종대왕이 선조(先祖)의 개국창업(開國創業)의 공덕을 칭송하여 지음 춤이다. 〈용비어천가〉의 몇 장(章)을 창사(唱詞)로 부른다. 죽간자 2인, 무원 8인이 춘다. 무용음악은 보허자(步虛子-長春不老之曲)·삼현도드리·염불도드리가 쓰이고, 창사는 가곡의 농(弄)·편수...
    도서 위키백과
  • 여민락 승평만세지곡(昇平萬歲之曲), 與民樂
    여민락은 백성과 더불어 즐긴다는 뜻으로 〈세종실록〉에 악보가 실려 있다. 봉래의는 전인자(前引子)·여민락·치화평(致和平)·취풍형(醉豊亨)·후인자(後引子)로 이루어졌으며 여민락은 봉래의 중 2번째 음악이다. 여민락은 〈용비어천가〉의 일부를 노래로 부른 것으로, 〈용비어천가〉의 1·2·3·4·125장의 가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치화평 致和平
    전승 과정 「치화평」은 1445년(세종 27) 4월에 권제(權踶) 등이 지어올린 「용비어천가」를 가사로 제작된 「봉래의」의 한 곡으로 정재와 함께 연행된 곡이다. 1447년(세종 29) 『세종실록』 기록에 ‘처음에 임금이 용비어천가를 관현에 올려 느리고 빠름을 조절하여 치화평, 취풍형, 여민락을 제작하매 모두 악보가...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전통음악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취풍형 醉豊亨
    전승 과정 「취풍형」은 1445년(세종 27) 4월에 권제(權踶) 등이 지어 올린 「용비어천가」를 가사로 제작된 「봉래의」의 한 곡으로 정재와 함께 연행된 곡이다. 1447년(세종 29) 『세종실록』 기록에 ‘처음에 임금이 용비어천가를 관현에 올려 느리고 빠름을 조절하여 치화평, 취풍형, 여민락을 제작하매 모두 악보가...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전통음악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전인자 前引子
    내용 전인자는 세종 당시 「봉래의(鳳來儀)」연주에서 쓰였고, 성종 때에는 「연화대(蓮花臺)」의 반주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봉래의」연주에서 전인자는 후인자(後引子)처럼 관현악으로만 연주되는 전주곡에 해당하는 악곡으로서 황종·태주·중려·임종·남려·무역의 6음음계로 구성되었고, 악조(樂調)는 청황종궁...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조선 세종 연간
    성격 :
    창제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봉래별곡 蓬萊別曲
    1단인 서사(序詞)에서는 신선세계를 뜻하는 ‘봉래’라는 지명과 연관시켜 창작동기를 밝혔다. 제2단인 승사(承詞)에서는 장부의 강개(慷慨)를 이기지 못하여 봉래의 승지인 동래부 관아에서 금정산성-범어사-유선대-영가대-초량포-다대진-절영도-태종대 등지를 두루 구경하고 경치를 노래하였다. 제3단인 전사(轉詞...
    시대 :
    조선
    저작자 :
    정현덕(鄭顯德)
    창작/발표시기 :
    고종 연간
    성격 :
    기행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향악정재 鄕樂呈才
    무고·동동·무애가 있으며, 조선 초기에 창작된 것으로는 〈악학궤범〉 시용향악정재도의(時用鄕樂呈才圖儀)에 보이는 보태평(保太平)·정대업(定大業)·봉래의(鳳來儀)·향발(響鈸)·학무(鶴舞)·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교방가요(敎坊歌謠)·문덕곡(文德曲) 등 8가지가 전한다. 또한 조선 말기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향악정재 鄕樂呈才
    만이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전하고, 「무애」는 제외되었다. 조선 전기에 창작된 향악정재는 모두 8종목이다. 건국 초 세종 때 창작된 향악정재는 「봉래의(鳳來儀)」·「보태평(保太平)」이고, 성종 때 창작된 향악정재는 「향발(響鈸)」·「학무(鶴舞)」·「교방가요(敎坊歌謠)」·「문덕곡(文德曲)」·「학연화대...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무용
  • 후인자 後引子
    내용 세종 당시 「봉래의(鳳來儀)」연주에서 쓰였고, 성종 때에도 「연화대(蓮花臺)」의 반주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봉래의」연주에서는 전인자(前引子)처럼 관현악으로만 연주되는 후주곡에 해당하는 기악곡이었다. 성종 때 당악(唐樂)과 향악(鄕樂)을 연주할 악공취재(樂工取才)의 한 시험곡으로도 쓰였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성격 :
    조선 세종 창제 악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응명 凝命
    전승 과정 〈응명〉은 세종 때 〈정대업〉 · 〈보태평〉 · 〈봉래의〉 · (〈여민락〉 · 〈치화평〉 · 〈취풍형〉)와 같이 향악과 고취악을 참조하여 창제된 곡으로 〈발상〉 11곡 중 아홉 번째에 해당한다. 정확한 창제 시기는 불명확하며 대략 세종 29년(1447) 무렵으로 추정된다. 세조 6년(1463)에 〈정대업...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전통음악
    분야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7건

봉래의
봉래의
봉래의
봉래의
봉래의
정재무도홀기 / 봉래의
세종실록 / 봉래의전인자 악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