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제
    1687년부터 실시된 장제하의 설점수세제는 호조가 군·영문의 연점들을 흡수, 관리하고 또 새로 개발되는 은점을 관리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별장은 호조가 선정해 파견한 한양의 부상대고들로서 은점의 수세 임무만을 띤 일종의 수세청부업자들이었다. 별장으로서 경력을 지녔거나 별장이 되고자 하는 자가 산은지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설점수세제 設店收稅制
    조선 후기의 광산 관계 사료에 상용되어왔다. 그러나 사회적·경제적 발전에 따라 내용과 성격이 크게 변화되었다. 설점수세제가 변화되는 시기는 3단계로 구분된다. 첫째는 1651년(효종 2)에 제정된 '채은관제', 둘째는 1687년(숙종 13)부터 실시된 '장제', 셋째는 1775년(영조 51) 이후 '물주제'하의 설점수세제도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별장 別將
    내용 이들을 무역별장이라 한다. 이 무역장제는 사상인(私商人)의 대청무역 참여의 한 기회가 되는 것으로 사상인 중에도 일부 유력한 자들은 거주지역의 관서에 정부가 공인한 정액의 팔포무역을 대행하는 무역별장(또는 貿販別將)에 차정(差定)되었던 것이다. 당시 이 팔포무역권을 획득할 수 있었던 지방관서로는...
    시대 :
    조선
    성격 :
    무역, 상인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물주제 物主制
    또는 수령과 결탁하여 비합법적으로 은광개발에 착수했다. 곧 물주자금이 은광업에 투입되기 시작한 것이다. 민간물주의 잠채광업(潛採鑛業)이 성장하면서 장제하의 설점수세제는 쇠퇴하여 1775년(영조 51)에 호조가 자진 혁파하기에 이른다. 같은 해 은점부터 합법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한 물주제하의 설점수세제도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공공부조사업 사회부조(Sozialhilfe), 公共扶助事業
    장제 급여는 사망 시 사체의 검안(檢案), 운반, 화장, 매장, 그 밖의 장제 조치를 하는 급여이다(「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14조 제1항). 자활 급여는 근로 능력이...개별 급여 체계로 전환됨에 따라, 급여의 유형마다 수급권자의 결정 기준(급여 선정 기준 및 최저 보장 수준과 부양의무자 요건)을 달리하는 맞춤형...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사회/사회구조
  • 내재적 발전론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이들은 재취한 광물의 일부를 국가에 납세하였다. 국가에서는 민간광산경영을 감독,통제하기 위해 별장 파견하였으나 오히려 이러한 장제가 개인 광산경영이 줄어드는 현상이 일어나자 영조시기 장제를 폐지하고 설점수세제를 수령이 직접 관할하도록 하였다. 이때 광산운영은 상업자본가인...
    도서 위키백과
  • 포도청 捕盜廳
    포도장제의 운영은 일시적으로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통치질서의 문란, 민생고의 가중 등으로 인한 도적·강도·살인 등을 근절할 수 없었다. 따라서 1540년(중종 35) 포도장·포도대장 제도를 계승하여 상설적인 치안전담기구인 포도청을 설치했다. 포도청의 실제기능은 좌포도청과 우포도청이 독립적으로 편제되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교사
    수의위원의 지시에 따라 조치를 한다. 장제실에 의뢰하여 관리 마필의 장제를 실시하거나 사료, 밥통, 안장, 재킹 등의 용구를 관리한다. 마사 시설물을 효율적...기수와 마필관리사를 지휘·감독한다. 출주할 마필과 기수를 경주로 경마 시행처에 출주신청을 하며 출주를 준비한다. 출주할 마필과 기수를 점검하여...
    교육수준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숙련기간 :
    10년 초과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내·외
    육체활동 :
    균형감각
    직무기능(자료) :
    분석
    직무기능(사람) :
    교육
    직무기능(사물) :
    관련없음
    고용직업분류 :
    [4204]스포츠강사, 레크리에이션강사 및 기타 관련 전문가
    표준직업분류 :
    [2869]기타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관련 전문가
    표준산업분류 :
    [R911]스포츠 서비스업
    조사연도 :
    201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추자면 楸子面
    김방경과 몽고 연합군 후풍(後風) 후 후풍도라 명명 1374년 최영 장군이 후풍 후 어망편법 전수 1821년 전라남도 영암군에 귀속 1881년 제주목에 편입, 장제 실시 1891년 전라남도 영암군에 편입, 상추자면·하추자면 설치 1896년 제주목에 편입, 같은 해 전라남도 완도군 편입 1914년 4월 1일 완도군 상·하추자면과...
    도서 위키백과
  • 진의 오 정복 Conquest of Wu by Jin, 呉の滅亡 (三国)
    곳과 쇠사슬을 치우고 진격하였다. 왕준은 안동장군 왕혼과 합류해 강서를 공격하고 승상 장제와 좌장군 심영, 제갈정, 손진 등이 군사를 이끌고 마지막 결전을 벌였다. 심영은 왕혼의 부장 주준에 맞서 3차례나 공격했으나 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이때 오군에 항복했던 서진의 장수 장교가 다시 배반해 반란을...
    도서 위키백과
  • 유홍 (발해왕) 劉鴻, 劉鴻
    유홍(劉鴻, ? ~ 147년)은 후한의 황족으로 후한 장제의 증손이며 낙안왕 유총(劉寵)의 아들이고 후한 질제의 부친이다. 122년 부친 유총이 경사(京師)에서 사망...조건이 좋지 않음을 사유로 들어 유홍을 발해왕(勃海王)으로 개봉하였다. 이후 질제가 양기에게 살해당했음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다가 147년 사망하니...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