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백색왜성 (관련어 백색 왜성) White dwarf, 白色矮星
    번역 확장 필요 백색왜성(白色矮星, 중심핵이 붕괴되어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탄소 핵융합을 일으킬 만큼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다. 대신, 헬륨 융합 과정 동안 적색거성이 된 다음에, 외부 대기는 우주공간으로 방출되며 행성상 성운을 형성하고, 대부분 탄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핵만이 남아 백색왜성을 형...
    도서 위키백과
  • 백색왜성 백색잔별, 白色矮星
    처음에 발견된 몇 개의 별이 흰색이었기 때문에 백색왜성이라 하며, 특징은 질량이 태양과 비슷하지만 광도가 낮고 크기도 지구와 비교될 만큼 작다. 질량이 크고 부피가 작은 평균밀도가 물의 100만 배나 되는 고밀도로 압축된 천체이다. 백색왜성은 핵원료를 모두 소비하여 핵 에너지원이 남아 있지 않으며, 또한 밀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시한부 생명인 태양의 최후는 어떤 모습일까 (관련어 백색왜성)
    지구에 생명의 빛을 주는 태양은 어떤 최후를 맞을까? 태양은 약 46억 년 전에 태어나 이미 일생의 반가량을 산 중년 별이다. 현재 태양은 밝기가 거의 변하지 않는 안정된 별이다. 먼 미래에 태양이 나이가 더 들면 핵융합 반응으로 만들어진 헬륨이 중심에 쌓이면서 불안정해질 것이다. 태양은 적색거성으로 변해 늙어...
  • 별의 죽음 (관련어 백색왜성)
    별이 죽음에 다다르게 되면 중심핵의 핵융합 작용이 정지하고 별은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우리 태양과 같은 별은 불안정한 상태가 되면 빠르게 팽창하여 적색거성으로 변했다가 바깥층을 행성상 성운으로 방출한 뒤 작고 왜소한 백색왜성으로 생을 마감한다. 그러나 태양보다 질량이 무거운 별이 생을 마감하게 되면 행...
    도서 손안의 우주 | 태그 우주
  • White dwarf 백색왜성, 白色矮星
    A white dwarf, also called a degenerate dwarf, is a stellar remnant composed mostly of electron-degenerate matter. A white dwarf is very dense: its mass is comparable to that of the Sun, and its volume is comparable to that of the Earth. A white dwarf's faint luminosity comes from the emission of...
  • 백색 왜성이란 무엇인가?
    백색 왜성(white dwarf)은 별의 '시체' 중 하나다. 중간질량이나 소질량 별들은 백색 왜성으로 그 삶을 마감한다. 별의 중심에서 생성되는 핵융합이 줄어듦에 따라 별은 자기 무게에 의해 붕괴되어 플라스마 안에 있는 원자핵이 서로 충돌하게 될 때까지 수축된다. 가까워진 원자가 서로를 밀쳐내면서 붕괴는 더 이상...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맨 처음 발견된 백색 왜성은 무엇인가?
    거리에서 시리우스 주변을 돌고 있었다. 이들의 공동 궤도의 작은 흔들림을 측정하여, 천문학자들은 시리우스 B가 태양보다 질량이 더 크지만 지구보다 더 작다는 결론을 내렸다. 시리우스 B는 처음으로 발견된 백색 왜성이며, 천문학자들에게 알려진 백색 왜성들 중에서 가장 질량이 큰 백색 왜성의 하나로 남아 있다.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어떤 별들은 백색 왜성으로 별의 수명을 마치지 않는다는 것을 처..
    대한 연구가 포함된다. 그는 《천체물리학 저널(Astrophysical Journa)》의 편집장으로 일하기도 했다. 그러나 찬드라세카르의 업적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별들이 백색 왜성을 지나 다른 물질, 즉 물질이 더 조밀한 상태로 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그는 당대의 선도적인 천체물리학자로 널리 평가받고...
    출생 :
    1910년
    사망 :
    1995년
    국적 :
    미국
  • 아스 스탠리 에딩턴 백색 왜성의 특성을 처음 설명한 사람은 누구인가?, Arthur St..
    영국의 이론천문학자인 아서 스탠리 에딩턴(Arthur Stanley Eddington, 1882~1994)은 당대에 가장 뛰어난 천체물리학자였다. 그는 별의 핵에서 생성되는 엄청난 양의 열이 자체 중력에 의해 별이 붕괴되는 것을 가로막는다는 생각을 처음 주장했다. 그의 저서 《별의 내부 구조(The Internal Constitution of the Stars...
    출생 :
    1882년
    사망 :
    1994년
    국적 :
    영국
    대표작 :
    《별의 내부 구조( The Internal Constitution of the Stars)》
  • 왜성 dwarf star
    더 자세히 분류하면 중요한 것으로 백색왜성과 적색왜성이 있다. 왜성에는 흔히 주계열 별(→ 별)에 해당하는 별들 대부분이 해당하며, 태양도 여기에 속한다. 왜성의 색깔은 온도가 높은(1만K 이상) 푸른색에서 온도가 낮은(수천K) 붉은색 사이의 모든 색에 걸쳐 다양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갈색왜성 Brown dwarf, 褐色矮星
    우주 공간을 자유롭게 떠돌아다니는 어두운 준항성(substar)으로, 질량이 작아 수소 핵융합을 할 수 없는 천체'로 정의했다. 그러나 (가) '흑색왜성'은 차갑게 식은 백색왜성을 일컫는 단어로 이미 쓰이고 있었으며 (나) 적색왜성은 수소 핵융합을 하는데다 (다) 이 천체들은 태어난 후 얼마 동안은 가시광선 파장에서...
    도서 위키백과
  • 적색왜성 Red dwarf, 赤色矮星
    진화해 생성되는 적색 거성보다 크기가 훨씬 작아 태양 지름의 5~10배에 불과하며, 점근거성가지를 끝까지 올라가지 못하고 바로 행성상 성운으로 질량을 방출하고 백색왜성이 된다. 태양 질량의 16~23%인 적색왜성은 잠깐 거성으로 진화했다가 청색왜성이 되는데 태양 질량의 0.23배인 적색왜성은 청색왜성에서 10억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백색왜성(白色矮星)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