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모노코크 구조 monocoque body structure
    섀시프레임을 차체에 넣은 일체구조로, 응력 외피구조라고도 하며 항공기나 버스 바디의 기술에서 발달되었다. 달걀 껍질의 강도, 강성을 이상적으로 한다. 그러나 실제 바디에는 전후의 윈도, 도어, 엔진룸, 트렁크 룸 등 큰 개구부가 있어서 달걀 껍질 구조는 될 수 없다. 완전한 응력 외피구조라고는 할 수 없고, 세...
  • 모노코크보디 모노코크 구조(monocoque structure, 모노코크 構..
    단각구조차체. 골조(후레임)를 없애고, 박판구조에 의한 차체 자신으로 외력에 견딜 수 있게 한것. 스트레스트스킨· 콘스트럭션(stressed-skin construction)이라고도 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세미 모노코크 Semimonocoque
    골조(프레임)와 몸체(섀시)가 동시에 지탱하는 트러스 구조모노코크 구조의 장점을 살린 구조의 한 형태. 모노코크 구조보다 강성이 강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나 제작 가격이 상승한다.
    분야 :
    항공
  • 프레임레스 구조 frameless structured vehicle
    일반적인 승용차에 채용되고 있는 모노코크 구조. 엔진이나 섀시에서 오는 스트레스, 충돌 등으로 들어가는 대하중이나 반복 하중에 견디기 위해 부분 프레임, 크로스멤버, 린포스먼트, 가세트 등, 대호의 부재를 사용 구분해서 상세히 최적의 보강을 했다. 또 트럭처럼 전단부 부터 후단부 까지를 일체화한 프레임을...
  • 차체구조 body structure
    바디 쉘의 골격으로 모노코크 구조가 가장 일반적이다. 골격은 큰 단면을 프레임워크로 하는데, 가볍고 강도·강성이 있는 차체구조로 하는 포인트다. 재료는 자동화 율이 100%에 가까운 스팟 용접성이 뛰어난 얇은 연강판이다. 방청, 초수명화를 위해 표면처리강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엔진, 섀시, 충돌 등으로 대하...
  • 자동차의 구조
    시 충격을 가능한 한 흡수하여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일체구조를 사용한다. 또한 경주용 차에서는 특수한 목적으로 외피와 동체틀만으로 구성된 모노코크(monocoque) 구조를 사용하기도 한다. 섀시 섀시는 차체를 뺀 나머지 부분으로 자동차의 성능과 안전에 관계되는 모든 장치를 말한다. 주요장치를 크게 나누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자동차
  • 프레임 붙이 바디구조 body construction with separat..
    담당하며, 엔진이나 노면에서의 진동, 소음은 서스펜션과 바디 마운트의 2단계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바디에는 전달되기 힘들다. 조용한 실내가 얻어지기 쉬운 반면, 차량 중량이 모노코크 구조에 비해서 무거워져서 바닥면 높이나 중심고(重心高), 차량 전고(全高)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어서 지금은 트럭용이 되었다...
  • 모노코크 Monocoque
    골조와 외피를 완전히 일체로 만드는 응력 외피 구조의 한 형태.
    분야 :
    항공
  • 동체 胴體, fuselage
    조종장치가 들어갈 정도의 조종실로만 이루어져 있지만 제트 여객기는 승객실과 화물실이 따로 있을 뿐 아니라 조종실도 더 크다. 대부분의 동체 유형은 모노코크(monocoque : 외피가 응력의 대부분 혹은 전부를 견디도록 되어 있는 구조)나 반모노코크 구조이다. 이런 구조는 초기의 비행기에 사용된 트러스 구조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항공
  • 항공우주공학 航空宇宙工學, aerospace engineering
    과정의 모든 단계에 참여한다. 역사적으로 항공우주공학의 기술은 기초과학의 꾸준한 발달로 인해 혁신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 예로는 금속제 모노코크(monocoque) 구조의 동체(胴體), 단엽기(單葉機)의 날개, 제트 기관, 초음속 비행, 우주비행 등이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공기역학·구조·추진·안정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항공
  • 플로어 터널 floor tunnel
    차 실내 플로어 중앙에 있는, 큰 터널형상의 튀어 나온것이다. 모노코크 구조의, 바디 쉘 하부구조의 세로 지나가는 재료로서 중요한 보강부재. 특히 오픈바디 자동차는 더욱 터널부의 판을 두껍게 해서 2중구조로 보강하고있다. 각 부품의 레이아웃은 터널형상을 이용해서 하측에 배기계, 체인지 기구, 주차 브레이크를...
  • 필러 pillar
    후측 기둥을 쿼터필러, 리어필러(C필러)라고 한다. 6라이트형 세단이나 스테이션 왜건형 바디에서는 가장 뒤의 기둥을 리어필러(E필러)라고 한다. 모노코크 구조바디에서는 중요한 강도 멤버로, 특히 프런트필러나 센터필러 상하 접합부는 응력이 집중하는 곳이다. 프런트필러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단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