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뚝새풀 short awn, <일>スズメノテツボウ
    분포지역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1~2년생 초본이다. 크기 높이 20-40cm로 자란다. 잎 잎은 편평하며 길이 5~15cm, 폭 1.5~5mm로서 백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잎혀는 색이 연하고 막질이며 뚜렷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반원형 또는 달걀모양으로서 길이 2-5mm이다. 꽃 꽃은 5~6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3-8cm, ...
    분류 :
    화본목 > 벼과 > 뚝새풀속
    꽃색 :
    녹색, 주황색
    학명 :
    Alopecurus aequalis Sobol.
    개화기 :
    5월, 6월
  • 뚝새풀 water foxtail
    간맥랑, 둑새풀, 독새기, 독새풀라고도 한다. 북반구 온대와 한대 지방의 논밭과 같은 습지에서 자생하는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 높이 20∼40cm이다. 농가에는 반갑지 않은 논 잡초이며 번식력이 대단히 강한 풀이다. 줄기는 밑 부분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고 줄기는 원주형이며, 곧게 서고 모여서 나며 연한 질로...
    분류 :
    화본과
    서식지 :
    논밭
    학명 :
    Alopecurus aequalis var.
    분포지역 :
    북반구 온대와 한대 지방
    번식 :
    종자
    생활사 :
    한해살이풀
  • 뚝새풀 독개풀
    생물학적 특징 일년생 초본, 높이 30cm, 털이 없음 잎은 피침형, 길이 5-15cm, 폭 1.5-5mm, 엽설은 반원형, 가장자리가 민밋 꽃은 5-6월 개화, 화수는 길이 3~8㎝, 소수는 1개의 꽃, 짧은 대가 있음, 포영은 도란형, 3맥, 호영은 난형, 털이 없음, 까락은 이면의 중앙이하에서 나옴 열매는 영과 용도 약용 : (지상부) 전...
    분류 :
    벼과(Gramineae)
    서식지 :
    논과 밭
    학명 :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Kom.) Ohwi
    본초명 :
    간맥낭(看麥娘)
    분포지역 :
    한국(거의 전역), 일본, 중국, 만주
  • 밭 잡초 (관련어 뚝새풀) 주요 잡초의 생리 ・ 생태 및 방제
    잡초 한 개체로부터 생산되는 종자 수는 대개 수천에서 수만 개에 이른다. 그러나 종자의 대부분은 땅속 깊이 묻혀 생존해 있으면서도 휴면 상태로 있기 때문에 싹이 틀수가 없거나 월동 기간에 얼어 죽기도 하고, 자연 상태에서 부패함으로써 실제 출현율은 극히 낮다. 바랭이와 왕바랭이의 경우에는 각각 9.3%, 16.4%...
    도서 잡초방제기술 | 태그 산업
  • 뚝새풀 Alopecurus aequalis, スズメノテッポウ
    뚝새풀은 벼과 뚝새풀속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뱀이 나옴직한 곳에서 자란다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으며, 지방마다 독새풀, 둑새풀, 독개풀, 산독새풀, 독새, 독새기, 개풀 등으로 부른다. 한국·중국·일본·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털이 없으며 잎은 편평하며 길이 5~15 cm, 나비 2~5 mm로서 백록색이며 ...
    도서 위키백과
  • 뚝새풀 short awn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뚝새풀속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
    논·밭
    크기 :
    약 20cm ~ 40cm
    학명 :
    Alopecurus aequalis Sobol.
  • 뚝새풀 foxtail
    뚝새풀속은 약 25종(種)으로 이루어졌으며 북반구 온대지방에 널리 자란다. 대부분의 종들은 다년생 잡초로, 꽃은 원통 모양이지만 종종 솔처럼 생겼으며 빽빽하게 달려 그 모습이 여우꼬리처럼 보인다. 알로페쿠루스 프라텐시스는 유라시아가 원산지이며 북아메리카 북부에서는 사료용 풀로 쓰인다. 키가 30~80㎝ 정도...
  • 뚝새풀
    길고 엽설릉 백색의 막질이며 높이 2-4㎜이다. 꽃 꽃은 5월에 피며, 꽃차례는 원주형이고 줄기 끝에 달리는데 길이 3-6㎝, 지름 5-8㎜으로 재래종의 뚝새풀보다 굵다. 소수는 납작하고 길이 5-6㎜, 1소화이다. 호영은 2개,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이며 소수와 길이가 같고 분리되었으며 3맥이 있고 주맥을 경계로 강하게...
    분류 :
    화본목 > 벼과 > 뚝새풀속
    꽃색 :
    백색
    학명 :
    Alopecurus japonicus Steud.
    개화기 :
    5월
  • 쥐꼬리뚝새풀
    분포지역 • 일본과 북아메리카에 귀화되었다. • 인천의 남항 바닷가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한해살이풀이다. 크기 높이 20-50㎝이다. 잎 엽초는 둥글며 녹색이고 간혹 담자색을 띠기도 한다. 잎혀는 백색 막질로 2-4㎜이며 잎몸은 길이 5-15㎝, 폭 3-6㎜로 털이 없고 녹색이다. 꽃 꽃은 5-6월에 피며 원뿔모양꽃차례는...
    분류 :
    화본목 > 벼과 > 뚝새풀속
    꽃색 :
    녹색
    학명 :
    Alopecurus myosuroides Huds.
    개화기 :
    6월, 5월
  • 뚝새풀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50-100㎝ 잎 잎은 길이 20-40㎝, 폭 3-5㎜로 털이 없으며 백록색이다. 엽초는 엷은 녹색으로 때로는 아래쪽이 자갈색을 띠기도 하며 엽설(葉舌)은 높이 1-2㎜정도이다. 꽃 꽃차례는 원주형(圓柱形), 길이 5-8㎝, 폭 6-10㎜, 엷은 초록색이거나 보라색을 띠기도 한다. 5-7월에 꽃이 핀다...
    분류 :
    화본목 > 벼과 > 뚝새풀속
    꽃색 :
    보라색
    학명 :
    Alopecurus pratensis L.
    개화기 :
    7월, 5월, 6월
  • 뚝새풀 Alopecurus, スズメノテッポウ属
    생물 분류 뚝새풀속(---屬, 학명: 유럽, 북아프리카, 아메리카 등지의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널리 자생하며, 오세아니아에도 몇몇 종이 도입되어 귀화식물로 분포한다.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종은 자생종인 뚝새풀 1종과 귀화종인 쥐꼬리뚝새풀, 큰뚝새풀, 털뚝새풀 3종이다. 분류군 식별자
    도서 위키백과
  • 벼과 Poaceae, イネ科
    벼과으로도 알려져 있다. 고등 식물 중 가장 큰 과의 하나이다. 세계 각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700여 속의 12,000여 종 가량이 알려져 있다. 벼나 밀, 옥수수를 비롯하여 식량이나 사료로 이용되는 매우 중요한 종류가 많다.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초본이 대부분이지만 대나무류와 같이 목질화되는 것도 있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3건

뚝새풀
뚝새풀
뚝새풀
뚝새풀
뚝새풀
뚝새풀
뚝새풀
뚝새풀
뚝새풀
뚝새풀
뚝새풀 종자
뚝새풀 종자
뚝새풀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