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대문구 東大門區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위치한 구(區).|개관 동쪽은 중랑천을 경계로 중랑구와 접하고, 서쪽은 성북구와 종로구, 남쪽은 성동구, 북쪽은 도봉구와 접해 있다. 위치는 동경 127°01′∼127°04′, 북위 37°33′∼37°35′이다. 면적은 14.21㎢, 인구는 36만 153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4개 행정동(10개 법...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동대문구 東大門區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있는 구. 1943년 구제의 실시에 따라 동대문구와 성동구 개편되었다. 1949년 동대문구에서 성북구가, 1988년 중랑구가 분구했다. 중랑천과 청계천이 각각 구의 동쪽과 서남쪽 경계를 흐른다. 서울시와 경기도·강원도를 연결하는 다양한 교통의 중심지로 상업과 서비스업이 발달했다. 청량리역에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동대문구 Dongdaemun District, 東大門区
    대한민국 시군구 동대문구(東大門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다. 동쪽으로는 중랑구와 광진구, 서쪽으로는 종로구, 남쪽으로는 성동구, 북쪽으로는 성북구와 접한다. '동대문'의 명칭은 조선 시대의 도읍지인 한양의 동문인 흥인지문의 별칭 '동대문'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하지만 현재 흥인지문은...
    도서 위키백과
  • 우산각골 동대문구, 雨傘閣―
    동대문구 신설동과 보문동 사이에 걸쳐있던 마을로서, 조선 세종 때에 청렴결백하기로 유명한 정승인 柳寬이 이곳에 살면서 비 새는 집에서 우산을 받치고 책을 보았다고 전하는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그는 매우 검소하게 살아 겨우 오두막집 한 채를 구하여 거주했으나, 이 집은 비가 오기만 하면 지붕이 새므...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안말 동대문구
    동대문구 용두동에 있던 마을로서, 원주민이 집중해서 거주하고 있는 왕산로 북쪽 지점을 일컫는다. 이곳에서는 30여 년 이상을 거주한 사람도 토박이 대우를 못 받을 정도로 조상이 언제부터 이곳에 살았는지 그 시기조차 모르는 사람만이 토박이 대우를 받는 동네라 한다. 이처럼 오래된 마을인 까닭에 몇 대를 계속해...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이문동 동대문구, 里門洞1
    동대문구 이문동에 있던 마을로서, 마을에 이문이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우리말로 ‘이문골’, ‘이문안’이라고 하던 것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두 개의 이문이 같이 있어 쌍리문동으로 부르던 곳도 있었다. 서울에 이문이 설치된 것은 조선 세조 때로 도적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이...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텃골 동대문구
    동대문구 전농동에 있던 마을로서, 전농동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이며, 왕이 친히 갈던 밭을 적전이라고 하는데 이 동적전이 있던 곳인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톳구리・기곡이라고도 하였다. 또는 여러 마을을 건너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건너말, 한자명으로 월촌이라고도 하였으며, 현재 전농제3동에 해당...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탑골 동대문구
    동대문구 신설동・보문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미타사의 탑이 있는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 숭신방의 신설계에 속하였다. 1914년 4월 1일 탑동・우선동・안암동・신리를 합하여 신설계의 이름을 따서 신설리라 하다가, 1946년 신설동이라 고치고, 일부는 보문동으로 하였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창동 동대문구, 倉洞
    동대문구 전농동 텃골〔톳구리, 基谷〕에 있던 마을로서, 왕이 친히 갈던 밭인 籍田에서 나온 곡식을 창고에 잘 저장했던 창마을인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곳에는 전농의 일을 맡아보던 苾芬閣이 있었으며, 적전에서 추수한 곡식은 종묘의 제사에 사용되었다. 창마을・창말・창촌이라고도 하였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신설동 동대문구, 新設洞
    동대문구 신설동에 있던 마을로서,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 숭신방의 신설계였으며, 1914년 4월 1일 탑동・우선동・안암동・신리를 합하여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신설리라고 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1943년 구제의 실시에 따라 동대문구 신설정이 되었다. 새말・신리라고도 한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동대문구 (1973년 선거구)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동대문구는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였다. 당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를 관할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동대문구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1988년 1월, 동대문구의 일부 지역이 중랑구로 분리되었다. 또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선거구제로 바뀜에 따라...
    도서 위키백과
  • 미나리꽝 동대문구
    동대문구 용두동 39번지 경동시장 일대는 미나리밭으로서 미나리꽝이라고 하였다. 1946년에 용산에 있던 나무시장이 이곳으로 옮겨와 원목조합이 되었으므로 원목조합터라고도 하였다.
    유형 :
    자연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동대문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법정구역도
동대문구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