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데이터 과학 -科學, data science
    데이터를 수집/분석/처리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고 활용하는 과학적 방법론, 프로세스,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학제 간 연구 분야. 데이터 과학이라는 용어는 1974년 덴마크의 컴퓨터 과학자 페테르 나우르(Peter Naur)가 쓴 『Concise Survey of Computer Methods』에서 처음으로 언급하였다. 나우르는 데이터 과학...
  • 데이터 일반, 데이터 과학 -科學, data science
    데이터를 수집/분석/처리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고 활용하는 과학적 방법론, 프로세스,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학제 간 연구 분야|1990년대 말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 과학이라는 용어가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 빅데이터(big data), 기계...
    참고 :
    1. 데이터 과학이라는 용어는 1974년 덴마크의 컴퓨터 과학자 페테르 나우르(Peter Naur) 가 쓴 「Concise Sur-vey of Computer Methods」에서 처음으로 언급하였다. 나우르는 데이터 과학을 데이터를 다루는 과학으로 정의하였으나 데이터 수집(data collection), 저장(storing), 조작(manipulation) 등 데이터를 컴퓨터로 처리하는 데에만 집중하였다.2. ISO/IEC 20546 : 2019(en), 3.1.10 에서 정의한 data science : extraction of actionable knowledge from data through a process of discovery, or hypothesis and hypothesis testing
  •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어 데이터 과학) Data science, データサイエンス
    출처 필요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과학(data science)이란,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과 유사하게 정형, 비정형 형태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지식과 인사이트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방법론, 프로세스, 알고리즘, 시스템을 동원하는 융합 분야다. 데이터 과학데이터를 통해 실제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
    도서 위키백과
  • 데이터과학
    연구 환경 및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IT 정보기술의 발달과 첨단 연구 장비로 인해 많은 양의 과학기술 빅데이터를 생산하고 연구 · 개발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이 구축되었다. 연구자의 연구 형태변화가 데이터 중심의 연구로 변화되었으며, 데이터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도 변화되었다. 천문학과 빅데이터 천문학...
    유형 :
    빅데이터 융합기술
  • 탐정처럼 데이터의 비밀을 밝혀낸다! 데이터 과학자
    그만큼 중요해졌기 때문입니다. 이번 과학향기에서는 데이터 과학이 무엇인지, 데이터 과학자들은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보기로 해요. 그림 1. 데이터 과학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분야다. ⓒshutterstock 셜록 홈스처럼 데이터를 모아 비밀을 찾는 데이터 과학자 데이터 과학은 다양한...
    도서 과학향기
  • 과학기술 발전의 핵심, 연구데이터
    평가를 거쳐 신뢰성이 공인된 참조 데이터도 연구데이터에 속한다. 데이터의 형태도 숫자, 텍스트, 동영상, 이미지, 소리 등 다양하다. 그림 1. 연구데이터과학기술 연구 과정에서 만들어진 모든 데이터를 말한다. ⓒshutterstock 그동안 과학자들은 관찰을 통한 경험(1세대), 모델링과 일반화를 통한 이론(2세대...
    도서 과학향기
  • 데이터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나?
    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다음 시간에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눈부신 성과를 내는 분야 중 가장 각광 받고 있는 인공지능을 다루면서 데이터 과학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글: 서태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학술정보공유센터 센터장/일러스트: 유진성 작가 2019-09-09
  • 살아 숨 쉬는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세상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 조만간 빅데이터라는 말이 사라질지도 모른다. 모두가 빅데이터 기술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꾸릴 테니 말이다. 결국 중요...분석해 어디에 활용할지 결정하는 일은 사람이 할 일이다. 통계와 컴퓨터 과학을 아우르면서 사회적인 면도 고려할 줄 아는 통섭적인 인재가 그 어느 때...
  • 과학기술 발전에 필수! ‘연구데이터’란?
    심지어 자료가 분실되거나, 다른 사람이 만든 데이터를 본인이 만든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나타났습니다. 미국, 영국, 호주 등에선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한국 역시 2020년부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연구데이터를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누구나 열람할...
    도서 과학향기
  • 지금은 빅데이터 시대!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좋은 연구를 하기 어려울 거예요. 그래서 과학기술 데이터를 수집해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입니다. 그림 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한국의 대표 데이터 전문연구기관이다. ⓒKISTI KISTI는 논문, 특허, 연구데이터 등 중요한 과학기술 데이터들을...
    도서 과학향기
  • 대변 모으는 은행 있다? 인류를 지킬 데이터 모으기의 세계
    또 수렵채집을 하는 남미 원주민의 장내 미생물 다양성은 도시에 사는 서구인보다 최대 2배나 높다고 한다. 인류의 미래와 복지를 위한 다양한 과학 은행들 과학 연구를 위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은행에는 대변 은행만 있는 것이 아니다. 노르웨이의 스발바르라는 지역에는 전 세계에서 모인 종자 약 110만 종을 보관하는...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3시간 후에 침수가 일어난다? ‘데이터’는 알고 있다
    문제는 ‘데이터기반문제해결연구단’이 책임진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분석이 이뤄지고 있을까? 국내에서는 2018년에 출범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데이터기반문제해결연구단이 관련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해당 연구단은 자체 보유 데이터와 인공지능(AI), 슈퍼 컴퓨팅 기술을 활용해...
    도서 과학향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데이터 과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