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한민국의 수송체계도로 및 자동차 수송 우리나라 최초의 도로는 조선 중엽 황토현광장(지금의 광화문광장-동대문 간과 광교-남대문 간)의 +자형 도로로 볼 수 있다. 해방 이후 기존도로의 포장과 확장에 치중하다가 1960년대는 고속도로를 중점 건설하여 고도경제성장을 위한 기반도로망을 구축했으며 1970년대는 국도포장사업을 본격화...
-
한국군 함정 무기체계정도이다. 대한민국 해군은 참수리급 고속정(PKM, Patrol Boat Killer, Medium)을 운용 중에 있다. 최근 일부 고속정의 도태됨에 따라 무장을 한층 강화한...때 유럽의 전투가 격화됨에 따라 대규모의 상륙작전이 필요하게 되어 각종 수송함이 개발된 것이 현대적 상륙함의 시작이다. 제2차 세계대전의 노르망디 상륙...
-
대형수송함 독도함 LPH, 大型輸送艦 獨島艦대한민국 해군이 'LPX'(Landing Platform, Experimental)라는 사업명으로 의욕적으로 추진, 보유한 대형 수송함으로 미래의 상륙작전의 주류로 자리를 잡아가는 초(超)수평선(Over the Horizon) 상륙개념에 부응하는 함정이다. 독도함은 헬기를 7대 탑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륙장갑차 등을 함미로 내보낼 수 있는...
- 분류 :
- 함정 > 전투함 > 상륙함 > 독도급(대형수송함)
- 크기 :
- 길이 199.4m, 톤수 14,500t
- 성능 :
- 최대속력 25kts (42km/h)
-
K10 탄약운반 장갑차K9와 패키지를 이루는 자동적재와 자동보급이 가능한 탄약운반 장갑차. 탄약 104발, 장약 504유니트(unit)를 적재. 3명의 승무원이 탑승하며 K9 1대에 K10 1대가 지원하는 개념으로 운용된다. 자주포가 유사시 4~7일 동안 주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치열전투'를 K10은 충분히 뒷받침할 수 있다.
- 분류 :
- 화력 > 야포
-
K56 탄약운반 장갑차K56탄약운반장갑차는 5톤 탄약차를 대체하는 장비로 K55A1 155mm 자주포에 탄약을 자동으로 적재하고 보급하는 로봇형 탄약운반장갑차이다. K10 탄약운반장갑차의 자동화 기술을 적용했다. 분당 10발을 자주포 내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 분류 :
- 화력 > 야포
-
대한민국의 국토개발과 환경보전조정체계 결여, 계획추진체제의 미비로 하나의 지면계획에 불과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 계획·발표된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82~91)은 인구의 지방정착을 유도하고 개발가능성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며 국민복지수준의 향상과 국토자연환경의 보전을 기본목표로 설정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중심도시와 주변...
-
한국군 항공기 무기체계다양하다. 대한민국 공군은 최초 민수용을 군용기로 개조한 다목적 쌍발 프로펠러 수송기U-9C(L-26)를 운용했으며 현재의 C-130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종을 운용하면서 공수 및 공정작전, 대 간첩작전, 환자수송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훈련기 훈련기가 차지하는 비중과 그 존재 의의는 전투기 못지않게 중요하다...
-
한국군 기동 무기체계보였다. 대한민국 국군은 6・25전쟁 중 북한군의 소련제 T34 전차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던 까닭에 오랜 세월 동안 '우리 손으로 만든' 국산 전차를 보유하는 것을 숙원으로 여겨왔다. 한국군은 1950년 미군으로부터 M36잭슨 경전차를 교육용으로 최초 도입한 이후 1950~60년대를 통해 M4A3E8 ・ M47 ・ M48을 도입한 후...
-
한국군 화력 무기체계박격포를 개발 중에 있다. 야포 ・ 포병지원장비 전쟁에서 가장 두려운 무기체계를 꼽으라면 무엇일까. 공격하는 측에서는 적에게 쉽게 노출되지 않고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무기, 야포다. 발사 각도에 따라 크게 평사포와 곡사포, 수송수단에 따라 견인포와 자주포로 각각 구분할 수 있다. 구경에 따라 다양한 모델이...
-
C-130H/J 허큘리스 C-130H/J Hercules생산되어 65개국에서 운영 중인 4발 터보프롭의 대표적인 중형 다목적 수송기. A/B/E/H/J형이 있으며 H형은 155mm 곡사포를 비롯한 장비수송이나 완전무장 병력 62명을 수송할 수 있다. 최신 형상인 J형은 입체영상 전시가 가능한 4개의 하방시현 장비(HDD: head-down display)와 2개의 전방시현 장비(HUD: head-up...
- 분류 :
- 항공기 > 수송기
- 크기 :
- 길이 29.3m, 너비 39.7m, 높이 11.9m
- 성능 :
- 최대속도 602km/h, 항속거리 7,876km
-
CH-47D 치누크 CH-47D ChinookCH-47(Chinook)는 1950년대 중반에 대량의 무장병력 침투 및 수송, 부상병 후송, 주요 장비 및 군수품 이동/투하 능력을 구비한 헬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육군은 CH-47을 1987년부터 도입해 1988년부터 전력화. 장거리 공중기동작전 지원, 중장비 및 물자 수송, 평시 대민 재난 구호지원에서 크게...
- 분류 :
- 항공기 > 기동헬기
- 크기 :
- 길이 15.9m, 높이 5.68m, 무게 24,493kg
- 무게 :
- 화물적재 8.1톤(내부)
- 성능 :
- 운항속도 225km/h , 최대속도 287km/h
-
리본부교 Ribbon Bridge System리본부교(Ribbon Bridge System)는 전투 장비의 신속한 도하 지원을 위해 개발된 장비. 수송차량 1대가 교절을 적재 운반하고 자체 작동장치에 의해 진수 및 철수를 할 수 있는 반자동식이다. 공중수송도 가능하다. 리본부교는 문교 단계에서 단시간 내 부교단계로 전환하거나 문교 단계 없이 바로 부교를 구축 할 수도...
- 분류 :
- 기동 > 기동지원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