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3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농촌 사업의 3대 강령일반이 농촌 사업이라 하면 농사 개량으로 생각한다. 또 농사 개량이라면 농산물 증수로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농촌 사업을 하는 자들로서나 농촌 사업이 필요하다고 하는 자들로서 큰 착오이다. 농산물 증수만으로는 농민 생활을 풍부하게 할 수 없다. 그와 반대로 도리어 빈핍하게 하기도 한다. 작년에 조선에 풍년...
- 시기 :
- 1931년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식민지 문학의 난숙기에 나온 ‘시문학파’ : 〈시문학〉 창간 • 볼셰비키 문예 운동 1931년의 한국 문학사적 변화 • 주요 역사적 사건 : 농촌 사업의 3대 강령 • 대표 문학가 : 강경애, 김남천 • ‘문학’을 죄어오는 일제의 손길 1) 카프 1차 검거와 신간회 해체 2) 농민 문학과 동반자 이론의 도입 3) 농민...
-
북한 North Korea, 北韓황해남도 강령군 등암리(광복 당시 황해도 옹진군 봉강리), 북단(北端)은 북위 43°00′36″인 함경북도 온성군 풍서리이다. 북한의 면적은 12만 3138㎢로서 우리나라 전체 면적의 약 55%에 해당한다. 북한 지역은 전체면적의 약 80%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백두산(2,750m), 관모봉(2,540m), 북수백산(2,521m...
- 시대 :
- 현대
- 위치 :
- 한반도 북부
- 유형 :
- 지명
- 면적 :
- 12만 3138㎢
- 분야 :
- 역사/현대사
-
원불교 圓佛敎지도강령을 밝히고 이를 실천하도록 각 방면에 지도하였다. 정산은 소태산의 대세계주의(大世界主義)의 뜻을 이어받아, 이를 우리 나라에서부터 실현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정부가 수립되었다. 그러자 교단의 사업목표를 교화 · 교육 · 자선의 세 방면으로 다시 정비하였다. 그리하여 교육사업으로 1951년 종전의 유일...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단체
- 분야 :
- 종교·철학/원불교
-
난징 국민정부의 불안한 통일시기의 3대 주요 역점 사업으로 ‘정치 건설’, ‘경제 건설’, 그리고 ‘교육 건설’을 제시했다. 아울러 이러한 사업을 물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경제 발전 계획을 추진하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회적 안정이며 경제 건설의 2대 선결 과제는 ‘군비 절감’과 ‘재정 안정화’라는 사실을 공표했다. 여기서 ‘오원...
-
원불교 圓佛敎유정천으로 농촌의 소박한 가정이었다. 이 시기는 봉건 질서가 무너지고 일제에 의하여 주권이 침탈되는 상황에 있었다. 이러한 때에 우리의 고유한 민족혼을 다시 일깨우고 새로운 세계가 도래한다는 사상을 창도한 흐름이 있었다. 이 중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의 동학사상은 특유한 후천 개벽설에 의해 조선의...
- 분야 :
- 종교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