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중식 공립(公立), 安中植능하였다. 하지만 그의 화풍을 대표할 수 있는 것은 산수화이다. 그의 산수화는 대체로 정형화된 남종화풍과 북종화적인 청록산수화풍(靑綠山水畵風) 그리고 남북종 절충 화풍의 세 가지 경향을 띠고 있다. 그러나 화풍상의 변천 과정에서 볼 때 1910년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진다. 경물(景物)을 공간 가득히...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61년(철종 12)
- 사망 :
- 1919년
- 경력 :
- 서화협회 초대 회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가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본관 :
- 순흥(順興)
-
이상범 청전(靑田), 李象範1961년의 정년퇴직 시까지는 홍익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작품세계 그의 작품 세계는 서화미술원과 경묵당 수학 시절인 초기에 안중식의 화풍을 따라 남북종(南北宗) 절충 화풍을 구사하였다. 그러나 1923년 무렵부터는 논과 개울을 근경에 두고 나지막한 야산을 원경에 배치하여 횡으로 전개되는 독창적인 구도를 보이기...
- 시대 :
- 현대
- 출생 :
- 1897년
- 사망 :
- 1972년
- 경력 :
- 홍익대학교 교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가, 한국화가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변관식 소정(小亭), 卞寬植1917년에서 1936년까지의 초기는 주로 서화미술원이나 일본 유학 등을 통하여 그림 수업을 받으며 자신의 화풍 형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던 전습기였다. 남북종(南北宗) 절충 화풍과 서구적 기법이 가미된 일본의 신남화풍이 근간을 이루었다. 그러나 1920년대 후반부터 이미 거친 화면 처리와 시선의 다각적인 전개...
- 시대 :
- 현대
- 출생 :
- 1899년
- 사망 :
- 1976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가
- 대표작 :
- 누각정경도, 산수춘경도, 해금강삼선암추색도, 무창춘색도, 외금강삼선암도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