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까치의 세력권 보호 내 땅은 내가 지킨다
    우리에게 친숙한 새 까치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새해가 되면 한번쯤은 들어본 노래가사이지요? 마을 주변에 사는 까치의 ‘깍깍깍~’ 거리는 울음소리는 새해를 시작하는 우리 선조들에겐 정겨운 소리였나봐요. 노래가사 속에 새의 이름까지 넣어서 부른 걸 보면 그 사랑이 얼...
  • 까치 길조로 사랑받았던 텃새
    때에는 세력권을 형성하지 않는다. 번식정보 • 마을 주변의 큰 나무, 철탑 등에 나뭇가지를 모아 둥글 넙적한 공모양으로 둥지를 만들고, 어미새가 출입할 수 있는 구멍을 남겨두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나뭇가지로 덮어 견고하게 지어요. 둥지 내부에는 풀, 진흙, 동물의 털을 깐다. • 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2~7개...
    분류 :
    참새목>까마귀과
    서식지 :
    도시, 농촌 등 마을 주변
    먹이 :
    잡식성(곡식, 고구마, 곤충, 작은 동물, 과일 등)
    크기 :
    약 45~48cm
    학명 :
    Pica pica
    수명 :
    약 2~10년
  • 까치 희작, Pica pica
    제외시킴으로써 보호받게 되었다. 나라새는 애조사상(愛鳥思想)을 고취하며 민족을 상징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까치는 우리 주변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살아온 친근한 새 가운데 하나이다. 사람이 살지 않는 오지나 깊은 산에서는 까치를 찾아볼 수가 없다. 까치는 사람이 심어준 나무에 둥지를 틀고, 사람이 지은...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참새목 > 까마귀과 > 까치속
    원산지 :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먹이 :
    감나무, 감자, 고구마, 거미
    크기 :
    약 42cm ~ 45cm
    무게 :
    약 200g ~ 250g
    학명 :
    Pica pica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17~18일
  • 삼광조 三光鳥
    자기의 세력권을 지킨다. 높은 나뭇가지보다는 작은 관목 사이나 교목의 하층을 주로 날아다닌다. 먹이는 공중을 날거나 정지 비행을 하면서 곤충을 잡으며 땅으로 내려오는 일은 거의 없다. 산림의 낙엽 활엽수림이나 관목 등에 둥지를 틀며, 땅 위에서 1.5~15m 높이에 있는 2가닥 또는 3가닥으로 된 작은 나뭇가지...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