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덕순 金德順
    대한제국기 을사조약 체결 후인천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생애 및 활동사항 경기도 강화 출신. 강화도 일대에서 의병으로 군자금 모집활동과 부일배와 일본인을 처단했다. 을사조약의 체결과 이로 인한 국권 침탈기에 김덕순은 의병전쟁에 투신했다. 1908년 6∼7월 경기도(京畿道) 강화(江華) 및 인천(仁川) 일대에서 ...
    시대 :
    근대
    출생 :
    1878년(고종 15)
    사망 :
    1909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을사조약
    직업 :
    의병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김월하 김덕순, 金月荷
    여창가곡의 명인.|1941년 서울 종로 요동학원 고등부를 졸업하고, 6·25전쟁 당시 부산에서 시조를 배우기 시작했다. 김태영에게 시조, 이병성에게 가사, 이주환으로부터 가곡을 15년간 수업받았다. 정가(가곡·가사·시조 등과 같이 정악에 속하는 노래)는 물론 거문고와 양금 등 기악연주에도 뛰어났다. 1948년 한국...
    출생 :
    1918. 2. 8, 서울
    사망 :
    1996. 1. 1, 전북 익산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간문화재
  • 김덕순 금곡덕순, 金德順
    1909년경 평안북도 선천군(宣川郡) 신부면(新府面) 원동(院洞)에서 태어났다. 창씨명은 금곡덕순(金谷德順)이다. 선천공립보통학교(宣川公立普通學校)를 거쳐 1926년 평북 영변공립농업학교(寧邊公立農業學校)에 입학하여 1927년 7월 중도 퇴학하였다. 그 후 선천군(宣川郡) 사립일신학교(私立日新學校)에서 교사로 재직...
    출생 :
    1909년, 평북 선천
    사망 :
    1945년 8월
    관련 사건 :
    죽마계 사건
    주요활동 :
    1930년대 평북지역 농민운동, 1940년 비밀결사 죽마계 활동
    포상훈격 :
    2016년 건국훈장 애국장
  • 김덕순 金德順
    1901년 8월 8일 전라남도 광주군(光州郡) 본촌면(本村面) 본촌리(本村里)에서 태어났다. 1919년 당시 전남 광주군 효천면(孝泉面) 양림리(楊林里)에 있던 수피아여학교(須彼亞女學校)의 학생으로 18세였다. 1919년 서울에서 만세 시위가 일어난 후 나주군(羅州郡) 나주면(羅州面) 출신의 김복현(金福鉉)이 ‘경고 우리 ...
    출생 :
    1901년 8월 8일, 전라남도 광주(光州)
    사망 :
    1984년 6월 9일
    관련 사건 :
    광주면 만세시위
    주요활동 :
    1919년 3월 10일 전남 광주군 광주면 만세시위 주도
    포상훈격 :
    2008년 대통령표창
  • 김덕순 金德順
    1877년경 경기도 강화군(江華郡) 부내면(府內面) 동문동(東門洞)에서 태어났다. 1894년 10월 경리청(經理廳) 좌이소대(左二小隊)의 십장(什長)에 동일한 이름이 기재되어 있고, 재판 기록에도 직업이 육군 병정으로 기재되어 있어 동일인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경리청이 1891년 서울의 방어에 필수적인 북한산성의...
    출생 :
    1877년, 경기도 강화(江華)
    사망 :
    1909년
    관련 사건 :
    후기의병
    주요활동 :
    1908년 박정빈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군자금 모집 및 부일배를 의병 밀고자를 처단하였고, 체포된 이후 1909년 교수형으로 사망
    포상훈격 :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박정빈 의병부대
  • 김윤순·김덕순 영세불망비
    문화재 정보 김윤순·김덕순 영세불망비(金潤洵·金德成 永世不忘碑)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묘사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석이다. 2019년 11월 7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661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지사, 2019-11-07》 「김윤순․김덕성 영세불망비」는 정조 10년(1786년), 고을에 엄청난 기근이...
    도서 위키백과
  • 죽마계 竹馬契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일본 유학생 중심의 비밀결사 조직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게 되었다. 그래서 1940년 3월 9일 유학생 이봉하(李鳳夏) · 김덕순(金德順) · 안종식(安鍾植) · 이해룡(李海龍) · 김홍기(金泓沂) · 구철회(具喆會) · 이일동(李一東) 등과 의논한 결과, 표면적으로 합법을 위장하기...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민성국어학교 民成國語學校
    민족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한편, 조국의 독립과 함께 독립 후 국가를 건설해 나갈 일꾼을 양성하려고 하였다. 연원 및 변천 1922년 설립 당시에 교장은 김덕순이 맡았고, 교사는 서병학, 감사는 이인환이었다. 하지만 다음해에 마탄사스 지역에 거주하던 한인의 2/3가 카르데나스(Cardenas)로 옮겨 가면서 마탄사스...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22년 11월 1일
    성격 :
    해외한인, 단체, 학교
    유형 :
    단체
    해체 :
    1944년 9월 말경
    설립자 :
    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
    분야 :
    교육/교육
  • 진성국어학교 진성학교, 進成國語學敎
    간사 이윤상과 함께 개학설비위원으로 다시 학교를 열 것을 가결한 뒤 3월 9일에 개교하였다. 당시 카르데나스지방회의 임원을 맡고 있던 임천택, 이명상, 김덕순, 장윤익, 허영보 등은 운영을 위한 찬성금으로 매달 20전씩, 회원 김동수는 매달 30전을 내기로 약정하는 등 학교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노력...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23년
    성격 :
    해외한인, 단체, 학교
    유형 :
    단체
    해체 :
    1933년 이후
    설립자 :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분야 :
    교육/교육
  • 카르데나스 지방회 Cárdenas 地方會
    노동회를 설립하거나 독립 기금을 모아 조국의 독립을 적극 후원하기도 하였다. 이윤상이 초대 회장을 맡은 이래, 강흥식, 김세원, 박두현, 임천택, 김덕순 등이 회장을 지냈고, 김연규와 홍익삼은 각각 1937년과 1941년에 집행위원장을 역임하였다. 그 밖에 태덕일, 허영보, 호근덕, 이명상, 김덕순, 장윤익, 박희용...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쿠바 한인회 쿠바국민회, Cuba 韓人會
    되면서 쿠바 한인의 대외창구 역할을 담당하였다. 당시 회장은 서문경이 맡았고, 부회장은 이회택, 총무는 이인환, 서기는 임병일, 재무는 장성일, 법무는 김덕순, 학무는 정원성, 구제원은 호근덕, 외교원은 박창운, 대의원은 박두현, 사찰로는 박희성 등이 선출되었다. 그 뒤에 차희관과 김치일이 제2대 · 제3대 회장...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김덕수 경진(景眞), 金德秀
    1500년(연산군 6)에 태어났으며,자는 경진(景眞), 호는 이진자(頤眞子),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기묘사화 이후 부친의 망명으로 추국령이 내려지자, 동생 김덕순과 함께 행적을 감추고 지내다가, 1538년(중종 33) 신원(伸寃)된 뒤 집으로 돌아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윤근수(尹根壽, 1537∼1616) 등 많은 명사들이 그의...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김덕순
김덕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