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구응 金球應김구응은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천안에서 일어난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천안군 진명학교에서 교사로 활동하였다. 유관순을 만나 독립운동 상황을 전해 듣고 동지들과 독립만세운동을 추진하였다. 1919년 4월 1일 천안군 갈전면 병천리 아우내 장터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다가 헌병의 총격...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구응 金球應1887년 7월 27일 충청남도 천안군(天安郡) 갈전면(葛田面, 현 병천면) 가전리(佳田里)에서 출생하였다. 5세 때부터 한학을 수학하였다. 1907년 교육 구국 운동의 열풍이 일어나자, 스무 살이 되던 해에 가전리 청신의숙에서 훈도로 학생들을 가르쳤다. 이후 1910년 한일 강제 병합의 소식을 듣고 가까이 지내던 유창순 ...
- 출생 :
- 1887년 7월 27일, 충남 천안(天安)
- 사망 :
- 1919년 4월 1일
- 관련 사건 :
- 병천면 만세시위
- 주요활동 :
- 1919년 4월 1일 천안군 병천면 만세시위 참여
- 포상훈격 :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최정철 채씨(蔡氏), 崔貞徹인적 사항 천안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김구응(金球應)의 어머니이다. 1853년 6월 26일 태어났고, 1919년 4월 1일 사망하였다. 주요 활동 1919년 4월 1일 전개된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은 천안에서 일어난 3 · 1운동 중 가장 대표적인 독립만세운동이다.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은 이화학당에 다니던 유관순이 3...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상헌 김상헌(金相憲), 金尙憲武) 등에게 경성의 독립운동 상황을 전하면서 독립만세를 부르자고 주창하였다. 이들은 조인원(趙仁元) 등과 협의하여 독립만세를 준비하였다. 갈전면에서는 김구응(金球應), 김상철(金相喆), 박종만 등이 활동하였다. 그리고 수신면(修身面)에서는 홍일선(洪鎰善)이 김교선(金敎善) · 한동규(韓東奎) · 이순구(李旬求...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박병호 朴炳好독립만세를 부를 것을 주창하였다. 이들은 조인원(趙仁元) 등과 협의하여 독립만세를 준비하며 면내 마을 주민들에게 참가를 권유하였다. 갈전면에서는 김구응(金球應), 김상철(金相喆), 박종만 등이 활동하였다. 한편, 수신면(修身面)에서는 홍일선(洪鎰善)이 김교선(金敎善) · 한동규(韓東奎) · 이순구(李旬求...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박유복 朴有福柳重武), 동네 어른인 조인원(趙仁元) 등에게 보이고 서울의 상황을 자세히 보고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천안군 갈전면(葛田面)에서는 조인원을 중심으로 김구응(金球應) · 김상철(金相喆) · 박종만 등이 아우내 장날을 기해 만세운동을 일으키기로 계획하였고, 인근 수신면(修身面)에서는 홍일선(洪鎰善) · 김교선...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소제 이여사(李女史), 李少悌柳重武), 동네 어른인 조인원(趙仁元) 등에게 보이고 서울의 상황을 자세히 보고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천안군 갈전면(葛田面)에서는 조인원을 중심으로 김구응(金球應) · 김상철(金相喆) · 박종만 등이 아우내 장날을 기해 만세운동을 일으키기로 계획하였고, 인근 수신면(修身面)에서는 홍일선(洪鎰善) · 김교선...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아우내봉화제 아우내3·1절기념봉화제, ─烽火祭아우내장터에서 1919년 4월 1일 대규모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때 유관순의 아버지 유중권(柳重權), 유관순의 큰아버지 유중무(柳重武), 청산학교 교장 김구응(金球應) 등 19명의 애국지사가 현장에서 순국하고, 유관순 열사도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하는 등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기폭제가...
- 시대 :
- 현대
- 성격 :
- 마을축제, 지역축제
- 유형 :
- 의식행사
- 행사시기 :
- 매년 2월 28일
- 장소 :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 아우내장터
- 주관처 :
- 천안문화재단, 동천안청년회의소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아우내장터 만세운동동족으로 같은 민족을 죽이느냐고 항의를 하였고, 유관순은 주재소장을 잡아 낚아채면서 항의를 하였다. 성공회 병천교회에서 운영하던 진명학교[7] 교사 김구응이 지역 유지들과 젊은 청년, 학생들과 함께 참여하였다. 일경은 김구응을 총으로 쏘아 죽이고 그의 두개골을 박살냈다. 비보를 듣고 온 그의 모친 최씨가...도서 위키백과
-
박영학 朴榮學, 朴永學출신의 유관순(柳寬順)이 3월 13일 서울에서 귀향하면서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유관순은 부친 유중권(柳重權)과 숙부 유중무(柳重武), 조인원(趙仁元) ・ 김구응(金球應) ・ 이백하(李伯夏) 등 지역 인사 20여 명이 모인 자리에서 서울의 만세운동 상황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들의 찬성을 받아 아우내장터 장날인 4...
- 출생 :
- 1878년 9월 25일, 충남 천안(天安)
- 사망 :
- 1920년 7월 7일
- 주요활동 :
- 1919년 4월 1일 충청남도 천안군 갈전면 병천리 아우내장터 만세운동 참여
- 포상훈격 :
- 1991년 건국훈장 애족장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