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근우회 勤友會
    1927년에 조직되었던 독립운동 및 여성운동 단체.|개설 1919년 3·1운동 직후에 조직되어 활약한 대부분의 항일여성단체들이 일제의 탄압으로 해체되었다. 이후 여성운동은 교육운동, 민족경제진흥운동, 종교계 여성단체를 통한 신앙운동이나 생활향상 계몽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이와 같은 여성운동이 1924년 사회주의...
    시대 :
    근대
    설립 :
    1927년 5월
    성격 :
    사회운동단체, 여성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31년
    분야 :
    역사/근대사
  • 근우회 槿友會
    일제강점기 때 만들어진 항일여성운동 조직. 1927년 여자의 단결과 지위향상이라는 강령으로 창립총회를 열었고 근우회 해산론이 대두되던 1931년초까지 70여 지회가 국내외에 조직되었다. 여성 지위향상을 위해 사회적·법률적 일체 차별 철폐, 봉건적 민습과 미신타파, 조혼폐지 및 결혼의 자유, 부인노동의 임금차별 ...
  • 근우회 Geunuhoe
    근우회(勤友會)는 일제강점기 중반에 조직된 여성 단체이다. 1927년 한국의 여성운동가들이 좌우를 초월하여 설립한 단체이며 신간회의 외곽 지원 단체였다. 김활란, 고황경, 박차정, 정칠성, 박순천 등이 주동 인물이었다. 근우회는 충청남도 대표 조직이었다. 조선 여성의 단결을 도모하며 여성운동을 효율적으로 통합...
    도서 위키백과
  • 근우회 활동
    1927~31년에 걸친 근우회의 활동시기는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단계의 활동시기는 창립에서 1928년초까지의 여성계몽운동기로 문맹퇴치·야학설립·강연회를 주로 하였고, 각 지회의 당면 사업으로는 근우회 선전, 회원모집, 회비징수, 회관건립 등의 기초사업을 했다. 제2단계는 1928~30년초에 걸친 시기로서 여성...
  • 근우회 도쿄지회 槿友會 東京支會
    개설 1927년 신간회 본부가 결성되자 여성운동계 내부에서 여성운동의 통합운동이 일어나 근우회가 조직된 것처럼, 근우회 도쿄지회도 1928년 1월 21일 조직되었다. 연원 및 변천 근우회 도쿄지회의 창립대회는 도쿄대(東京大) 기독청년회관에서 1928년 1월 21일 열렸다. 이 자리에는 60여명의 회원과 백 여명의 방청객...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192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근우회 취지문
    역량을 공고히 단결하여 운동을 전반적으로 전개하지 아니하면 아니 된다. 일어나라! 오너라! 단결하자! 분투하자! 조선의 자매들아! 미래는 우리의 것이다. 근우회 행동 강령 1. 여성에 대한 사회적 · 법률적 일체 차별 철폐 2. 일체 봉건적 인습과 미신 타파 3. 조혼 폐지 및 결혼의 자유 옹호 4. 인신 매매 및 공창...
    시기 :
    1927년
  • 근우회 창립을 이끈 여성독립가, 박원희 ・ 김영순 ・ 조복금 “조선의 자매들아! 미..
    위해 싸우는 것은 동시에 조선사회 전체를 위하여 나아가 세계인류를 위하여 싸우는 것이 되지 않으면 안된다. 민족통합적 여성단체 근우회 1927년 5월 27일, YMCA 강당에서 근우회 창립대회가 열렸다. 한국 여성운동의 역사적 한 발을 내딛는 순간이었다. 이는 신간회 결성으로 촉발된 여성계의 전국적 통일기관 마련을...
    출생 :
    박원희 1898년, 충남 대전김영순 1892년, 서울조복금 1911년, 경남 하동
    사망 :
    박원희 1928년김영순 1986년조복금 미상
    포상훈격 :
    박원희 2000년 건국훈장 애족장김영순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조복금 2018년 건국훈장 애족장
  • 근우회 동래지회 槿友會 東萊支會
    [설립 목적] 근우회 동래지회는 여성의 단결과 의식 훈련을 통해 여성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이익을 옹호하고, 나아가 반(反)제국주의 반(反)봉건 운동을 실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변천] 근우회 동래지회는 1928년 5월 19일 사회주의 계열의 여성들이 중심이 되어, 기존의 동래여자청년회를 해체하고 근우회...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근우회 기장지회 槿友會 機張支會
    [설립 목적] 근우회 기장지회는 여성의 단결과 의식 훈련을 통해 여성의 정치, 경제, 사회적 이익을 옹호하고 나아가 반(反)제국주의 반(反)봉건 운동을 실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변천] 기장여자청년회와 기장정진청년회 여자부가 발전적으로 해체하면서, 1928년 7월 14일 근우회 동래지회 기장분회가 설치...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 경성 제2차 만세 운동
    만세 운동이다. 1929년 12월, 서울에서 이화여전, 숙명여학교, 배화여전 등의 여학생들이 동맹휴학하려던 사건이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자 1930년 1월 근우회의 주도로 만세 시위가 벌어진다. 1930년 1월 15일에 이화여고보는 서울 시내의 다른 여학교들과 함께 연합 시위에 나섰다. 이화여고보 4학년 최복순(崔福順)이...
    도서 위키백과
  • 근우 槿友
    개설 1929년 5월 근우회 본부에서 회원 및 일반여성에 대한 여성 의식개혁과 계몽을 목표로 발간한 기관지 성격의 여성잡지로 논설, 근우회, 부인강좌, 평론, 각종 상식, 소설 등의 문학작품, 회원들의 투고, 광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우회 창립후 2년만에 발행된 까닭에 2년간의 근우회운동의 활동을 정리하고...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정종명 鄭鍾鳴
    등 20여 명과 함께 사회주의 사상을 배경으로 한 최초의 여성단체인 조선여성동우회(朝鮮女性同友會)를 서울에서 조직,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이 뒷날 근우회(槿友會)를 조직하여 항일과 계몽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것이다. 이 단체는 여성해방과 단결을 강령으로 채택하고 있다. 정종명은 1926년 12월에 조직...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근우회 강령
근우회 결성식
▲ {근우회 창립총회}
근우회 관련 신문 기사
근우회 전국대회광경(동아일보, 1928.07.16)
더보기